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관리에 있어서 지식경영의 성공요인과 활동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Impact of Knowledge Management Success Factors and Activities on Disaster Management Task Performance

  • 발행 : 2010.02.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의 성공요인들이 지식경영활동들을 활성화시키고 이어서 이러한 지식경영활동들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재난관리 분야에 있어서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지식경영성공요인은 리더십, 조직문화, 정보기술, 측정, 보상체계, 지식품질의 6개 요인으로 측정하였고 지식경영활동은 지식창출과 지식활용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재난관리 업무성과는 AHP를 통해서 도출된 12개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실증 연구의 결과 첫째, 지식경영성공요인 중 조직문화, 정보기술, 보상체계, 지식품질의 4개 요소가 지식창출활동을 활성화시키는 영향력을 나타내었고, 리더십, 정보기술, 보상체계, 지식품질의 4개 요소는 지식활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식창출과 지식활용간의 관계에서는 지식창출이 지식활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식경영활동과 재난관리업무성과간의 관계에서는 지식활용이 재난관리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management success factors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information technology, measurement, incentive, knowledge quality),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se), and task performance in disaster management area. Findings suggest that (1) organization culture, information technology, incentive and quality of knowledg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knowledge creation activities while leadership, information technology, incentive and quality of knowledg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knowledge use activities, (2) higher level of knowledge creation is related to high level of knowledge use, and (3) the level of knowledge use activities seems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ask performance in disaster management, while knowledge creation activities are no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모, 김광용, "공공부문의 지식활동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6권, 제1호, 2007, pp. 1-15.
  2. 건설교통부, 2002년 성과계획서, 2002.
  3. 경상북도, 2007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계획, 2007.
  4. 공하성, "AHP 기법을 이용한 재난관리체계의 계량화 방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 권오상, "공공기관 지식경영", 한국정부학회 국제학술대회, 2005, pp. 85-100.
  6. 김민철, 김동욱, "공공기관의 지식경영시스템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J 광역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1권, 제2호, 2007, pp. 1-28.
  7. 김선아, 김영걸, "조직지식 창출프로세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식경영연구, 제1권, 제1호, 2000, pp. 365-390.
  8. 김양수, "2004년도 자연재난",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8권, 제1호, 2005, pp. 10-12.
  9. 김종환, "재난대응체제 확립을 위한 재난관리 협력체계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20권, 2005, pp. 621-642.
  10. 김효근, 조현성, 최인영, "기업간 인터넷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자와 공급자간의 관계 형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건설부문 사례를 중심으로", 제5권, 제2호, 2003, pp. 169-182.
  11. 박희서, 김구, "행정기관에 있어서 지식관리의 활용성 제고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2호, 2002, pp. 41-61.
  12. 변상우, "지식경영 시스템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3. 서용준, "지식관리 시스템의 성공요인과 성과변수 간의 관계 연구", 영남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4.
  14. 서창교, 신성호, "지식관리 시스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영정보학연구, 제15권, 제1호, 2005, pp. 1-24.
  15. 송충근, "지식관리시스템 하에서 지식공유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9권, 제2호, 2005, pp. 105-128.
  16. 유은주, "정부부처 지식관리 시스템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소방방재청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6.
  17. 의왕시, 성과평가서, 2007.
  18. 이순철, 지식경영의 방법론, 삼성경제연구소, 1999.
  19. 이재은, "방재조직 측면에서의 국가 재해관리시스템 개선방향", 재해관리 시스템 개선방안 심포지엄, 2003, pp. 95-115.
  20. 이재은, "한국 지방정부의 인위재난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2000.
  21. 이홍재, "조직문화가 지식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앙행정기관 공무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1권, 제1호, 2007, pp. 149-174.
  22. 이홍재, "지식관리와 정부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3. 이홍재, 차용진, "지식공유와 업무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18권, 제2호, 2006, pp. 515-538.
  24. 임승빈, "국가 재난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제언", 사회과학논집, 제20권, 2003, pp. 95-110.
  25. 정기성, "재난관리 행정체계의 합리적 개선에 관한 연구", 정치정보연구, 제6권, 제1호, 2003, pp. 213-247.
  26. 정성희, "지식경영 프로세스와 경영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저널, 제9권, 제6호, 2007, pp. 131-149.
  27. 정진우, "전자정부 맥락에서 본 지식관리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공공부문 지식관리 시스템 도입 운영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지식경영학회 학술대회, 2004.
  28. 최호택, 류상일, "효율적 재난대응을 위한 지방정부 역할 개선방안-미국,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6권, 제12호, 2006, pp. 234-243.
  29. 하혜영, 김완룡, "정부지식관리 시스템의 운영과 성과에 관한 연구 : 국방지식관리 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2005, pp. 4-25.
  30. 홍기남, "21세기 선진형 국가 재난관리 개선방안", Administration Focus, 2004.
  31. 황규일, "지식경영성공요인이 지식공유를 통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건설산업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32. Alan Radding, Knowledge Management : Succeeding in the Information-Based Global Economy Computer, Technology Research Corp, 1998.
  33. Alavi, Maryam, and Leidner Dorothy E., "Knowledge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 Conceptual Foundations and Research Issues," MIS Quarterly, Vol. 25, No. 1, 2001, pp. 107-136. https://doi.org/10.2307/3250961
  34. Byounggu, Choi, and Heeseok, Lee,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KM Styles and their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 40, 2003, pp. 403-417. https://doi.org/10.1016/S0378-7206(02)00060-5
  35. Davenport, T. H., Long, D., and Beers, M. C., "Successful Knowledge Management Projects," Sloan Management Review, Vol. 39, No. 2, 1998, pp. 43-57.
  36. Jager, Martha D., "The KMAT : Benchmarking Knowledge Management," Library Management, Vol. 20, No. 7, 1999, pp. 370-372.
  37. McDermott, Richard and O'Dell. Carla, "Overcoming Cultural Barriers to Sharing Knowledge,"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Vol. 5, No. 1, 2001, pp. 76-85. https://doi.org/10.1108/13673270110384428
  38. O'Dell, C. and C. Grayson, "If Only We Knew What We Know : Identification And Transfer Of Internal Best Practice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 40, No. 3, 1998.
  39. Peter Beard, Introduction to Knowledge Management, Technology and Community Development,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