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영상 제작에서 색 보정 결과가 입체감 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f perception of the visual depth caused by the color correction

  • 한명희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디지털영상제작) ;
  • 김치용 (동의대학교 영상정보대학 영상정보공학과)
  • 투고 : 2010.05.15
  • 심사 : 2010.06.26
  • 발행 : 2010.06.30

초록

오늘날의 디지털영상 제작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3D 이미징 기술은 첨단 TV와 컴퓨터에 응용되고 있으며 3D 입체 영상 제작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09년 개봉한 제임스캐머런(James Cameron)감독의 3D입체영화 '아바타' 흥행 이후 3D 입체영상에 대한 관심이 대두 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입체영상제작에 있어서 후반제작 공정상 색 보정이 입체의 깊이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기존 영상제작 후반작업에서의 색 보정과정을 3D입체영상 제작과정에 적용하여, 입체감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3D 입체영상 제작에 있어서 효과적인 영상처리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입체영상에서 색과 명암대비가 입체의 깊이감을 인지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을 전제로 색 보정 실험을 하였다. 입체감, 공간감, 깊이감의 변화에 대한 피 실험자 반응을 종합하여 입체감이 상승하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적용하여 15분 분량의 입체홍보영화를 제작 하였으며, 후반제작과 정상에서 색 보정 작업 결과가 입체를 인지하는 깊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의 실험은 평행리그와 직교리그를 통하여 촬영된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영상이미지를 실험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편집과정에서 컨버전스와 입체감을 수정한 후에 후반제작에서 색 보정 작업을 통하여 명암대비를 높였다. 그 결과 영상의 공간감과 깊이감, 그리고 돌출감이 증가한 영상을 제작 할 수 있었다.

These days, as digital producing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3D imaging technique is used in high-tech computer and T.V. Also study for 3D producing technique is actively in progress. Moreover, as James Cameron's movie, 'Avatar' released in 2009 was a box office hit, the issue about 3D image came to the fore again. At this point, I decided to study the effect of the visual depth caused by the color correction during the post-production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information about processing effective images through data about the effect of the visual depth that applies the color correction during the post-production stage. Basically, I supposed that color and contract would have effects on depth of 3D image. As a result, I could find out the changes of visual depth, space perception and sense of depth throughout the experiment. Applying this result,, I produced the 15 minutes of 3D advertisement movie and I found out that the color correction during the post-production stage was very effective for 3D depth.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by beam splitter based rig and parallel rig were used for this study. Also I adjusted the strong contrast by the color correction during the post-production stage after correcting convergence and visual depth during editing. As a result, I could produce images which had strong sense of space and sense of depth.

키워드

참고문헌

  1. 한윤영, 3차원 입체 영상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 김현빈, 김기호, 김진서, 김해동, 박창준, 이지형, 정일권, 추창우, 이민기, 훤히 보이는 디지털 시네마, U-북, 2006.
  3. 이형원, 혼합 현실 기술을 이용한 3D TV 컨텐츠 제작 기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2.
  4. 현승훈, "디지털 3차원입체 애니메이션의 촬영과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지, Vol. -No.15, pp.237-249, 2009.
  5. 한국색채학회, p20-21, 2005.
  6. 김세원, 디지털 컬러 사진에서 흑백으로 명도 전환에 따른 효과적인 방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9.
  7. 박규희, 평판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명암비 향상 기법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8.
  8. IJsselsteijn, W. A, de Ridder. H, Vliegen, J. "Subjective Evaluation of Stereoscopic Images : Effects of Camera Parameters and Display Duration", IEE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Vol.10, No.2, pp.225-233, 2000. https://doi.org/10.1109/76.825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