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Range Surrounding Environment on Detecting Time for Cooking Oil Fire in Kitchen

주방내 조리용 기름 화재 발생시 레인지 주변 환경이 감지 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According to the "Yearbook of disaster response, fire safety and fire statistics (NE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pproximately 34% of all fire is interior fire such as hotel, restaurant and residence and more than 53% of which is occurring in the kitchen. The evaluation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in the kitche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Korea Fire Equipment Inspection Standard (KOFEIS 0101-1)" which is using one environmental condition. However, only using one environmental condition is not enough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n kitchen fire. So the study of fire detecting characteristic about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 needs. In this study, the nume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about detecting time characteristic for various range's surrounding environment. As a result, it showed up to 100 s difference in the detection tim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range. And detecting time also showed difference for on-off hood operation. From this results, it can be verify and improve the evaluation standard for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in kitchen fire.

"2008년도 화재통계연보"에 따르면 화재 발생의 약 34%가 호텔, 식당, 주택 등과 같은 실내 화재이고 그 중에서 약 53% 이상이 주방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 국내에서는 공동주택내 주방의 화재소화 설비로써 주로 자동식 소화기를 사용하고 있고 형식 승인은 "자동식 소화기의 형식 승인 및 검정기술기준(KOFEIS 0101-1)"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자동식 소화기 성능 평가 기준내의 한가지 환경조건만으로는 실제 주방에서 자동 소화기의 성능을 검증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주방 구조에 따라 화재 감지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방에서 레인지 주변의 형상에 따라 감지시간에 대한 영향을 수치해석 하였고 그 결과 화재 감지 시간의 차이가 약 100초 가량 차이가 났다. 또한 후드의 작동 여부에 따라서도 감지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방 내에서 조리용 기름의 화재 제어를 위한 성능 평가 기준을 검증하고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소방재난본부, "2008년도 화재통계연보"(2008).
  2. V. Apte, A. Edwards, C. Fleischmann, J. Brian, C. Wade, E. Young, and D. Yung, "Design Fires for Apartment Buildings-Literature Review", CSIRO, BRANZ Ltd & University of Canterbury-study report, No.136, Australia(2005).
  3. J.C. Voelkert, "The New Class K", NFPA Journal, Vol.93, No.4, pp.72-75(1999).
  4. 소방방재청, "위험물 사고 사례집"(2008).
  5. 홍문수,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소형고층아파트 스프링클러설비를 중심으로", 경기대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2).
  6. P.L. Yen, Z. Liu, D. Carpenter, and A.K. Kim, "Development of a Low Pressure Water Mist System for Industrial Oil Cooker Protection", Symposium on Advance in Fire Suppression, Vol.18-19, pp.1- 11(2005).
  7. Y. Fang, Y. Zhang, L. Lin, G. Liao, X. Huang, and B. Cong, "Experimental Studies on Interaction of Water Mist with Class K Fires", Chinese Science Bulletin, Vol.51, No.24, pp.3053-3058(2006). https://doi.org/10.1007/s11434-006-2221-y
  8. 소방방재청, "자동식소화기의 형식 승인 및 검정기술 기준(KOFEIS 0101-1)"(2003).
  9. K.B. McGrattan, B.W. Klein, S. Hostikka, and J.E. Floyd, "Fire Dynamics Simulator (Version 5) User's Guide", NIST Special Publication 1019-5, NIST, Gaithersburg, MD(2008).
  10. Y.H. Hui, Bailey, "Industrial Oil & Fat Products, Edible Oil & Fat Products", John Wiley&Sons, 5th edition, Vol.3(1996).
  11. S.C. Kim, A. Hamins, and D. Madrzykowski "Characterization of Stove-Top Fires",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