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 불리 한계농경지에서의 조, 수수, 기장의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Comon Millet Cereal Crops on Marginal Agricultural Lands

  • 윤성탁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이명철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
  • 김정순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
  • 장경우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허진우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김영복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김태호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남중창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남민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용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황재복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심상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김성민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 Yoon, Seong-Tak (College of Bio-Resource Science, Dankook Univ.) ;
  • Lee, Myung-Cheol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Jeong-Soon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Zhang, Qingyu (College of Bio-Resource Science, Dankook Univ.) ;
  • Xu, Zhen-Yu (College of Bio-Resource Science, Dankook Univ.) ;
  • Kim, Young-Bok (College of Bio-Resource Science, Dankook Univ.) ;
  • Kim, Tae-Ho (College of Bio-Resource Science, Dankook Univ.) ;
  • Nam, Jung-Chang (College of Bio-Resource Science, Dankook Univ.) ;
  • Nam, Min-Hee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ICS, RDA) ;
  • Lee, Young-Hawn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ICS, RDA) ;
  • Hwang, Jae-Bok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NICS, RDA) ;
  • Shim, Sang-In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Univ.) ;
  • Kim, Seong-Min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
  • 투고 : 2010.10.22
  • 발행 : 2010.12.31

초록

경사도가 높거나 농지의 지형적 토성적 이유로 농기계의 작업효율이 낮은 한계경지는 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어 이와 같은 불량환경에 적응성이 큰 조, 기장, 수수의 생육 및 수량특성을 검정하여 한계경지 적응 적정 작목 및 품종을 선발코자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 pH는 평탄지인 대조구가 7.85로 약 알카리성을 나타내었으며, 경사지 및 척박지는 각각 6.3, 6.2로 약산성을 나타내었으나, 자갈밭은 5.1로 강한 산성을 나타내었다. EC는 대조구에 비해 한계농경지(경사지, 척박지, 자갈밭)가 낮았으며, 특히 척박지는 0.05 dS $m^{-1}$로 가장 낮았다. 2. 조의 한계경지별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간장은 경사지에서 169.5 cm로 가장 컸으며, 자갈밭이 143.7 cm로 가장 작았다. 1수립수는 대조구를 제외하면 경사지가 4913.9립으로 많았으며, 3.3 $m^2$당 이삭수는 자갈밭이 85.3이삭으로 대조구에 비해 25% 적었다. 품종별 생육기간은 3품종 모두 112~113일로 차이가 없었다. 3. 기장의 파종기로부터 출수소요일은 한계경지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경사지가 787.1립으로 대조구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품종간 1수립수는 벼룩기장이 827.2개로 가장 많았으나, 1000립중은 5.5g으로 황기장 6.2g에 비해 작았다. 4. 한계경지별 수수의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1수립수는 대조구와 경사지가 각각 2598.1, 2563.8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삭수도 대조구와 경시지가 각각 26.7, 26.0이삭/3.3 $m^2$으로 가장 많았다. 품종별 생육기간은 3품종 모두 122~123이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목탁수수가 2357.6립으로 가장 많았으며, 메수수가 2071.8개로 가장 적었다. 1000립중은 장목수수가 23.8g으로 가장 무거웠다. 5. 조의 수량은 대조구가 295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경사지가 282.0 kg/10a으로 많았다. 품종별로는 몽당조가 252.3 kg/10a으로 수량이 가장 많았다. 기장의 수량은 대조구가 217.0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경사지가 196.0 kg/10a으로 많았다. 품종별로는 벼룩기장이 173.8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흰기장이 122.2 kg/10a으로 수량이 가장 낮았다. 수수의 수량은 대조구가 313.0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경사지가 301.7 kg이었으며, 품종별로 는 목탁수수가 236.5 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lect optimum minor cereal crop and variety for the marginal agricultural lands so that they would be used to increase the agricultural land use rate in mountainous areas. This experiment used three different marginal agricultural lands, that is, slope land, barren land and gravelly land. Soil pH of control field was 7.85, slightly alkali, whereas gravelly land showed strong acid(pH 5.1). EC of marginal agricultural lands was generally lower compared to the control, especially barren land showed 0.05dS $m^{-1}$ which was the lowest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Foxtail mille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heading and ripening date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Foxtail millet of slope land showed the highest culm length(169.5 cm) and grains per ear(4913.9 grains)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except control field. Growth duration of three varieties was varied from 112 to 113days, which was not different statistically. In grains per ear of common millet, slope land showed 787.1 grains which was the highest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except control field. Among varieties, Byorukgijang showed the highest grains per ear(827.2 g/ear), whereas 1000 grain weight was 5.5 g which was lower compared to that of Hwanggijang(6.2 g). In sorghum, slope land showed the highest grains(2563.8 grains) per ear and ears per 3.3 $m^2$(26.0 ears) except control field. Growth duration of three sorghum varieties almost the same from 122 to 123 days, whereas the highest grains per ear was obtained from Moktaksusu(2357.6 grains). Jangmoksusu showed the highest 1000 grain weight(23.8 g) among three sorghum varieties. In yield of three foxtail millets,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rom slope land(282.0 kg/10a)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and Mongdangjo showed the highest yield(252.3 kg/10a) among three varieties. In yield of three common millets,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rom slope land(196.0 kg/10a)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and Byorukgijang showed the highest yield(173.8 kg/10a) in three varieties. In three sorghum varieties,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from slope land(301.7 kg/10a) among marginal agricultural lands and Moktaksusu showed the highest yield(236.5 kg/10a) among three varie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정훈, 이호진. 1996. 도입 수수 유전자원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 Korean J. Crop Sci. 41(2): 207-214.
  2. 윤성탁, 허진우, 김성민, 김창영. 2008. 기장 유전자원의 농업적 특성. Korean J. Crop Sci. 53(4): 394-400.
  3. 윤성탁, 허진우, 장경우, 김인숙, 김태호, 남중창. 2010. 수수 유전자원의 작물학적 특성. Korean J. Crop Sci. 55(1): 83-90.
  4. 김정순, 고호철, 윤성탁, 조양희, 김정곤, 심창기. 2010. 잡곡유전자원을 이용한 유기종자생산 포장의 해충발생 소장. Korean J. Crop Sci. 55(1): 58-64.
  5. Cho MS, Choi YS, Kirn JH, Hea NK. 1999. Nutritional composition of Sorghum cultivars frorn Korea. Inst. Of Agr. Sci. Kangwon Nat. Univ. 10: 1-9.
  6. Choi BH. 1992. Traditional Pearl Millet Foods in Africa and Asia. Korean J. Breed. 24: 376-385.
  7. Ha YD, Lee SB. 2001. Protein characteristics of Pearl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Korean J. Food Preserv. 8: 189-192.
  8. Hulse JH, Laing EM, Pearson OE. 1980. Sorghum and the millets: their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Academic press. pp. 152-155, 187-193.
  9. Kil HY, Kim HY, Lee DW, Lee JG, Kim JK, Kirn MJ, Cho DH, Chung IM, Kwak JG, Yu CY. 2006. Analysis of biological activity in accessions of minor grains, Korean J. Breed Sci(S) 50: 508-509.
  10. Lee HS and Park EH. 1987. Characteristics of the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 L. Beauv) local collections in Korea. Korean J. Breed 19: 158-163.
  11. Soh HS, Lee SP, Ha Yd. 2002. Total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taria italic, Panicum miliaceum and Sorghum bicolo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123-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