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서비스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 발행 : 2010.11.30

초록

본고에서는 ICT서비스가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ICT서비스를 IT제조업, 통신 및 방송 서비스업, 컴퓨터관련 서비스업으로 재분류하고 2005년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산유발계수에서는 민간소비와 정부소비지출에 있어서 기간통신서비스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IT산업이 제조업분야 보다 서비스 분야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민간 및 정부 소비지출 측면에서 통신 및 방송서비스, S/W 및 컴퓨터관련 서비스 부문이 높게 나타났다. 수입유발효과는 정보통신기기 부품 등의 수입유발이 컸으며, 서비스관련 사업은 수입유발이 낮게 나타났다. 취업유발과 관련되는 노동유발효과는 제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비스업 측면에서는 S/W 및 컴퓨터 관련 서비스업에서 소비나 투자수요와 관련하여 높은 취업유발효과들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산유발과 고용유발 측면에서 IT제조업 분야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원순, 이성규," 러시아 정보통신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파급효과 분석 -", 슬라브학보, 17(2), pp.1-51, 2002.
  2. 김명호, 정분도," e-biz 정책 : 정보통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 8(4), pp.213-227, 2007
  3. 김용규, 김택식," 특집 : IT산업과 한국경제 ; 전파산업의 경제적 비중과 산업연관효과", 정보통신정책연구, 9(2), pp.197-217, 2002.
  4. 김원중외 5명," 통신서비스산업과 타 산업간 산업연관 효과 분석", 기본연구, 1999(11), pp.1-118, 1999.
  5. 김재경, 홍동표,"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한.미.일 IT산업 분석", IT산업시장환경 연구시리즈, 2003(9), pp.1-51, 2003.
  6. 박순희외 3명," 정보통신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분석: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기본연구, 1985(6), pp.0-105, 1985.
  7. 송정훈, 김기홍,"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한국 IT 서비스산업의 구조 분석", 국제통상연구, 13(2), pp.21-45, 2008.
  8. 정동진, 정해식," 정보통신산업 수출 및 가격변화의 파급효과 분석: 2000년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 11(2), pp.21-54, 2004
  9. 정분도," 정책 : 임금인상에 따른 IT산업의 물가변동효과 분석", e-비즈니스연구, 9(2), pp.137-157, 2008
  10. 정시연, 최계영, 홍동표," 정보통신산업의 산업연관 분석(1990-1998)", 정보통신정책연구, 2001(2), pp.59-88, 2001.
  11. 정현준," 초점 :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IT산업구조 및 파급효과 분석", 방송통신정책, 20(4), pp.1-61, 2008.
  12. 허재용, 유승훈, 곽승준," IT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RAS기법의 응용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1(2), pp.483-500, 2008.
  13. 홍동표, 홍종호," 특집 : IT산업과 한국경제 ;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한,미,일 소프트웨어산업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 9(2), pp.247-273, 2002.
  14. 한국은행," 2005년산업연관표", 2009.
  15. 한국은행," 2007년산업연관표", 2009.
  16. 한국은행," 2003년산업연관표", 2007.
  17.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