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Volume 16 Issue 1
- /
- Pages.1-10
- /
- 2010
- /
- 2635-8778(pISSN)
- /
- 2635-8786(eISSN)
Intestinal Atresia - The Second National Survey
선천성 장폐쇄증 2차 조사 - 대한소아외과학회 회원을 주 대상으로 한 전국조사 -
- Kim, Seong-Chul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Kim, D.Y.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Kim, S.Y.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Kim, I.K.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Kim, I.S.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Kim, J.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Kim, J.C.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Kim, H.Y.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Park, K.W.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Park, W.H.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Park, J.Y.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Seo, J.M.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Seol, J.Y.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Oh, S.M.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Oh, J.T.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Lee, N.H.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Lee, M.D.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Lee, S.K.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Lee, S.C.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Chung, S.Y.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Jung, S.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Jeong, Y.J.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Jung, P.M.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Choi, K.J.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김성철 (대한소아외과학회) ;
- 김대연 (대한소아외과학회) ;
- 김상윤 (대한소아외과학회) ;
- 김인구 (대한소아외과학회) ;
- 김인수 (대한소아외과학회) ;
- 김재억 (대한소아외과학회) ;
- 김재천 (대한소아외과학회) ;
- 김현영 (대한소아외과학회) ;
- 박귀원 (대한소아외과학회) ;
- 박우현 (대한소아외과학회) ;
- 박진영 (대한소아외과학회) ;
- 서정민 (대한소아외과학회) ;
- 설지영 (대한소아외과학회) ;
- 오수명 (대한소아외과학회) ;
- 오정탁 (대한소아외과학회) ;
- 이남혁 (대한소아외과학회) ;
- 이명덕 (대한소아외과학회) ;
- 이석구 (대한소아외과학회) ;
- 이성철 (대한소아외과학회) ;
- 정상영 (대한소아외과학회) ;
- 정성은 (대한소아외과학회) ;
- 정연준 (대한소아외과학회) ;
- 정풍만 (대한소아외과학회) ;
- 최금자 (대한소아외과학회)
- Received : 2010.07.19
- Accepted : 2010.07.2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two hundred and twenty-two cases of intestinal atresia for the period from January 1, 2007 to December 31, 2009. Seventeen hospitals were involved. There were 76 duodenal, 65 jejunal, and 81 ileal atresias (3 colonic).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0.85:1 in DA and 1.34:1 in JIA. Ninety-four patients(43.3 %) were premature babies (DA 40.3 %, JA 64.6 %, IA 28.8 %), and 70 babies (32.0 %) had low birth weight (DA 38.7 %, JA 44.4 %, IA 16.0 %). Antenatal diagnosis was made in 153 cases (68.9 %). However, 27 infants (17.6 %) with antenatal diagnosis were transferred to the pediatric surgeon's hospitals after delivery. Maternal polyhydramnios was observed in 81 cases (36.59 %) and most frequent with proximal obstruction. In forty-four cases (19.8 %), only simple abdominal film was taken for diagnostic study. The associated malformation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DA - 61.8 % in DA and 22.6 % in JIA. Meconium peritonitis, small bowel volvulus and intussusception were mo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ileal atresia.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3.6 %. (Abbreviations: DA;duodenal atersia, JA;jejunal atresia, JIA;jejunoileal atresia, IA;ileal atrsia).
본 조사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본 학회 정회원들에 의하여 수술받은 장폐쇄증 환아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조사이다. 또한 본 학회에서는 1994년부터 1996년까지 3년간의 증례를 대상으로 같은 조사(1 차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1 차 조사와 비교하여 본 조사에서 보이는 특징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총 증례 수는 비슷하였으나 출생률을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 - 각 기형별 비율은 비슷하였다. - 미숙아 및 저출생체중아의 비율은 증가 하였다. - 산전진단율은 증가하였다. - 복부단순촬영만 한 경우는 감소하였다. - 다른 기형이 동반된 예가 증가하였다. - 사망률이 13.8 %에서 3.6 %로 감소하였다. 장운동의 회복은 공장폐쇄증에서 십이지장이나 회장폐쇄증에서 보다 더뎠다. 하지만 십이지장-공장 이행부에서 문합부까지의 거리가 기술되지 않은 예가 많아 소위 "High Jejunal obstruction"에서의 장운동 회복기간을 알아 보지 못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또한 주름형성술(plication) 또는 장의 직경을 줄이는 수술(tapering)의 효과도 시행한 예수가 작고, 문합부 위치의 기술 부족으로 알아 보지 못 하였다. 십이지장폐쇄증의 화타씨유두부와 위치 역시 향후 보다 정확한 수술기록을 토대로 조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료 성적의 눈부신 향상은 여러 회원들의 각고의 노력과 의학의 발달에 기인한 것으로, 사망률 0 %를 향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