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Aromatherapy of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아로마테라피에 대한 인식도 분석

  • Lee, Ju-Yeon (Dept. of Medical Beauty, Konyang University)
  • 이주연 (건양대학교 의료뷰티학과)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furnish basic data which can be helpful to maintain and improve the skin health and to activate aromatherapy by analyzing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n the aromatherapy skin care of college students. As their grade got higher, students of beauty class showed the level of knowledge on aromatherapy higher than those of non-beauty class, and that of gir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boy students and as the living standard of students got higher, and pocket money of a month of them got more, the level of knowledge on aromatherapy of them was high, and as the interest in appearance and satisfaction on appearance of them got higher, the level of knowledge on aromatherapy of them was high. In common characteristics, as the living standard of them got higher, and pocket money of a month of them got more, the level of attitude on aromatherapy of them was high. As the interest in appearance of them got higher, the level of attitude on aromatherapy on the interest in appearance of them was high. I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the skin, as the skin health condition of students got healthier, the level of attitude on aromatherapy of them was high, and it was high in the students who had much agony on the skin color.

Keywords

References

  1. 김복희 (1998). "여성의 피부미용관리 지식 및 행위 에 관한 요인." 경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숙 (2007). "소아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을 위한 아 로마 이용 실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문
  3. 김연진 (2002). "중년 여성의 피부 건강 관리 지식, 태도 및 교육 요구도 조사." 중앙대학교 사회 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지원 (1992). "일부 여자대학생의 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모정희 (2003). "피부 관리 방식으로써의 아로마테 라피의 활용실태 및 시행효과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문수진 (2005). "에센셜 오일의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미경 (2001). "일부 지역 피부 관리사의 아로마테 라피 이용실태와 시행효과에 대한 인식도."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정란 (2000). "서울 시내 일부 대학생의 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조사."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배수현 (2003). "여대생의 피부 건강관련 행위와 사회 심리적 건강과의 관련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성태제 (2009).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11. 송경아 (1997). "일부 여성의 생활실태가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명자 (2001). "여대생의 미용 행태 및 그에 따른 건강 위해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진희 (2002). "피부 관리사의 아로마테라피 이용 실태조사."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성은 (2005). "여대생의 피부 건강 관리에 대한 지식과 관리행위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 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주연 (2004). "아토피성 피부에 대한 인식과 아로마 이용실태."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6. 이지수 (2004). "성인 남성의 피부 관리에 대한 지식 및 행위에 관한 조사 연구." 건국대학교 산 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임혜원 (1999). "일부 여대생의 피부 건강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장영숙 (2004). "식물추출물의 여드름 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최명옥 (2004). "아로마 마사지가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최인령 (2004). "향 요법 마사지가 골관절염 여성 노 인의 통증, 신체기능, 수면 장애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하혜정 (2003). 임상 아로마테라피. 서울: 현문사
  22. 한송이 (2005). "일부 지역 대학생의 발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건양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Tisserand, Robert (1977). The Art Aromatherapy. 15th ed. London: C W Daniel Co Ltd.
  24. Valnet, Jean (1982). The Practice of Aromatherapy. London: C W Daniel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