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신호를 이용한 A16 혈자리와 심장 기능의 연관관계 분석

Analysis of Association Relationship Between A16 Acupuncture Point and Heart Function Using Voice Signals

  • 김봉현 (충북도립대학교 정보통신과학과) ;
  • 조동욱 (충북도립대학교 정보통신과학과)
  • 투고 : 2010.09.13
  • 심사 : 2010.11.03
  • 발행 : 2010.11.30

초록

최근 들어 삶의 지표가 향상됨에 따라 질병이 발생되지 전에 조기 진단하는 예방, 보건의 건강 패턴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예방, 보건 분야를 반영하는 대체의학으로 수지침 요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성장에 해당하는 상응점인 A16 혈자리를 자극하여 심장과 관련된 음성 요소의 변화를 측정하고 상호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성장 가능의 향상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심장 상응점인 A16 혈자리를 자극하기 전과 후의 음성을 수집하였으며 심장과 연관성이 있는 음성 신호 분석 요소인 제2포먼트 대역폭과 지터를 적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A16 혈자리 자극에 의해 제2포먼트 대역폭과 지터가 낮아지는 결과를 추출했으며 이를 통해 IT 음성 신호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심장 기능이 향상되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As indicators of life quality have recently shown great improvement, early stage medical examination and health care patterns are usually preformed before diseases occur. Thus, hand acupuncture, as an alternative medicine to reflect these movements of preventative work and health care, is widely used these days. Therefore, in this paper, we measured the change of voice signals elements associated with heart by stimulating the heart A16 acupuncture point, and then we investigated possible improvements of cardiac function through analysis of cross-comparisons between measurements of cardiac changes. With this in mind, we collected voice samples associated with heart before and after stimulating the corresponding A16 acupuncture point, and we performed an experiment by applying the second formant bandwidth and Jitter. As result, stimulating the A16 acupuncture point results to lowering the second formant bandwidth and Jitter. The result has proven that using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can help improvement of heart fun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한우물봉사단, 수지침 기초편, 김영사, 2004.
  2. 유태우, 수지침, 고려수지침, 2008.
  3. 유태우, 유태우박사의 생활 수지침, 태웅출판사, 1998.
  4. 고려수지침학회, 심승방 + 심포정방 심장병, 신우승, 2007.
  5. 정인수, 손발마사지, 삼호미디어, 2000.
  6. 신동원 외,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도서출판 들녘, 1999.
  7. 김봉현 외 1, "심장 상태와 발음간의 연관성 분석을 위한 성대 진동의 변화율 추출,"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35 No.02, 2010.
  8. 김봉현 외 2, "심장 질환 진단을 위한 한의학적 청진 기반의 설음 분석,"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34 No.08, 2009.
  9. 최형주, 황제내경소문(한의학의 성서), 자유문고, 2004.
  10. 정남식, 심음의 청진과 실제, 정담, 2004.
  11. Lutz Welling and Hermann Ney, "Formant Estimation for Speech Recognition," IEEE Trans. on Speech and Audio Processing, Vol.06, pp.1063-1076, 1998.
  12. Boone, D. M. & McFarlane, S. C, The Voice and Voice Therapy(4th ed.), Englewood Cliffs, NJ:Prentice Hall, 1988.
  13. 남해성, 평균치의 통계적 분석, 충남의대 예방의학교실, 2007.
  14. H. Wakita, "Direct Estimation of the vocal Track shape by Inverse Filtering of Acoustic Speech waveforms," IEEE Trans. A&E, Vol.50, No.02, pp. 637-655, 1971.
  15. 양병곤, 프라트를 이용한 음성분석의 이론과 실제, 만수출판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