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컨셉(High Concept)을 통해 본 패션의 감성적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Expression of High Concept-Reflected Fashion

  • 백정현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 배수정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Baek, Jeong-Hy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Bae, Soo-Jeo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 투고 : 2010.08.10
  • 심사 : 2010.09.10
  • 발행 : 2010.11.30

초록

Since emotion, creativity, and imagination has become the source of creating added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oncept of high concept which has appeared as a major key word of modern culture and analyze the types of emotional expression found in modern fashion. Study methods were focused on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y news stories at home and abroad. The examples of case study were collected in fashion collection journals and related Internet web sites with their focus on from 2000 S/S to 2009 F/W to analyze emotional expression found in high concept-reflected fashion. The concept of 'high concept' suggested by Pink, Daniel H. lays on stress on ability to creative emotional value or cultural artistic value hidden behind the functional value, to make stories, and to combine ideas which do not seem to be connected with existing things. As a result of study, The forms of emotional expression found in high concept-reflected fashion included: art collaboration and art inspiration which were expressed through cross-category of culture and art; multi-culture design which expresses a mixture between western fashion and oriental costumes; funology design which expresses efficient value by high technology and fun value through humorous elements; and emotional digital design which can be transformed in function, shape and the use of materials representing light which is effectively used for fashion to represent fantasy or illusion connected with digital technology.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혜주, 이상만 (2006). 감성경제와 Brand design management. 서울: 형설, p. 34.
  2. 김미지자 (1998). (21세기 디자이너를 위한)감성공학. 서울: 디자인오피스, pp. 4-5.
  3. 이경희 (2001). 패션감성의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5(3), pp. 537-547.
  4. 이경희, 김유진 (2001). 패션감성의 척도화 과정. 한국감성과학회지, 4(1), pp. 33-42.
  5. 조현승, 이주현 (2003). 소비자 감성에 기초한 패션소재 디자인프로세스 모형의 제안. 패션비즈니스, 7(1), pp. 14-26.
  6. 김수나 (2008). 패션소재 트렌드 정보지에 나타난 감성언어 분류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임현숙 (2005). 감성디자인이 현대패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I.F. Network紙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6(3), pp. 301-308.
  8. 김지희, 유태순 (2007).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디지털 문화의 감성성에 관한 연구. 복식, 57(8), pp. 1-13.
  9. 김보영, 금기숙 (2008). 현대패션에 나타난 하이터치 (high touch)에 관한 연구. 복식, 58(4), pp. 72-85.
  10. 김은영 (2003). 패션 브랜드의 감성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최선형 (2004). 패션 마케팅과 감성. 생활과학연구논집, 24(1), pp. 131-151.
  12. 강진영, 윤한희 (1998). 패션-감성 비즈니스의 접근과 이해. 섬유기술과산업, 2(4), pp. 485-489.
  13. 이재동, 김원제 (2007). 퓨전 테크 그리고 퓨전 비즈: 그 무한한 가능성. 서울: 도서출판ITC, p. 21.
  14. Pink, Daniel H (2005). A Whole New Mind. 김명철 역 (2006). 새로운 미래가 온다. 한국경제신문사.
  15. Pink, Daniel H (2005). A Whole New Mind. 김명철 역 (2006). 새로운 미래가 온다. 한국경제신문사. p. 11.
  16. Pink, Daniel H (2005). A Whole New Mind. 김명철 역 (2006). 새로운 미래가 온다. 한국경제신문사. p. 45.
  17. Pink, Daniel H (2005). A Whole New Mind. 김명철 역 (2006). 새로운 미래가 온다. 한국경제신문사. p. 69.
  18. Pink, Daniel H (2005). A Whole New Mind. 김명철 역 (2006). 새로운 미래가 온다. 한국경제신문사. p. 53-54.
  19. Pink, Daniel H (2005). A Whole New Mind. 김명철 역 (2006). 새로운 미래가 온다. 한국경제신문사. p. 93-230.
  20. 이봉덕(2002).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미학적 특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6.
