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ypes of Trousers of Yunnan Minorities in China

중국 운남지역 소수민족 바지 전개

  • Kim, Hye-Young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Life Sciences, Sungkyunkwan University) ;
  • Cho, Woo-Hyu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김혜영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조우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
  • Received : 2010.01.10
  • Accepted : 2010.10.05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Yunnan, where twenty-six minor ethnics live, is located in Southwest part of China. They have preserved and developed their folk costume, artcraft, music and dance in their peculiar way with natural and cultural surroundings. So, Yunnan is known as a living folk museum. It's worth examining how climate and circumstances change has affected certain differences of dress shape in same ethnic. Research into costumes of minor ethnics can contribute to the study of origin of the trousers, as this group of people have well succeeded the basic form of trousers through their cultural history and everyday life. This study, at first, investigates geographical surroundings of each minor ethnic group, and figures out the style of all trousers by measuring the each size, then compares design color pattern and fabric. The origin of trousers examined by formative characteristics has been classified and comparatively studied. The study materials are twenty-three trousers selected from in Yunnan Folk Museum as well as other relevant literature records. This study suggests that one can examine the type of human culture through the forms of costume which reflects folk custom geography economy etc. This, in turn, can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other studies, and in particular, for the study of origin and structure of the trouser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시

References

  1.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 246.
  2. 문명수 (2003). 중국 원남성 선교전략 연구.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pp. 16-17.
  3. 아시아민족조형학회 (2003). 2003전통문화국제학술회의 및 아시아민속문화 EXPO.
  4. 류제헌 (1999). 중국역사지리. 문학과 지성사, p. 291.
  5. 劉忠傑외 (1996). 中國地理. 白山出版社, p. 454.
  6. 조우현, 박춘순 (2010). 세계민족복식., 서울: 민속원, pp. 21-22.
  7. 小川安郞(1979). 민족복식의 체계. 의생활 연구회, p. 25.
  8. 박춘순 (1998). 바지의 문화사. 서울: 민속원, pp. 29-30.
  9. 조규화 (1979). 바지의 기원 및 그 교류. 국민대학교논문집, 16, p. 217.
  10. 박경자, 이운경 (1990). 東北亞細亞袴의 發生및 傳播에 關한 硏究. 복식, 15, p. 180.
  11. 김인숙 (1989). 中國바지 形制고찰. 한국의류학회지, 13(3), p. 270.
  12. 杉本正年(1979). 東洋服裝史論攷古代編. 東京: 文化出版局, p. 238.
  13. 加藤定子(2002). 中央コーラシア古代衣服の硏究. 東京: 源流社, pp. 141-145.
  14. 김인숙 (1989). 中國바지 形制고찰. 한국의류학회지, 13(3), p. 273.
  15. Henny, Harald, Hansen (1950). Mongol costumes. etnografisk bamling, pp. 106-107.
  16. 박춘순 (1991). 바지고-바지형태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과정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79-188.
  17.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 17
  18. 소황옥, 김양희 (2008). 중국소수민족과 복식. 서울: 경춘사, pp. 122-123.
  19.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131.
  20.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p. 101-103.
  21.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 117.
  22.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p. 123-127.
  23. 조오순 (1996). 중국서남지역 소수민족의 복식. 디자인연구, 1, p. 133.
  24.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p. 186-187.
  25.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 197.
  26. 소황옥, 김양희 (2008). 중국소수민족과 복식. 서울: 경춘사, pp. 205-206.
  27.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p. 197-199.
  28. 조오순 (1996). 중국서남지역 소수민족의 복식. 디자인연구, 1, p. 136.
  29.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p. 143-145.
  30.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 145.
  31. 소황옥, 김양희 (2008). 중국소수민족과 복식. 서울: 경춘사, p. 146.
  32.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 146.
  33.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p. 137-139.
  34.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p. 35-36.
  35.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p. 128-130.
  36. 조오순 (1996). 중국서남지역 소수민족의 복식. 디자인연구, 1, p. 139.
  37.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 162..
  38. 조오순 (1996). 중국서남지역 소수민족의 복식. 디자인연구, 1, p. 144.
  39. 박춘순, 조우현 (2002). 중국 소수민족 복식. 서울: 민속원, p. 157.
  40. 박춘순 (1991). 바지고-바지형태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과정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8-11.
  41. 고복남 (1984). 한국의복의 유형과 양식에 대한 분석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3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