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odel On Voluntary Activity in Library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in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활동 모형 연구

  • 김혜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 ;
  • 안인자 (동원대학 아동문헌정보과) ;
  • 박미영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미디어 대학) ;
  • 이명희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Recently, as voluntary activity has become more widespread, there have been some voluntary activity movements in the provision of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odel on voluntary activity in library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in public libraries. Survey data collected through three data collection methods showed that volunteer activities in public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were very poor, and recommended the training of library staff and volunteers serving disabled people,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librarians about the disabled and the dissemination of standardized manuals.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a voluntary activity model, based on three factors, the aims of library services, the types of the disabilities, and volunteer services including specific sub areas of services, was developed. Finally, this voluntary activity model will contribute to the theory development of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 활동의 모형 구축을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연구한 '전국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의 결과와 장애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65개 공공도서관(점자도서관 포함)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조사와 인터넷 조사, 문헌연구를 이용하여 장애유형 및 서비스별 활동 분야, 참여경로, 수행역할, 자격 및 자질, 활동상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 활동 모형을 봉사의 목적과 서비스 분야, 장애유형의 3요소로 구성하였다. 봉사 활동의 목적은 도서관, 장애인, 그리고 자원봉사자 3자를 위한 것이다. 장애 유형은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관점에서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서비스 분야는 장서구축 및 대체자료, 이용자 서비스, 웹 전자정보 서비스, 시설 및 접근 서비스, 보조공학기 서비스의 5가지 활동 분야로 나누고 각각의 서비스 분야마다 구체적인 활동 내용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실. 2003. 장애인복지의 이해. 서울: 신정. (Young-sil Kang. 2003. Jangaeinbokjiui Ihae. Seoul: Shinjeong.)
  2. 국립중앙도서관 편. 2007.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ed. 2007. Jeonguk Doseogwan Jangaeinservice Hyeonhwangjosa.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3. 고영복. 1973. 현대심리학. 서울: 법문사. (Young-Bok Ko. 1973. Hyundaesimrihak. Seoul: Beopmunsa.)
  4. 곽지영. 1993. 장애아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태도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Jee-Young Kwag. 1993. A Study on Attitude of the Nondisabled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Graduate thesis, Yonsei University.)
  5. 김범수 외. 2004. 자원봉사의 이해. 개정판. 서울: 학지사. (Bum-Soo Kim et al.. 2004. Jawonbongsaui Ihae. Revised ed. Seoul: Hakjisa.)
  6. 김영기, 이연옥. 2008.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의 구성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87-108. (Young-Ki Kim, Yeon-Ok Lee. 2008. "Constituents Analysis of Standanls and Guidelines of Library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2): 87-108.)
  7. 김영석. 2005. 공공도서관에서 '도서관의 친구'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40): 285-307. (Young-Seok Kim. 2005. "A Study on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Friends of Libraries Group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40): 285-307.)
  8. 김영신. 2003. 공공도서관 시각장애인실 서비스에 관한 조사연구: 한밭도서관 시각장애인실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177-197. (Young-Shin Kim. 2003. "Investigation on Library Services for Visually Imparied at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3): 177-197. https://doi.org/10.4275/KSLIS.2004.38.3.177
  9. 김지현. 2002. 시각장애자를 위한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의 점자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1): 215-230. (Ji-Hyun Kim. 2002.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rvices for Blind People: Focused on Braille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3(1): 215-230.)
  10. 김혜주, 안인자, 박미영, 김호연. 2009.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자 현황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81-195. (Hae-Joo Kim, In-Ja Ahn, Mi-Yung Park, & Ho-Yeun Kim. 2009. "An Analysis of the Volunteers Activities in Korean Library: Focusing on the Public and Schoo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181-195.)
  11. 대한민국. 국회의원 정병국. 2004. 장애인 도서관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제안서. 2004. 10. (Korea Congress. Parliament Byung-Kuk Jung. 2004. Jangaein Doseogwan Service Gaesuneul Wihan Jeongchaekjeanseo. 2004. 10.)
  12. 문진영. 1995. 자원봉사의 기초적 이해: 대학생 사회봉사 핸드북. 서울: 성공회대학교 출판부. (Jin-Young Moon. 1995. Jawonbongsaui Gichojeok Ihae: Daehaksaeng Sahoibongsa Handbook. Seoul: Press of Sung Kong Hoe University.)
  13.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5. 서울시 자원봉사자 활용증진에 관한 연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995. Seoul Jawonbongsaja HwalyongJeungjine Gwanhan Yeongu.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4. 설문원. 2002. 공공도서관의 자원봉사 활용실태 및 관리모델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233-258. (Mun-Won Seol. 2002. "A Model to Utilize the Volunteer Service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1): 233-258.) https://doi.org/10.4275/KSLIS.2002.36.1.233
