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수급에 가격과 소득 변수가 미치는 동태적 영향 분석

Dynamic Impacts of Price and Income Variables on Paper Demand and Supply

  • 김동준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과)
  • 투고 : 2010.02.23
  • 심사 : 2010.06.11
  • 발행 : 2010.06.30

초록

이 논문은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종이 공급에 펄프 가격이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지속기간을 추정하고, 종이 수요에 국내총생산이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지속기간을 추정하였다. 종이 공급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펄프 가격의 변화가 종이 공급 변화의 약 12%를 설명하고, 종이 가격의 변화가 종이 공급 변화의 약 29%를 설명하였다. 즉, 펄프 가격이 종이 공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펄프 가격의 변화에 대한 종이 공급의 반응은 약 6개월간 지속되며, 종이 가격의 변화에 대한 종이 공급의 반응도 약 6개월간 지속되었다. 펄프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에 펄프 가격의 상승분을 종이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면 일시적으로 수익률이 감소할 수 있다. 즉, 종이 가격이 펄프 가격의 상승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면 수익률이 하락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수익률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제품단가를 인상하여야 한다. 종이가 과잉 공급되면 펄프 가격의 인상을 종이 가격에 반영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종이 공급은 과잉 상태가 아니어서 펄프 가격의 상승을 종이 가격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원료 가격이 상승하면 제품 가격도 인상되고 있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펄프 가격의 변동이 종이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기간은 6개월이다. 즉, 펄프 가격의 인상이 종이 가격에 반영되어 종이 생산의 수익률 하락을 회복하기까지 6개월이 소요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종이 수요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국내총생산의 변화가 종이 수요 변화의 약 28%를 설명하고, 종이 가격의 변화가 종이 수요 변화의 약 17%를 설명하였다. 즉, 국내 총생산이 종이 수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국내총생산의 변화에 대한 종이 수요의 반응은 약 6개월간 지속되며, 종이 가격의 변화에 대한 종이 수요의 반응도 약 6개월간 지속되었다.

This study estimated the paper demand and supply using VAR model.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d impulse response were analyzed using the model. In the model of paper demand, the own price change accounts for about seventeen percent of variation in the demand, and the gross domestic product change accounts for about twenty eight percent of variation in the demand. And the impacts of a shock to the own price and gross domestic product are significant for about six months on the demand for paper. In the model of paper supply, the own price change accounts for about twenty nine percent of variation in the supply, and the pulp price change accounts for about twelve percent of variation in the supply. And the impacts of a shock to the own price and pulp price are significant for about six months on the supply of paper.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