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heoretical Study on Family-Friendly Management - Dual Agenda Approach -

이중의제접근을 통한 가족친화경영

  • Lee, Ju-Yeon (Th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Seoul School of Integrated Sciences and Technologies) ;
  • Choe, Sok-Ho (Th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Seoul School of Integrated Sciences and Technologies)
  • 이주연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
  • 최석호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레저경영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0.04.01
  • Accepted : 2010.06.28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revious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to investigate personal work-life harmonization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n familyfriendly management using a dual agenda approach. The authors briefly identified trends and critically reviewed domestic researches on family-friendly management and foreign studies of scholars that overcame the limitations of domestic studies to present a foundation for work-life harmonization through a dual agenda approach. As a result, the existing family-friendly management was found to be compatible with work and family but was not effective in developing personal careers. The workers who actively accepted family-friendly management as part of their work-life balance were mostly female laborers who were employed part-time, had lower academic education, earned lower wages and, in general, were non-professional workers without specific skills or career aspirations. The remainder of the workers, full-time male employees, with higher education and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evitably worked longer, more labor-intensive hours, due to the advent of the dual agenda approach. A new work-life harmonization program is urgently needed not only for family-friendliness but also for healthy organizations,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and personal wellbeing.

Keywords

References

  1. 강혜련, 최서연(2001).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1), 23-42.
  2. 강혜련. 김효선, 이상미, 임주리. 장예지, 정수인, 김민(2006). 가족친화지수 개발 및 기관 측정. 여성가족부 연구보고서.
  3. 국회여성가족위원회(2005). 가족 친화적 기업제도에 관한 연구.
  4. 김수영(2005). 일본 기업의 가족친화적 정책. 안병철, 이숙현, 장은미, 정기선, 최은정, 김수영, 임인숙 공저. 가족과 기업. 서울 : 신정, 107-144.
  5. 김영미(2008). 한국사회, 일‑가족양립의 현주소. 지역사회연구 59(겨울호).
  6. 김태홍. 고인아(2001). 가족친화적인 고용정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여성개발원연구보고서.
  7. 김현기(2006). 가족친화적 경영,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LG주간 경제 12, 3-7.
  8. 김효선(2009). 부서의 업무과정특성과 여성비율이 듀얼아젠다에 미치는 영향 ‒지방자치단체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13(1), 191-211.
  9. 박보람, 김효선, 구자숙, 박찬희(2007). 부서의 업무과정특성과 가족친화분위기가 듀얼아젠다에 미치는 영향. 인사. 조직연구 15(2), 71-101.
  10. 삼성경제연구소(2006). 경영의 새 화두: 일과 생활의 균형. CEO Information.
  11. 송명희(2006). 산전후휴가 미활용 실태조사 및 노동시장복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학술용역결과 보고서.
  12. 안병철(2004). 기업의 가족 친화적 제도에 대한 일 고찰. 등장배경, 도입목적, 현황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9, 71-83.
  13. 여성가족부(2006). 가족친화 기업모델 및 사례연구. 여성가족부 연구보고서.
  14. 유계숙(2007). 가족친화 기업정책의 시행 및 이용 여부와 근로자의 직업만족도, 이직의도, 직무성과. 가족문화 19(2), 35-59.
  15. 유계숙(2008). 가족친화제도의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특징.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249-270.
  16. 유계숙, 전혜정, 최성일, 김병석, 장보현, 한지숙(2006). 출산 ‒가족친화 기업경영 확산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17. 유계숙, 최효진(2009). 공공기관의 가족친화 경영 활성화 방안.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4), 75-103.
  18. 윤소영(2008). 직장영역의 가족친화제도 도입과 성과, 그리고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2(2), 141-152.
  19. 이병훈, 김종성(2009). 가족친화경영 조직성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19(2), 153-175.
  20. 이선희, 김문식, 박수경(2008). 가족친화적 경영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 가설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1(3), 383-410.
  21. 이요행, 방묘진, 오세진(2005).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장만족, 이직의도, 그리고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장‑가정 갈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3), 639-659.
  22. 이유덕, 송광선(2009). 가족친화 경영, 직무특성, 가족특성, 그리고 일과 삶의 조화. 인적자원관리연구 16(4), 312-236.
  23. 임인숙(2003). 한국기업의 가족친화적 제도의 한계. 가족과 문화 15(3), 6-386.
  24.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2007).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경영 확산방안.
  25. 정기선, 장은미(2005). 가족친화적 정책이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 가족과 문화 17(1), 59-84.
  26. 정영금(2007). 가족지원경영학적 관심에서 의 일‑가정 균형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제 12차 추계학술대회, 67-81.
  27. 정영금(2009). 일‑가정 균형과 관련된 법과 정책의 비교 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85-105.
  28. 정영철(2004). CEO리포트: 미래 인사 트렌드 6. LG주간경제.
  29. 최석호(2004). 가족과 여가. 여가학연구 1(3), 45-55.
  30. 최성일. 유계숙(2006). 일. 가족조화를 위한 가족친화적 기업정책의 발달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51-73.
  31. 최은정(2005). 영국의 가족친화적 정책. 안병철 외 6명 공저. 가족과 기업, 77-104.
  32. 통계청(2010). 경제활동 인구조사.
  33. 한지숙. 유계숙(2009). 기업의 가족친화제도 시행의 장애요인과 탄력적 근무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207-220.
  34. 황수경(2008). 파트타임 등 일. 가정양립형 고용확대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남녀고용 평등 토론회 자료집, 3-17.
  35. LG경제연구원(2006). 2006년 대한민국 직장인 행복지수.
  36. Galinsky, E. D. S. Friedman,& Hernandez, C. A(1991). The Corporate reference guide. New York: Families and Work Institute
  37. Gambles, Lewis(2001). "Restructuring workplace culture: the ultimate work-family challenge? Woman in Management Review 16(1), 21-29.
  38. Gambles, R. Lewis, Suzan, & Rapoport, R(2006). The Myth of work-life balance. John Wiley & Sons, Ltd.
  39. Greenhaus, J. Colins, K. M, & Shaw, J. D.(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in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 510-531.
  40. Hark, Lisa.(1996). The family-friendly employer in europe. in Suzan Lewis and Jeremy Lewis(eds.). The work-family-friendly challenge: Rethinking Employment. London : Sage Publications.
  41. Hochschild, A. R.(1989). The second shift. New York : Avon.
  42. Hochschild, A. R.(1997). The time bind. When work becomes home and home becomes work. NY: Metropolitan Books
  43. Jacobs, J. A. & Gerson, K.(2004). The time divide. Harvard University Press.
  44. Lewis, Suzan & Cooper, L. Cary(2005). Work-life integration -Case Studies of Organizational Change. Chichester, U. K : Wiley.
  45. Perlow, L. M.(1997). Finding time -How corporations, individuals and families canbenefit from new work practice. Ithaca : Cornell University Press.
  46. Rapoport, R. & Rapoport, R. N.(1975). Leisure and the family life cycle. London : Routledge and Kegen Paul.
  47. Robinsion, John & Gedbey(1997). Time for life- The surprsing way americans use their time.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48. Ropoport, R. Bailyn, L. Fletcher, J. K & Pruitt, B.H(2002). Beyond work-family balance: advancing gender equity and workplace performance. chichester. UK : John Wiley & Sons.
  49. Schor, Juliet B.(1992). The Overworked American‒ The unexpected decline of leisure. Basic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