  21. 이향은, 이순종 (2009). 하이컨셉 시대의 디자이너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5), p. 167.
  22. Pink, Daniel H (2005). A Whole New Mind. 김명철 역 (2006). 새로운 미래가 온다. 한국경제신문사. p. 147.
  23. Pink, Daniel H (2005). A Whole New Mind. 김명철 역 (2006). 새로운 미래가 온다. 한국경제신문사. p.140.
  24. Pink, Daniel H (2005). A Whole New Mind. 김명철 역 (2006). 새로운 미래가 온다. 한국경제신문사. p. 146.
  25. 최호정 (2007). 현대패션에 나타난 글로벌.구조적 하이브리드- 아시아.아프리카.라틴 아메리카 복식 문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5.
  26. 노용현 (2009. 1. 14). 퍼포먼스 뮤지컬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 뉴시스. 자료검색일 2010. 7. 10, 자료출처 http://www.newsis.com/gallery/view.htm?cID =2&pID=1&page=1&s_skin=&s_date=&e_date=&s_k=&pict_id=NISI20090114_0000461278
  27. 임미현 (2005). 퍼포먼스(performance) '난타' 공연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학과 석사학위논문, p. 4.
  28. 신수연 (2008. 6. 3). 딜리셔스 샌드위치. 한국재경신문. 자료검색일 2009. 10. 5, 자료출처 http://life.jknews.co.kr/news/books_1602.htm
  29. 이혜주, 이상만 (2006). 감성경제와 Brand design management. 서울: 형설, p. 33..
  30. 박정애 (2010. 7). 당신은 디자이너인가. BAZAAR, p. 132.
  31. 박희진 (2007. 9. 14). 애경, 명화 포장지 비누.샴푸세트. 머니투데이. 자료검 색일 2008. 12. 30, 자료출처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07091211202329506&outlink=1
  32. 김해련 (2005). 히트 트렌드 전략. 서울: 해냄출판사, p. 12.
  33. 김연순, 김영룡, 김원제 외 (2008). 하이브리드 컬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 90.
  34. 오병찬 (2006). 유희적 감성이 적용된 디자인의 해석과 그 활용에 관한 연구- 데스크 탑 스피커 디자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35. 황경혜 (2001). 현대패션에 나타난 유희적(遊戱的) 빈티지(Vintage).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
  36. 오병찬 (2006). 유희적 감성이 적용된 디자인의 해석과 그 활용에 관한 연구- 데스크 탑 스피커 디자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37. iriver store. 자료검색일 2010. 7. 10, 자료출처 http://shop.iriver.co.kr/product/product_view.aspx?prdtCode=327638
  38. 이민훈 (2003). 기술과 감성의 융합 시대: 상품트렌드와 선도기업들의 대응. 삼성경제연구소보고서, p. 1.
  39. 이민정 (2003). 현대패션에 나타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1.
  40. Hill, Dan (2003). Body of truth : leveraging what consumers can't or won't say. 이정명 역 (2004). 감각 마케팅. 비즈니스북스, p. 39.
  41. 김경중 (2002).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9.
  42. 이군 (2009. 1. 29). 위 핏. 디지털타임스. 자료검색일 2009. 5. 9, 자료출처 http://www.dt.co.kr/contents.ht ml?article_no=2009013002011231699001
  43. 배일한 (2009. 1. 29). 햅틱의 미래. 전자신문. 자료검색일 2009. 5. 9, 자료출처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901290022
  44. 임지영 (2003). 촉지각 특성을 이용한 감성 지향적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자동차 실내의 센터페시아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8.
  45. 강승민 (2009. 1. 21). 살까 말까, 손끝에게 물어봐. 감각 깨우는 터치 마케팅. 중앙일보, p. 23.
