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Administration of Labor's Records in the custody of the National Archives

노동청 기록의 재조직에 관한 연구 - 국가기록원 소장 기록을 중심으로 -

  • 곽건홍 (한남대학교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Published : 2010.01.30

Abstract

The Administration of Labor was responsible for the technical and practical functions like policy-making of labor matters and implementing the relevant laws. However, there has been a few record transferred to the National Archives to help find out the labor policy-making process. This is one of the typical examples that shows the discontinuity and unbalance, and disorderly filing of the administrative records in Korea. Naturally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trieve the appropriate content through the records file-name. Users should be at the trouble to compare the record items and their content one by one.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Administration of Labor' records, this research suggests the four-level analysis of functions of the Administration. The Administration of Labor' survived records could be linked to each level function. And the publication of the 'Records Abstract Catalog' providing users with more information about the records would pave the way for easier access to the records. In addition, it also suggests the logical re-filing of the survived records of which we cannot find the order or sequence. This re-organization of the survived records would help to establish the acquisition and appraisal policy of the labor records as well as the new way of description and finding tool hereafter. Drawing up labor history map is a starting point for the acquisition strategy of the labor records, which could allow users to gain systematic access on the survived records. Of course, extensive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the survived records is a prerequisite for the map. It would be required to research on the survived records of the other government agencies, including economic-social area ministries and investigation agencies and the National Assembly as well. It is also needed to arrange and typify the significant incidents and activities on thematic and periodic frames in the labor history. If possible to understand or connect the survived records and these accomplishments comprehensively, it would be of great help for the acquisition of the labor records and the related oral records projects.

노동정책 수립과 생산현장에서 노동법령을 관철하는 행정기관으로서 노동청은 주로 기술 실무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노동청 잔존 기록 또한 노동정책 결정과정을 알 수 있는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며, 불균형적으로 존재하는 행정기록의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노동청 잔존 기록은 이관 당시의 무질서한 편철 상태가 유지되어 있어 기록철명으로는 기록의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비록 기록철을 찾았다고 해도 일일이 기록건과 내용을 파악해야 하는 수고를 이용자가 부담해야 한다. 노동청 잔존 기록을 재조직하기 위해 노동청의 기능을 4단계로 분해하여 잔존 기록을 연계하였다. 또한 '기록물 개요 목록'을 작성하여 이용자가 더 많은 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아울러 선후행 관계를 알 수 없는 잔존 기록에 대한 '논리적 재편철'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잔존 기록 재조직 방식은 향후 기록의 기술과 검색도구 제공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물론 노동기록의 수집 평가 정책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노동사 맵(map)을 작성하는 것은 노동기록 수집 전략의 출발점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잔존 기록에 대한 접근을 구조적으로 할 수 있다. 노동사 맵 작성을 위해서는 먼저 잔존 노동기록의 광범위한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 경제사회분야 행정기관은 물론이고, 수사기관, 국회 등의 잔존 기록을 조사 분석해야 한다. 이와 함께 노동사 주요 사건과 활동을 주제별, 시기별로 표상화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를 바탕으로 잔존 기록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노동기록 수집과 구술사 프로젝트의 수행 등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Cited by

  1.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vol.54, pp.None, 2010, https://doi.org/10.20923/kjas.2017.54.179
  2. 일본 가나가와현(神奈川?) 아카이브 연구 vol.63, pp.None, 2020, https://doi.org/10.20923/kjas.2020.63.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