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reedom of information in the Government 2.0 era

거버먼트 2.0 기반의 정보공개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김유승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10.07.30

Abstract

The concept of Government 2.0 is spreading rapidly in many countries and is fundamentally changing existing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 which has passively responded to information demands. This study aims at discussing possible strategies for a new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 that is based on the Government 2.0 notion which presents revolutional approaches to public sector information's creation, management, and usag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precedence studies and researches about both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 and Government 2.0 are analyzed. Furthermore,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are discussed. Through this discussion,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from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s which are based on Government 2.0 are explored. As a case study, Data.gov services in the US, the UK, and Australia which are recognised as a feasible plan to set up Government 2.0 are analyzed. Their three common characteristics- revaluating public sector information's reuse, establishing exclusive agencies, and providing raw data-are discussed. Then, various mashup services which use Data.gov services' raw data are also studied. Issues related to the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 in South Korea are examined. As a result, a policy framework for establishing Government 2.0 based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 is discussed in terms of three aspects, law, technology and organization.

2.0 패러다임과 정부 행정 서비스의 결합으로 설명되는 거버먼트 2.0의 개념이 서구 여러 나라에서 급속하게 확산되며, 일방적 '청구'를 중심으로 하여 왔던 기존 정보공개제도에 근본적인 변화를 제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정보의 생산, 관리, 활용에 있어 전향적 접근방식을 제시하고 있는 거버먼트 2.0과 정보공개제도의 변화와 전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거버먼트 2.0 기반의 정보공개제도 구현을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분산적으로 진행되어 온 정보공개제도와 거버먼트 2.0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며, 거버먼트 2.0의 개념과 정보 공개제도와의 상관성을 논한다. 이를 통해 거버먼트 2.0에 기반한 공공정보의 전향적 공유와 개방이 가져오는 경제적, 사회적 편익을 살핀다. 이어, 공공정보의 민주화와 혁신을 이끄는 거버먼트 2.0 구현의 유력한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는 미국, 영국, 호주 등의 Data.gov 사례들을 각각 분석하고, 이들 서비스들의 공통적 특성을 첫째, 공공정보의 공개와 재활용에 대한 인식, 둘째, 전담 조직을 통한 제도적 기반 마련, 셋째, 원정보(raw data)의 제공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나아가, 원 정보를 활용한 각국의 민간 서비스 사례들에 대한 연구와 함께 우리나라의 정보공개제도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논한다. 결론에 갈음하여,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미래적 패러다임으로서의 거버먼트 2.0에 기반한 정보공개제도의 구현을 위한 정책적 프레엄워크를 법, 기술, 조직의 3가지 측면에서 논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중앙대학교

Cited by

  1. 원문정보공개서비스를 위한 전자기록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vol.50, pp.None, 2010, https://doi.org/10.20923/kjas.2016.50.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