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Trends on Child Tea Ceremony Education

유아다례교육 연구의 동향분석

  • 박영자 (능곡현대어린이집) ;
  • 최배영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문화산업학과)
  • Received : 2010.07.01
  • Accepted : 2010.08.25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system and contents of thesis which was published with a theme of child tea ceremony education. Under this purpose we have searched the thesis related to the child tea ceremony education which was in the data base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we have collected total of 22 analyzing subject dat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after analyzing the research system, the release year of child tea ceremony education study which was published from year 2000 to 2009 are shown as followings, 1 unit in year 2000, 2 units in year 2001, 2002 & 2003, 4 units in year 2004, 5 units in year 2005, 2 units in year 2006, 1 unit in year 2007, 2 units in year 2008, 1 unit in year 2009. The publishing type were 14 units of master's degree thesis, 6 units of academic journal, 2 units of doctor's degree thesis. The academic area of researchers are 8 units of propriety and tea culture, 5 uni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5 units of child welfare, 2 units of family culture and consumer, 1 each unit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korean culture. As per the research method there were 15 units of experimental study, 6 units of reference research, and 1 unit of thesis which adopts both interview and case stud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contents, the goal of child tea ceremony education was shown to be a holistic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a formation of basic living habit, a development of pride on traditional culture and an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The contents of child tea ceremony education has been classified into 57 items. The activity of child tea ceremony education has been classified into 34 items. The vitalizations of child tea ceremony education is shown to be a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a development of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durability of child tea ceremony education, and a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child tea ceremony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미라(2002). 유치원생의 다례교육에 대한실태조사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병동(2000). 유아의 대근육 및 소근육 운동발달조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현주(2006). 다도프로젝트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교육과정. http://www.mest.go.kr.
  5. 국립중앙도서관(2009). www.nl.go.kr.
  6. 국회도서관(2009). www.nanet.go.kr.
  7. 김미숙(2009). 매월당 김시습의 다도관 연구: 다시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순임(2005). 다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집중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영숙(2003). 선택된 유아 다례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부모의 유아평가자료로서의 활용.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희(2004). 초의선사의 다도관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정신, 전명진, 전재분, 정해은, 조경숙, 조희진(2007). 교사를 위한 유아 차생활 예절. 서울 : 교문사.
  12. 김정신, 조희진(2005). 유아 차예절교육의 유아교육과정에의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여성교양학회지 14, 213-234.
  13. 김종희(2004). 다도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희자(2004). 인간발달단계에 따른 다례교육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동춘(2005). 초의 의순의 다도 사상 연구: 동다송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애자(2008). 유아를 위한 통합적 다도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박준식, 이순영(2005). 석. 박사학위논문을 통해 본 한국 차문화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2), 31-48.
  18. 방혜선(2009). 유아다례교육이 유아운동발달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서은주(2008).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유아다례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송경섭(2007). 한국다례의 본질과 현대적 활용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송해경(2008). 초의 의순의 다도관 연구: 동다송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신문향(2008). Blended-Learning과 심상학습을 통한 다도교육 효과.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신미경(2008). 다사전적을 통해 본 송과 고려의 차문화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여상인(2005). 다도중심의 통합교육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오경주(2005). 유아다례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진주산업대학교 벤처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윤애라(2001). 전통차생활교육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연정(2004). 유아다도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은실(2006). 몬테소리 교육을 통해본 유아다도교육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일상생활영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향숙(2007). 현대 차생활 용어의 문헌적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혜자(2002). 어린이 다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차학회지 8(1), 17-42.
  31. 임현숙(2007). 초등학생을 위한 다도교육의 내용체계 및 지도방안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장순연(2000). 차예절 교육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장정화, 박근형(2008). 학교 차예절 교육 도입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차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11-15.
  34. 정영숙(2003). 다도교육이 유아의 EQ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차학회지 9(1), 1-30.
  35. 정영숙, 노현옥(2004). 유아의 EQ함양을 위한 다도교육 프로그램. 한국차학회지 10(2), 55-71.
  36. 정창순(2007). 다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정해은, 김정신, 조희진(2005). 유아 차예절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교양학회지 14, 235-269.
  38. 조명선(2009). 차생활교육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주영애(2001). 유아를 위한 다례교육프로그램 모형개발. 여주대논문집 9(1), 117-130.
  40. 주영애(2009). 유아예절 연구의 동향분석: 석. 박사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43-58.
  41. 주영애, 조선주(2009). 차 교육 효과성 연구의 동향. 생활문화연구 24(1), 1-12.
  42. 최은희, 이재림(1985). 한국의 차문화 고찰. 관동대학교 가정교육과 가정학연구 3, 113-125.
  43. 최진영(2003). 한재 이목의 차정신 연구: 다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9). http://www.riss4u.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