  15. 오동근. 2008. 공공도서관의 외부 인적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특히 미국 LA 및 인근지역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73-97. (Dong-Geun Oh. 2008. "A Study on the Support Groups for Public Libraries : With a Special Regard to the Cases of the Los Angeles City Area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73-97.)
  16. 오동근, 김인식. 2005.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자의 행동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2(2): 147-154. (Dong-Geun Oh, & In-Shik Kim. 2005. "A Study on The Main Factors of Public Library Volunteers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2): 147-154.)
  17. 오동근, 윤수진. 2009. 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157-179. (Dong-Geun Oh, & Su-Jin Yoon. 2009.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Public Library for the Disabled Persons: With a Special Regard to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157-179.)
  18. 이강현, 김성경. 2000. 한국인의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0(4): 674-689. (Kang-Hyun Lee, & Sung-Kyoung Kim. 2000. "Hangookinui Jawonbongsahwaldonge Gwanhan Yeongu."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Haksuldaehoi Jaryojip, 2000(4): 674-689.)
  19. 이선우. 2009. 장애인복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집문당. (Sun-Woo Lee. 2009. Jangaeinbokjiui Irongwa Silje. Seoul: Jipmoondang.)
  20. 이성록. 2005. 자원봉사 매니지먼트. 서울: 미디어숲. (Sung-Rock Lee. 2005. Jawonbongsa Management. Seoul: Media Forest.)
  21. 이성우, 김정섭. 1998. 지방자치단체들의 자원봉사제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5(2): 165-175. (Sung Woo Lee, & Jeong Seop Kim. 1998. "A Study on the Use of Volunteerism in Local Govemments: centering on the case of Americ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5(2): 165-175.)
  22. 이영숙. 2007. 장애인정보격차에 관한 소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69-91. (Young-Sook Lee. 2007. "A Study on an Information Gap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4): 69-91.) https://doi.org/10.4275/KSLIS.2007.41.4.069
  23. 일본도서관협회 장애인서비스위원회 편. 2000.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도서관운동회 역. 서울: 한국시각장애인협회. (Ilbondoseogwanhyeophoi Jangaeinservicewiwonhoi ed. 2000. Jangaeineul Wihan doseogwan Service. Translated by Doseogwanundonghoi. Seoul: Korea Blind Union.)
  24. 임송희. 2002. 장애인과 자원봉사자의 친밀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Song-Hee Im. 2002.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Attachment Formation of handicapped person and Volunteer. Graduate thesis, Mokwon University.)
  25. 전재봉. 2002. 장애인에 대한 공공 도서관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4): 157-173. (Jae-Bong Jeon. 2002. "The Study on the Policies of the Public Librar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4): 157-173.) https://doi.org/10.4275/KSLIS.2002.36.4.157
  26. 정연경, 김성진. 2008. 장애인의 도서관 서비스 이용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302- 323. (Yeon-Kyoung Chung, & Sung-Jin Kim. 2008.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Use and Needs of Disabled Use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3): 302-323.) https://doi.org/10.4275/KSLIS.2008.42.3.301
  27. 조용완. 2007.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167-189 (Yong-Wan Cho. 2007.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for Closing the Information Divid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4): 167-189.)
  28. 조윤희. 2009. 시각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웹 접근성 제고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335-354. (Yoon-Hee Cho. 2009. "A Study on Enhancing Web Accessibility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335-354.)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335
  29. 조찬식, 조미아, 오지은, 오수진, 김원진. 2009.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운영 실태 조사 및 활성화방안. 정보관리학회지, 26(4): 1-28. (Chan-Sik Cho, Mi-Ah Cho, Ji-Eun Oh, Su-Jin Oh, & Won-Jin Kim. 2009. "A Study on the Volunteer Activity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4): 1-28.)
  30. 전병재. 1978. 사회심리학. 서울: 경문사. (Byeong-Jae Jeon. 1978. Sahoisimrihak. Seoul: Kyungmoonsa.)
  31. 정재영. 2009. 대학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73-91. (Jae-Young Chung. 2009. "A Study on the Effective Services Model for Disabled Users in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1): 73-91.)
  32. 조휘일. 1998. 현대사회와 자원봉사. 서울: 홍익제. (Whee-il Cho. 1998. Hyundaesahoiwa Jawonbongsa. Seoul: Hongikje.)
  33. 조휘일. 2002. 자원봉사프로그램 관리. 서울: 학지사. (Whee-il Cho. 2002. Jawonbongsaprogram Gwanri. Seoul: Hakjisa.)
  34. 주성수. 2005. 자원봉사: 이론, 제도, 정책. 서울: 아르케. (Sung-Soo Joo. 2005. Jawonbongsa: Iron, Jedo, Jungchaek. Seoul: ARCHE.)
  35. 한국도서관협회. 2001. 도서관 자원봉사 실태조사 및 봉사표준모델 개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1. Doseogwan Jawonbongsa Siltaejosa Mit Bongsapyojunmodel Gaebal.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36.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7. 한국사회복지편람. 서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Korea National Coucil on Social Welfare. 1997. Hangooksahoibokjipyunram. Seoul: Korea National Coucil on Social Welfare.)
  37. Bello, Musa A. 1996. "Choosing a career: Librarian?" Librarian Career Development, 4(4): 15-19.
  38. Bloomfield, M. 1966. "The writing habits of librarians."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27(3): 109. https://doi.org/10.5860/crl_27_02_109

Cited by

  1. Case Studies and Interviews to Review Public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vol.47, pp.1, 2013, https://doi.org/10.4275/KSLIS.2013.47.1.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