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Regular Participation in Pregnant Exercise on the Body-esteem and Pregnancy Stress

임산부 체조 참여가 신체평가 및 임신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Moon, Tae-Young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Kangwon University) ;
  • Park, Sun-Mu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
  • Han, Mi-Sun (Pure Well Prenatal Education Institute)
  • Received : 2009.12.28
  • Accepted : 2010.03.18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regnant women's participation in gymnastic exercise on their body evaluation and pregnancy str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0 female pregnant adults who were aged between 20 and 39 and resided in the region of Gangbook, Seoul. Out of them, 49 participants got pregnancy exercise, and 51 women didn't. A SPSS WIN 15.0 program was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making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regnant women made differences to their body evaluation and pregnancy stress in part. Second, whether they got pregnancy exercise or not made partial differences to their body evaluation and pregnancy stress. Third, the body evaluation of the pregnant women exerted a partial influence on their pregnancy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임산부의 임산부 체조 참여에 따른 신체평가 및 임신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으며 연구대상은 2009년 현재 서울 강북지역에 거주하면서 임신을 한 20세에서 39세 사이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임산부 체조 참여자 49명, 비참여자 51명 총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Windows 15.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할 분석기법은 빈도분석(Frequency),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사후분석(Scheffe),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구체적인 통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산부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평가 및 임신스트레스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산부들의 임산부 체조 참여유무에 따른 신체평가 및 임신스트레스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산부들의 신체평가가 임신 스트레스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지은선, 기체조중심 산전프로그램이 모아상호작용, 영아행동상태 및 임산부건강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2008.
  2. Clapp, J. F., Exercising Through Your Pregnancy, Omaha : Addicus Books, 1980.
  3. 서주영, 대구지역 임산부들의 규칙적인 운동이 영양섭취 및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4. 김성애, 임신 중 운동 프로그램이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 박영희, 김경래, 송유진, 스포츠 설문지 모음. 서울:홍경출판, 1999.
  6. 박순문, 신체평가와 기대종목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0.
  7. 안황란, 일부지역 임신부의 스트레스 요인 및 상황과 간호중재에 대한 기초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3(3), 75-84. 1984.
  8. 곽은주, 음악치료 산전 프로그램이 초임부의 불안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 대학원, 2006.
  9. 김미나, 기태교-청정공 교육이 임산부의 심신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료기공학회지, 7(2), 111-133, 2003.
  10. 현경선, 중년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단전호흡운동프로그램의 적응 효과,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11. 문 희, 요가운동이 임산부의 피로, 불안 및 분만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12. 김미나, 기태교- 청정공 교육이 임신부의 심신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료기공학회지, 7(2), 111-133, 2003.
  13. 지은선, 조결자, 기체조프로그램이 임부의 신체적 불편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학회지.10(1), 48-67, 2007.
  14. 조결자, 최양자, 조기출산 어머니의 신생아에 대한 지각, 부모역할 스트레스 및 불안, 여성건강간호학회지, 6(4), 384-391, 2000.
  15. 박혜진, 임산부체조가 산전.후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산업정보 대학원, 2002.
  16. 전선혜, 운동이 임산부의 분만자신감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2(5), 49-62, 2008.
  17. Karimova, G., & Martin, C. R.,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during pregnancy, psychology, Health and Medicine, 8, 89-103, 2003. https://doi.org/10.1080/1354850021000059296
  18. Katz, V. L., Exercise in water during pregnancy, Clinical Obstrics and Gynecology, 46(2), 432-441, 2003. https://doi.org/10.1097/00003081-200306000-00022
  19. 하영수, 한국 초임부의 심리상태에 관한 연구, 중앙의학, 14(4), 9-10, 1978.
  20. 정은순, 임신부의 불안도 평가, 부산의대잡지, 16(2), 261, 1976.
  21. 정송자, 임부의 공포와 개인 및 환경 변인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4(2), 131-143, 1974.
  22. 김원경, 행동과학. 서울 : 박영사, 1976.
  23. 김재연, 권인선, 조영채, 일부공무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과 직무만족도 및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1), 341-351, 2010,
  24. 허정원, 임신 및 분만 시의 심리적 변화에 연관된 제요인, 공중보건잡지, 11(1), 223, 1974.
  25. 오희선, 강경호, 족욕이 수험생의 스트레스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아로마 오일과 발효추출물의 비교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1(1), 402-408,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1.402

Cited by

  1. Factors Influencing Maternal-Fetal attachment among Pregnant Women vol.16, pp.3,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3.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