한국과 일본 안경산업의의 경쟁력 비교

Competitiveness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Spectacles Industry

  • 투고 : 2010.01.29
  • 심사 : 2010.03.19
  • 발행 : 2010.03.31

초록

목적: 본 고는 한국 안경산업의 대 일본 경쟁력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대 일본 안경산업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장점유율지수, 무역특화지수, 시장비교우위지수를 이용하여 수출경쟁력 지수를 분석한다. 결과: 한국 안경산업의 대 일본 시장비교우위지수 결과를 보면 안경렌즈와 콘택트렌즈가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대 일본 무역특화지수 결과도 마찬가지로 안경렌즈와 콘택트렌즈가 수출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한국 안경산업의 대 일본 주요 수출품목으로는 안경렌즈와 콘택트렌즈의 수출을 강화하면서 우리의 안경산업 이이지를 개선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후에 다른 품목으로 수출을 확대해가는 전략이 필요하다.

Purpose: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assess the competitiveness about the spectacles industry of Korea against Japan. Methods: We use export competitiveness indexes such as market share index,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d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to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 spectacles industry of Korea against Japan. Results: This paper shows that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the Spectacles industry of Korea in MC(market comparative advantage) against Japan arc spectacles lenses and contact lenses. Furthermore, it can also be known that the spectacles lenses and contact lenses have export competitiveness in the TSI (trade specialization index) against Japan. Conclusions: We need to choose spectacles lenses and contacts lenses as the main export items against Japan in the spectacles industry of Korea. Along with this, we need to improve the image of the Spectacles industry in Korea; after that, we have to create a strategy that would strengthen export competition in other item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2. 임준형, "한국과 중국 가전산업의 경쟁력 비교", 산업경제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2(2):905-918(2009).
  3. 김지용, "한, 중 자동차 부품산업의 수출경쟁력 비교 분석", 통상정보연구, 8(3):1-25(2006).
  4. 박정동, 김경희, "한, 중 간 주요산업의 경합도 비교 분석", 국제지역연구, 9(2):11-34(2006).
  5. 김완중, 최의현, "중국의 내수시장과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경쟁력 분석", 동북아경제연구, 18(2): pp.1-26(2006).
  6. 장민수, "한국과 독일의 산업별 비교우위 분석", 경상논총, 26(3):207-226(2008)
  7. 임혜준, "한국 철강산업의 대일본 및 대중국경쟁력 분석", 무역학회지, 33(1):263-282(2007).
  8. 황윤진, "주요 교역상대국간 한국 산업의 동태적 비교우위 측정", 국제경제연구, 12(2):71-98(2006).
  9. Aiginger K.,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Dynamic Competitiveness of Countries", Structural Change and Economic Dynamics, 9:159-188(1998). https://doi.org/10.1016/S0954-349X(97)00026-X
  10. Balassa B. A., "Trade Liberalization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The Manchester School of Economic and Social Studies, 33:99-1 23(1965). https://doi.org/10.1111/j.1467-9957.1965.tb00050.x
  11. Kruger A. O., ''Trade Policy and Economic Development: How We Learn", American Economic Review, 87(1):1- 22(1997).
  12. Vollrath T. L., "A Theoretical Evaluation of Alternative Trade Intensity Measures of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Weltwirtschaftliches Archiv., 130:265-280(1991).
  13. 이동휘, "한, 중 정보통신기기 산업의 무역구조 분석", 국제지역연구, 12(3):517-545(2008).
  14. 남시경, "한중 철강교역구조 및 철강제품별 경쟁력 분석", POSRI 경영연구, 7(1):85-113(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