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Research on Cognitive Factors of Urban Representative Landscape - Focused on Seoul -

도시 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 이창연 (지오조경기술사사무소) ;
  • 김한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urban representative landscapes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city identity via a symbol of the city and a mediator to make the city all the more worthy of being peculiarized. The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perceptive factors in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around the metropolitan Seoul derived from the preliminary researches through questionnaire surveying, in an attempt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by type and reason, while further proposing progressive management plans. This study was mostly focused on the visibility factor, activity factor, aesthetic factor and cultural factor influencing on the cognition of urban representative landscapes. The important findings discover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eople were being interested more on the cultural factors and the activity factors these days rather than visibility factors in the cognition of urban representative landscap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riority rank of urban representative landscapes reveal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total account of more diverse perceptive factors, showed so much alter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researches focused mostly upon the visual image.

도시이미지 안에서 대표경관들은 그 도시를 상징하며 사람들에게 그 도시의 도시다움을 느끼게 해주는 도시정체성의 중요한 기간자원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대표경관들이 어떠한 지각-인지의 조건들로 인해 대표성을 획득하게 되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먼저 서울시를 중심으로 도시 대표경관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하여 대표경관들을 도출하고, 그들 각각의 인지요인들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유형별 요인별로 다각적 비교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를 향후 대표경관 계획 및 관리방안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기본방향은 특히 가시적 요인, 심미적 요인, 활동적 요인,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다면적 요인의 분석에 의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의 대표경관의 인지 순위와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고, 이에는 시민들의 문화적 요인에 대한 인식의 비중이 높아진 것이 원인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직 기초적 연구결과이기는 하지만 후속 연구의 보완을 통해 향후 대표경관 계획과 관리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7) 경관법. 경관법시행령. 경관계획수립지침.
  2. 김종호, 변재상, 임승빈(2002)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0(4): 9-18.
  3. 김한배(1998) 우리 도시의 얼굴찾기. 서울:태림문화사.
  4. 류기익, 장명수(1987) 전주시 랜드마크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7(2) : 259-262.
  5. 박석중(1988) 도시의 이미지 형성에 있어서 시각적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영춘(2002) 도시이미지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7(4) : 29-40.
  7. 변재상(2005) 도시경관 및 이미지 향상을 위한 랜드마크 형성모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공개토론회-서울시 이미지에 관한 다차원 분석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9. 서울특별시(2006) 서울이미지: 변화와 회복. 서울특별시.
  10. 손은영, 김종하(2002) 도시경관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22(2): 659-662.
  11. 윤인규(1993) 도시경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건영, 김용기(1984) 서울 도심지의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와 상관변수에 관한 분석적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19(2) 20-31.
  13. 이규목(1980) 환경지각과 장소성에 관하여. 대한걱축학회지(건축) 24(94):54-56.
  14. 이규목(1993) 경주시 도시경관과 그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4): 39-53.
  15.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6.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2004) 도시이미지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2(1):47-56.
  17. 주신하, 임승빈(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1-10
  18. 최준, 김영환(2008) 인지지도를 이용한 도시이미지 형성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2008-11): 513-524.
  19. 한국조경학회(2004) 도시경관 계획 및 관리. 문운당.
  20. Appleyard D.(1969) Why buildings are known Environment and Behavior 1(2): 131-156.
  21. Harrison, J. D., and W. A. Howard(1972) The role of meaning in the urban image. Environment and Behavior 4(4): 389-412.
  22. Kaplan, S.(1976) "Adaptation. structure and knowledge", In G. T. Moore & R. G. Golledge eds., Environmental Knowing, P A: Dowden. Hutchinson and Ross.
  23. Lynch. K. (1960) The Image of the City. MA: Cambridge, The MIT Press.
  24. Nasar, J. L.(1998) The Evaluative Image of the City. CA: Sage Publications Inc.
  25. Xuan, W(2000) The research of urban landmark building design. Proceedings of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chitectural Interchanges in Asia: 774-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