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Style and Elaboration strategy with regards to Multimedia Learning for Children

아동의 멀티미디어 활용학습에서 인지양식과 정교화전략의 관계

  • Received : 2010.03.30
  • Accepted : 2010.06.2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aboration strategy associated with multimedia learning for children. Main subjects of this study, which were 157 eight-, 150 ten- and 152 twelve-year-old children(total: 459). As a result, the elaboration strategy could find the facts to be effective to twelve-year-old children. And the elaboration strategy at cognitive style was not significant. We would suggest that the age is a significant variable to apply the elaboration strategy in multimedia learning.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활용학습에 있어서, 인지양식(장의존/장독립), 연령(만5세/만8세/만12세), 정교화전략적용유무(전문/요약문)에 따른 학습효과차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정교화전략은 연령이 높은 아동(만12세)에게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양식에 따른 정교화전략의 효과차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멀티미디어 학습에 있어서 정교화전략의 적용 시에는 연령이 중요한 변수로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정숙(2001). 초등학생의 지각학습유형과 영어학습 책략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6학년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선희(1991). 인지양식․학습전략과 학업성취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형수․김동일․황애경(2006). 학습자특성 및 적용 영역별 인지학습전략의 효과. 교육과학연구, 37(2). 43-74.
  4. 변숙영․최경숙(2005). 아동의 멀티미디어 활용학습에서 인지양식과 회상전략의 관계. 한국아동학회지, 26(3). 127-139.
  5. 임선하(1984).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자료의 제시형태가 개념획득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조경자․송승진․한광희(2000).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정보제시 유형과 인지부하가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과학회 논문지, 13(3), 47-60.
  7. 조경자(2000). 정보제시 유형과 인지양식이 멀티미디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한지혜(2008). 정교화 전략을 활용한 읽기 양상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홍성태․김희영(2000). 정보의 지시 형태가 아동들의 브랜드 회상에 미치는 영향. Hanyang Business Review. 12. 49-63.
  10. Mayer, R. E. & Anderson, R B.(1992). The instructive animation Helping students build connections between words and pictures in multimedia.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 444-452. https://doi.org/10.1037/0022-0663.84.4.444
  11. Mayer, R. E. & Sims, V. K.(1994). For whom is a picture worth ten thousand words? Extensions of a dual-coding theory of multimedia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 389-401. https://doi.org/10.1037/0022-0663.86.3.389
  12. Mayer, R. E. & Moreno, R. (1998). A split-attention effect in multimedia learning: Evidence for dual processing systems in working memory. J 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0, 312-320. https://doi.org/10.1037/0022-0663.90.2.312
  13. Witkin, H. A. & Goodenough, D. R. (1981). Cognitive style: Essence and origins field dependence and field independence. New York .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