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f the local cultural brand by analyzing the case of Honggildong cultual content business strategy

홍길동 문화콘텐츠사업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문화 브랜드화 전략 연구

  • 심재광 (전남대학교 디지털컨버전스) ;
  • 이상길 (전남대학교 디지털컨버전스) ;
  • 김경수 (전남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
  • Received : 2010.11.02
  • Accepted : 2010.12.25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A lot of local governments are trying to develop and brand the regional unique resources as a digital contents because of focusing on the intangible value of it's culture and economy of cultural industry. But every cultual contents business is not always successful. It must be successful on the condition that the cooperation of local government including citizens and private company's participation should make this business a good model of continuous potential growth power.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it's business will be the realization of stable plan based on the design of business and carefully throughout plan. The other key factors are the analysis of the objective source and current market demands, the development of contents and story telling. Also the development of strategy of the content including OSMD(One-Source Multi-Device) and OSMU(One-Source Multi-Use) through the step analysis of the result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With the help of analyzing the successful cultural model "Honggildong cultual content business in Jangseong, Jeonnam"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ase of OSMD and OSMU,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the successful strategy of regional culture resource brand. In order to provide a typical approach to the local government and cultural content industry which is trying to brand the regional cultual resource, this study researches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Honggildong cultural resources and it's process step by step which was already finished it's first business stage.

문화산업에 대한 경제적, 문화적 가치가 재조명되면서 지역문화자원을 디지털콘텐츠로 개발하고 브랜드화하려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의 모든 문화콘텐츠사업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공무원, 참여기업, 주민의 상생구조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성장 동력화의 모델로 발전시켜야 성공할 수 있다. 치밀한 기획과 사업설계를 통해 안정적인 추진계획 실현이 성공의 열쇠다. 또한 원천소스와 시장의 분석,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과 브랜드화 전략전개, 그리고 단계별 결과분석에 따른 OSMD(One-Source Multi-Device) 및 OSMU(One-Source Multi-Use) 전략 전개가 성패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대 규모의 민 관 합작 콘텐츠사업이며 OSMD, OSMU의 대표적 사례인 전남 장성군의 '홍길동 문화콘텐츠사업'을 분석하여 지역문화자원의 브랜드화 성공전략을 연구하였다. 이미 완료된 1차 사업을 대상으로 홍길동 문화자원의 발굴과 단계별 콘텐츠화 과정 및 브랜드화의 전략모델을 분석하고, 진행과정의 문제점을 연구함으로써 지역문화자원을 브랜드화하려는 지방자치단체 및 문화콘텐츠 기업에게 모범적인 접근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윤선, 전통문화유산의 지역문화콘텐츠 활용에 대한 고찰:호남지역의 무형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제49권 (2009년 5월) pp.333-378, 2009
  2. 류정아,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문화산업 발전과 지역활성화: 프랑스 앙굴렘 만화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유럽연구 24권 시작 쪽수 415p, 전체쪽수 18p, 2006
  3. 사순옥, 지역문화산업의 콘텐츠로서의 축제와 지역의 발전 :쾰른카니발, 독일언어문학 제39집 (2008년 3월) pp.355-375 , 2008
  4. 정경훈, 문화콘텐츠산업 관점에서 지역문화축제 평가요인이 마케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5. 원정환, 지역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6. 최종호,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과 문화콘텐츠 활용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전통문화논총 6호 (2008년) pp.279-298, 2008
  7. 정주연, 디지털환경에서 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역문화콘텐츠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지역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캐릭터 온라인 테마파크 컨셉제안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제7권 제3호 통권15호 (2007년 7월) pp.77-85, 2007
  8. 이정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관광콘텐츠의 지역개발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9. Laramee, Francois Dominic, "Game Design Perspectives ", Charles river Media, 2002
  10. Cappo Joe, The Future of advertising; new media, new clients, new consumers in the post-television age, McGraw-Hill, 2003
  11. Tsang, M.M.Ho.S.C, Liang T.P, Consumer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8(3), pp. 65-78, 2004
  12. Mihalic, Tanja, "Environmental management of a tourist destination: A factor of tourism competitiveness", Tourism Management, Vol.21, pp.65-78, 2000 https://doi.org/10.1016/S0261-5177(99)00096-5
  13. Throsby. D, "Assessing the impacts of a cultural industry",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 Vol34, No. 3, pp.188-204, 2004 https://doi.org/10.3200/JAML.34.3.188-204
  14. Yusuf S. and K. Nabeshima, "Creative industries in East Asia", Cities, Vol.22, No.2, pp.109-122, 2005 https://doi.org/10.1016/j.cities.2005.01.001
  15. Roberto Grandi, "The Lessons of European Cites (Capitals) of Culture Pregramme", 2008문화도시 국제컨퍼런스, 문화체육 관광부, 2008
  16. Koskimaa R. "Digital Literature: From Text to Hypertext and Beyond", PhD. Thesis, University of Jyvaskyla, 2000
  17. 재)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지역문화브랜드특성화콘텐츠 발굴지원사업 중장기 발전 전략연구 (2009)
  18. 최성규, 문화콘텐츠산업육성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19. 삼성경제연구소, 문화사업 개발과 지역 활성화 전략(2004)
  20.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산업클러스터 지형도 작성을 통한 지역문화산업 육성방안
  21.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관광부, 국내외 CRC관련 성공 사례분석을 통한 CRC모델 개발 연구보고서(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