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O.P response for the buying trends of General Supermarket

종합슈퍼마켓의 소비자들의 구매경향별 POP광고반응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02.13
  • Accepted : 2010.03.13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is study is for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ctions on POP per consumer purchase trends and major factor for making final purchasing decisions after being exposed to POP from large supermarke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fter the research. First, consumers displayed higher reaction scores on End-Cap in general among POP advertisements. The factors for making final purchase decision are in the order of function > price > brand for household electrical goods, price > design > function for sundry goods and design > price > function for clothing (including bedding).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ased on age on impulsive purchase showed that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tendency. Unplanned purchase trend also showed higher when young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discrepancies in the theory related with existing POP advertisements, that is, the theory that impulsive purchasers have higher POP responses.

본 연구는 종합슈퍼마켓에서 소비자 구매경향별 구매시점광고(POP)에 대한 반응과 POP를 접한 후 최종 구매단계에서의 중요 의사결정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종합슈퍼의 POP광고반응 중 소비자들은 엔드켑(End Cap)에 대한 반응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는 성별 충동적 구매경향에 대한 차이는 전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또한, 구매경향 간,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충동적 구매와 비계획적 구매경향(r=.325), 충동적 구매경향과 즉각적 구매경향(r=.249)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 결과 소비자의 소비패턴도 점점 합리성 추구하며 계획적 쇼핑과 더불어 소비에 있어 POP 광고가 자신의 합리성 또는 계획성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되었을 때 POP 광고가 비로소 소비로 연결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