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부문 에너지 효율 분석

The Analysis on Energy Efficiency in the Residential Sector

  • 나인강 (인천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 이성근 (에너지경제연구원)
  • 투고 : 2009.11.08
  • 심사 : 2010.02.26
  • 발행 : 2010.03.31

초록

본 연구는 최종에너지 가정부문의 에너지 효율 개선 여부를 검토하는 실증분석이다. 타부문과 달리 가정부문의 최종에너지는 그 완만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에너지 효율 정책을 평가하는 주요 잣대의 하나이므로 효율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1990년부터 2006년까지의 연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요인분해 방법 중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LMDI 방법을 사용하였다. 기온효과를 제거한 후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동 기간 중 가정부문 에너지 효율은 연간 1%씩 개선효과를 보이고 있다. 용도별로는 전기기기의 에너지 원단위는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정부문 전체의 에너지 효율의 개선은 유사한 기간을 대상으로 선진국들의 자료와 비교하여 볼 때, 효율 개선의 방향과 크기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기별로 나누어 볼 때, 1990년대에 에너지 효율 개선이 뚜렷이 나타났으나, 2000년대는 그 효율의 개선이 크지 않은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가정부문에서 에너지 사용에 대한 행태의 변화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evaluate energy efficiency policy in demand side, to assess the residential sector's energy efficiency policy and to analyze the system of energy efficiency practices. We examined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over the period 1990~2006. The decomposition method in the analysis was a logarithmic mean Divisia index (LMDI) techniques to decompose changes in energy intensity. First of all, the energy use in residential sector was adjusted to correct weather-induced variations in energy consumption, because adjustments for normal weather patterns facilitated inter-temporal comparison of intensity. The analysis on the residential sector shows that the overall energy intensity of the residential sector declined at an average 1.0% per year, while the structure effect increased by 1.8% per year, and the activity effect increased by 0.7% per year. In other words, the decline of floor space, number of household, and appliance ownership per capita has an effect on increase in residential consumption. The improvement in energy efficiency had strong contribution on the decrease of energy consumption. We find that the general results of analysis on residential energy are similar to those of IEA. The energy efficiency policy in residential sector is assessed to obtain some results during 1990~2006. In residential sector, structural variables such population per household, diffusion of appliance and activity factor such as population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energy consumption while energy intensity effect induced the decrease of energy consumption.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international trend as well as our prior expect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