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rchiving of a village

마을 아카이빙 시론

  • 김익한 (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is study try to establish the method on the archiving of a village experimentally. For this study three standpoints were investigated. We discriminate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on general archives management and village archiving. We should grasp that the practice of village archiving is a means to the movement of village community reconstruction. And we clear up the point that village archiving head for the community ownership and the communication. This study clarified what were the constituent units in a village and what were the archives that were producted by the constituent units in a village. It is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rategy on a village to identify concretely the objects of village archiving. The main body who lead the village archiving is not archivist only. But he should be a man who serve his community and have the competency to deal with archives professionally simultaneously. The suggestion of village archiving in this study has the meaning that Korean archivists should get over the model of elite so that seek after new way of the going down to the archiving fields. village, community, the ordinance for the reconstruct of the beautiful village community, activistic archivist, archiving movement going down to the village fields, archiving by participation of community.

이 연구는 마을 아카이빙의 지향과 방법을 구안하기 위해 시론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마을 아카이빙의 지향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다음 세 가지 논점을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일반 기록관리 이론과 마을 아카이빙의 공통점과 차이점이다. 차이를 인식해야 기록관리 일반 이론을 응용하여 현실에 맞는 아카이빙 방법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은 마을 만들기, 마을 공동체 복원 운동의 일환으로서 마을 아카이빙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은 주체의 문제에서도 전문 아카비스트의 입장에서보다는 공동체 복원 운동가로서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동체 운동가로서 동시에 아카비스트의 전문성을 지니는 것이 최상의 선택이다. 마을 아카이빙을 하려면 마을의 구성과 각각의 구성에 의해 산출되는 기록의 유형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마을의 구성을 자연공간, 인문공간, 역사, 공동체 조직, 공동체 문화, 경제활동, 소조직 개별가호, 네트워크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성부분에서 생산될 만한 기록의 유형들을 구체적으로 적시하였다. 마을 아카이빙의 주체와 방법에 대해서도 시론적으로 정리를 시도하였다. 마을의 공동생산이나 소비의 활동에 대한 아카이빙, 마을 역사에 대한 아카이빙, 자연공간, 인문공간 개선 활동에 대한 아카이빙, 교육, 네트워킹에 대한 아카이빙의 절차와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시론은 새로이 아래로부터의 아카이빙 운동에 우리 학계가 관심을 갖도록 주위를 환기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Cited by

  1. 지역 음식문화의 기록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명시 자연마을을 중심으로 vol.60, pp.None, 2010, https://doi.org/10.20923/kjas.2019.60.195
  2.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의 의미와 과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vol.65, pp.None, 2010, https://doi.org/10.20923/kjas.2020.65.089
  3. 모두를 위한 플랫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기반 일상 아카이브 설계 vol.66, pp.None, 2010, https://doi.org/10.20923/kjas.2020.66.157
  4.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모색 vol.69, pp.None, 2010, https://doi.org/10.20923/kjas.2021.69.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