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munity Dynamics of Microbial Food Web during Algal Bloom by Stephanodiscus spp.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낙동강 하류부에서 Stephanodiscus속에 의한 수화 발생시 미생물먹이망 군집 동태

  • 서정관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 이혜진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 정익교 (부산대학교 해양시스템과학과)
  • Received : 2010.07.22
  • Accepted : 2010.08.15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The bloom of the genus Stephanodiscus was gradually extinguished after 18 April. Counts of bacterial population were increased as the diatom bloom was disappeared. Numbers of the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and ciliates were also increased during the disappearance of the bloom. The densities of the mesozooplankton, the major predator of the diatoms, started to increase in April. However, their growth was suppressed during the bloom period of the diatoms (from January to March). During the bloom period of the diatoms, the monthly average value of the basic productivity amounted up to 11,765.7 mgC $m^{-2}day^{-1}$, which is relatively high value considering the low temperature and light during that period. The growth rate of phytoplankton in March, when the bloom was beginning to be supressed was 0.007. The growth rate of phytoplankton was negative value in April when the decreasing of the algal density was started.

조사지점인 구포에서 발생한 규조류인 Stephanodiscus 속에 의한 수화현상은 본 연구 시점인 1월부터 관찰되었으며 4월 18일을 기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테리아 군집은 규조류 대증식 현상이 소멸한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규조류 수화현상이 종결되면서 조류에 의한 분비물 및 세포 분해 산물(cell lysis)이 수중에 많이 공급되어 박테리아 증식이 용이해졌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박테리아의 주요 포식자로 알려진 미세편모충류 (heterotrophic nanoflagellate)는 박테리아 군집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섬모충류는 미세편모충류의 군집증가 이후 수적인 증가가 관찰되었다. 규조류 대증식 현상이 약화되기 시작하여 종식되는 4월부터 5월까지는 Strombilidium속과 Tintinnidium속 이외에 근족충류에 속하는 Arcella sp.가 대량 증식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규조류 수화 현상이 종결되면서 수온이 상승하는 4월 중순 이후 급격히 늘어나는 현상을 보였으며, 대표적인 종은 윤충류인 Brachionous sp. 종으로 나타났다. 규조류 수화현상이 일어난 1월부터 3월까지 측정된 기초생산력은 월 평균 11,765.7 mgC $m^{-2}day^{-1}$으로 기온과 일사량이 낮은 동절기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규조류 대증식이 약화된 3월의 경우 식물플랑크톤의 순성장율이 0.007로 낮게 나타났고 수화현상이 보다 약화된 4월 조사에는 포식에 의한 치사율이 높아져서 순성장율이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낙동강하류에서 발생한 규조류 수화현상의 종결에 있어서 미생물먹이망을 구성하는 섬모충류등 원생동물과 동물플랑크톤에 의한 포식활동의 역할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화현상이 약화된 이후에 수체 내에 증가한 용존 유기물 등을 이용하기 위해 박테리아 개체군이 증가하였고 이와 관련되어 미생물먹이망 내 다양한 포식관계에 의해 미세편모충류, 섬모충류, 동물플랑크톤의 개체군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연구원. 2002. 낙동강 수계별 오염부하량 조사연구 (II).
  2. 김범철, 김동섭, 황길순, 최광순, 허우명, 박원규. 1996. 부영양한 낙동강수계에서 유기물오염에 대한 조류 1차생산성 기여도. 한국조류학회지. 11:231-237.
  3. 김현우. 1999. 과영양화 상태의 강에서의 수질, 플랑크톤 군집의 동태 및 동물플랑크톤에 의한 미생물 먹이환의 조절.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3pp.
  4. 이진애, 조경제, 권오섭, 정익교, 문병용. 1994. 낙동강 하구 생태계 식물성 플랑크톤의 일차생산성. 한국육수학회지. 27(1):69-78.
  5. 환경부. 2001. 호소환경조사법. pp. 255-258.
  6. Azam F, T Fenchel, JG Field, JS Gray, LA Meyer-Reil and F Thingstad. 1983. The ecological role of water column microbes in the sea. Mar. Ecol. Prog. Ser. 10:257-263. https://doi.org/10.3354/meps010257
  7. Bartholomew JW. 1962. Variables influencing results and the precise definition of steps in gram staining as a means of standardizing the results obtained. Stain Technol. 37:846-858.
  8. Bell R and TJ Kuparinen. 1984. Assessing phytoplankton and bacterioplankton preoduction during early spring in lake Erken, Seweden. Appl. Environ. Microbiol. 48:1221-1230.
  9. Gude H. 1986. Loss processes influencing the growth of planktonic bacterial population in lake Constance. J. Plankton Res. 8:795-810. https://doi.org/10.1093/plankt/8.4.795
  10. Holt JG, NR Krieg, PH Sneath, JT Staley and ST Williams. 1994.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9th Eds. Williams & Wilkins. Baltimore.
  11. Karen GP and SF Yvette. 1980. The use of DAPI for identifying and counting aquatic microflora. Limno. Oceanogr. 25(5): 943-948. https://doi.org/10.4319/lo.1980.25.5.0943
  12. Kemp PF, BF Sherr, EB Sherr and JJ Cole. 1993. Handbook of Methods in Aquatic Microbial Ecology. Lewis Publishers. New York.
  13. Palleroni NJ and JF Bradbury. 1993. Stenotrophomonas, a new bacterial genus for Xanthomonas maltophilia (Hugh 1980) Swings et al. 1983. Int. J. Syst. Bacteriol. 43:606-609. https://doi.org/10.1099/00207713-43-3-606
  14. Simon M and M Tilzer. 1987. Bacterial response to seasonal changes in primary production and phytoplankton biomass in lake Constance. J. Plankton Res. 9:535-552. https://doi.org/10.1093/plankt/9.3.535
  15. Thomas W, M Helga, M Rechard, C Pinto, S Anetee, S Doris and B Gisela. 1990. Response of the microbial loop to the phytoplankton spring bloom in a large prealpine lake. Limnol. Oceanogr. 35(4):781-794. https://doi.org/10.4319/lo.1990.35.4.0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