  46. 류재용 (2009. 1. 11). 삼성 햅틱UI MP3 'P3', 해외서 상복(賞福) 터져. 아크로팬. 자료검색 2010. 7. 10, 자료출처 http://www.acrofan.com/ko-kr/consumer/news/20090111/00000005
  47. Gobe, Marc (2001). Emotional branding. 이상민, 브랜드앤컴퍼니 역 (2002). 감성디자인, 감성브랜딩. 김앤북스, p. 40.
  48. 간호섭 (2008). 현대 패션에 나타난 콜레보레이션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
  49. 리, 데본 (2008). 콜래보 경제학: 새로운 부와 네트워크를 창출하는 콜래보레이션 성공전략= Collabonomics.서울: 흐름출판, p. 28.
  50. 이효영 (2009. 10. 14). 생활용품 시장 아트 디자인 열풍: 욕실.주방용품 등 유명디자이너와 협업 늘어. 한국일보. 자료검색일 2009. 1. 9, 자료출처 http://econo my.hankooki.com/lpage/industry/200810/e20081014173 83447670.htm
  51. 호텔 프티 물랭, 한겨례, 자료검색 2009. 1. 9, 자료출처 http://www.hani.co.kr/kisa/section-.005001000/2005/11/005001000200511091733405.html
  52. 백정현, 배수정 (2010). 현대패션에 나타난 Contemporary Art Inspiration 연구. 패션비즈니스, 14(1), p. 144-150.
  53. Gustav Klimt (1907). Adele Bloch-Bauer. 자료검색일 2009. 10. 5, 자료출처 http://www.klimt.com
  54. Christian Dior, Haute Couture Collection, Paris, 2008/SS,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55. Diehl, M. E. (1976). How to produce a fashion show.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p. 1.
  56. Viktor & Rolf, Ready to Wear Collection, Paris, 2004/SS,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57. Miu Miu, Ready to Wear Collection, Milan, 2003/SS, Giorgio Armani Privé, Haute Couture Collection, Paris, 2009/SS, Alexander McQueen, Ready to Wear Collection, Paris, 2008/SS,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58. Jean Paul Gaultier, Haute Couture Collection, Paris, 2004/SS, Christian Dior, Haute Couture Collection, Paris, 2007/SS, Jean Paul Gaultier, Haute Couture Collection, Paris, 2007/SS,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59. 한경미 (2004). 일본 패션 디자이너의 의상에서 나타난 zen-style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
  60. Yves Saint Laurent, Ready to Wear Collection, Paris, 2008/SS, Alessandro Dell'Acqua, Ready to Wear Collection, Milan, 2008/SS,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61. 함수민 (2007).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퍼놀로지 현상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6.
  62. Sonia Rykiel, Ready to Wear Collection, Paris, 2009/ SS,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63. Luella, Ready to Wear Collection, New York, 2006/ SS,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64. 이진영 (2006. 8. 31). 애니메이션과 명품패션의 만남, 안나수이 '몬테 크리스토' 캐릭터 꾸며.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08. 12. 30, 자료출처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08310036
  65. Quinn, B. (2002). Techno Fashion. Oxford; New York: BERG, p. 119.
  66. 나영원 (2003). 복식에 표현된 트랜스포메이션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7.
  67. 장애란 (2002). Hussein Chalayan의 실험적 디자인. 복식, 53(5), p. 94.
  68. Hussein Chalayan, Ready to Wear Collection, Paris, 2007/FW,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http://www.waldemeyer.com/robot.html
  69. Hussein Chalayan, Ready to Wear Collection, London, 2000/FW,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http://www.waldemeyer.com/robot.html
  70. 정훈실 (2007). 패션산업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영역간의 콜레보레이션(Collaboration).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5.
  71. Hussein Chalayan, 2008/SS, 자료검색일 2010. 1. 20, 자료출처 http://www.waldemeyer.com/laser.html
  72. Alexander McQueen, 2006/FW, Mode et Mode, Vol. 335, p.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