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Temple Records Management System

사찰기록 관리 체계화 방안 연구

  • 박성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관리학과)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Buddhism was introduced in the Korea Peninsula 1600 years ago, and now there are over 10 million believers in Korea.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emple Records has a spiritual and cultural value in a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This study proposes a better management system of Buddhist temple records for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is system Not only supports transparency of religious affairs, but presents a way for a more effective management. in this study, I conducted a study on the national legislation for the preservation of buddhist temples and the local rules of religious affairs from the Jogye Order. Through this, I analyzed the problems of Buddhist records management. in the long term, to improve these problems, I purpose the establishment of temple archives be maintained by parish head offices. This study presents a retention schedule for this systematic establishment system. I present charts for the standard Buddhist records management that manage the total process systematically from the production of records to its discard. Also I present a general plan to prevent random defamation of Buddhist temple documents and impose a duty for preservation. I intend for this plan to be subject to discussion and tailored to the particular needs of temple reads. In creating these charts standard of Buddhist temple records management, I analyzed operating examples of foreign religious institutions and examined their retention periods. I also examined the retention periods and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Jogye Order. Then I presented ways for this management system to operate through computer program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large scale management system to arrange the records of buddhist documents. We must enforce the duty of conserving records through the proposed management system. We need the system to manage even the local parish temple records through the proposed management system and the operation of the proposed archive system. This study presents research to from the basic of the preservation and the passing of traditional records to future generations. I also discovered the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value that these records contain. Systematically confirmed Buddhist temple records management will pave the way that thes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cords handed down from history can be the cultural heritages. establishing a temple records management system will pave the way for these cultural records to be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as cultural heritages.

본 연구는 한국불교 사찰의 기록물관리 체계를 세우기 위한 것이다. 사찰기록물 분석을 시작으로 한국의 사찰 종무행정 기록관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검토하였다. 기록관리 체계를 세우기 위한 방안으로는 교구기록관 설립, 사찰기록관리법 시행, 사찰기록관리기준표 도입 등이 주요요소이다. 한국불교는 1600여 년 전에 시작되어 현재 천만이상 신도의 정신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신도들의 신행 장소인 사찰의 기록은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정신적 전통문화적 가치가 크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역사 문화적 역할을 하고 있는 불교사찰 기록물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내적으로는 투명한 사찰 종무행정을 지원하고 나아가 역사 문화적인 가치 실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록관리 발전에 대한 방안제시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먼저 불교기록물은 종무행정 과정을 통해서 생산되므로 불교기록과 종무행정은 무엇이며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지방종무행정기관인 사찰에 대한 국가법규와 조계종 종법령에 대한 검토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어 사찰의 기능과 사찰기록의 특징적인 면은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찰기록물 관리의 문제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찰기록물 관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장기적으로는 교구본사별 기록관의 설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체계적인 설립을 위한 종법 시안이 필요하다. 단기적으로는 사찰기록물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기록물의 전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준마련을 위해 사찰기록관리기준표 시행이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사찰기록물의 임의적 훼손을 방지하고 보존을 의무화하여 중요기록물의 영구보존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철 명칭을 표준화하여 기록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논의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사찰기록관리 기준표를 만들기 위해 해외 종교기관의 기록관리기준표 운영사례를 분석하였고, 보존기간 책정기준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조계종 중앙종무기관의 분류사례를 검토하였다. 사찰기록물 관리는 그동안의 기록물을 정리하여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기록관리기준표의 시행을 통해서 기록보존 의무화를 시행하여야 하며, 기록관리시스템 도입, 교구기록관 제도의 시행 등을 통하여 말사 기록물까지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조계종 사찰 기록유산이 체계화된 관리를 통하여 올바르게 보존 전승될 수 있도록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체계적으로 확립된 사찰기록 관리는 역사 속에서 전승된 유무형의 전통문화 기록들이 문화유산화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