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Cluster Tool Scheduler Algorithm which is Support Various Transfer Patterns and Improved Productivity

반도체 생산 성능 향상 및 다양한 이송패턴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스케줄러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송민기 (한국항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정찬호 (한국항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지승도 (한국항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Received : 2010.08.18
  • Accepted : 2010.12.1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Existing research about automated wafer transport management strategy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was mainly focused on dispatching rules which is optimized to specific system layout, process environment or transfer patterns. But these methods can cause problem as like requiring additional rules or changing whole transport management strategy when applied to new type of process or system. In addition, a lack of consideration for interconnectedness of the added rules can cause unexpected deadlock.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propose dynamic priority based transfer job decision making algorithm which is applicable with regardless of system lay out and transfer patterns. Also, extra rule handling part proposed to support special transfer requirement which is available without damage to generality for maintaining a consistent scheduling policies and minimize loss of stability due to expansion and lead to improve productivity at the same time. Simulation environment of Twin-slot type semiconductor equipment was built In order to measure performance and examine validity about proposed wafer scheduling algorithm.

기존의 반도체 생산 공장에서 운용되는 공정설비의 자동화된 웨이퍼 이송을 위한 스케줄링 운용전략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특정 공정 환경과 시스템 형태에서 운용되는 이송패턴에 최적화시킨 규칙기반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시스템이나 공정이 달라지면 새로운 규칙이 필요하거나 전체 운용 전략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규칙이 추가될수록 확장, 유지 보수 시에 추가된 규칙들의 상호 연관 작용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경우 예기치 않은 문제를 유발할 시킬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송패턴이나 설비의 형태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동적 우선순위 기반의 기본 이송작업 선택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또한 특수한 요구 사항에 대해서는 범용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최소한의 규칙 처리부를 별도로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용 환경 변화에 일관된 스케줄링 정책을 유지하고 확장 시의 안정성 저하를 최소화하여 생산성 향상을 이끌 수 있는 범용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트윈 슬롯 형태의 반도체 공정설비를 대상으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치우,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차세대 반도체 기술동향," 2007.
  2. 정치현, "다중 슬롯 클러스터장비의 안정상태 스케줄링 및 모델링," KAIST 석사학위 논문, 2005.
  3. 이정수, "챔버 클리닝이 요구되는 양팔 클러스터 장비의 스케줄링 규칙," KAIST 석사학위 논문, 2008.
  4. 김희정, "후 공정을 고려한 양 팔 클러스터 장비의 스케줄링과 제어," KAIST 석사학위 논문, 2006.
  5. 이환용, "두 팔을 가진 화학 박막 증착용 클러스터 장비의 스케줄링과 공정 시간 결정," KAIST 석사학위 논문, 2000.
  6. Y.H. Shin, T.E. Lee, "Modeling and implementing a real-time scheduling for dual-armed cluster tools," Computer in industry, vol. 45, pp. 13-27, 2001. https://doi.org/10.1016/S0166-3615(01)00078-1
  7. S.P. Sethi, J.B. Sidney, and Chelliah Sriskandarajah, "Scheduling in dual gripper robotic cells for productivity gains," IEEE Transactions 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vol. 17, no. 3, pp. 324-341, 2001.
  8. Srilakshmi venkatesh, "A Steady-State Throughput Analysis of Cluster Tools: Dual-Blade Versus Single-Blade Robots," IEEE Transactions 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vol. 10, no. 4, pp. 418-424, 1997. https://doi.org/10.1109/66.641483
  9. Samuel C. Wood, Sanjay Tripathi, and Farhad Moghadam, "A Generic Model for Cluster Tool Throughput Time and Capacity," IEEE/SEMI Advanc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nference, pp. 194-199, 1994.
  10. 도용태, 김일곤, 김종환, 박창현, "인공지능 개념 및 응용 3판," 사이텍미디어,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