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시판 즙장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ercial Jeupjang

  • 김하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황인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유선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황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차성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 김행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투고 : 2010.11.04
  • 심사 : 2010.12.03
  • 발행 : 2010.12.30

초록

Jeupjang has long been considered only a local delicacy. So, it has gradually been forgotten because its name and definition have not been establishe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ovide some basic data by comparing the general components, color, free amino acids, free sugar, organic ac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between commercial Jeupjang(GG, GD, JM, NJ, NS). Moisture contents,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contents of Jeupjang were 48.07~61.77%, 4.08~10.53%, 3.92~4.64%, and 3.63~9.95%. pH, titrable acidity and salt in Jeupjang were 4.32~5.50, 9.37~14.82 mL(1N-NaOHmL), and 3.27~8.90%. Amino-type nitrogen content is 42.05~ 138.83mg%. Lightness(L), redness(a) and yellowness(b) values in color of Jeupjang were10.04~21.89, 18.92~28.80, and 17.16~37.56. The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s in commercial Jeupjang ranged from 35.22mg% to 306.02mg% in which it showed wide variation among samples.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and proline. The major free sugars were fructose(0.31~1.60%), glucose(6.20~ 13.61%) and maltose(7.34~10.01%). The major organic acids were succinic acid(29.08~ 103.62 mg%) and citric acid(3.08~108.69 mg%).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from 1.16 mg/g to 1.78 mg/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s from 0.57 AEAC to 1.53 AEAC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s from 1.58 AEAC to 2.85 AEAC. This result might cause the differences of soybean composition, processing methods and brewing periods. For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fermented food such as Jeupjang, quality standards are required. To this end, the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es must be followed.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농촌진흥청

참고문헌

  1. 구경형․최은정․박완수(2009) 고추씨 첨가 된장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8(11), 1587-1594. https://doi.org/10.3746/jkfn.2009.38.11.1587
  2. 권선화․손미예(2004) 된장 숙성기간중의 항산화 및 암세포 생육 억제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1(4), 461-467.
  3. 김성미․이춘자(2004) 증보산림경제의 장류 조리 가공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4(3), 175-186.
  4. 김현정․손경희․채선희․곽동경․임성경(2002) 된장의 지용성․수용성 추출물에 대한 갈색 특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8(6), 644-654.
  5. 박건영․이수진․이경임․이숙희(2005) 매실, 마늘 및 생강첨가 된장을 투여한 쥐의 Sarcoma-180 종양세포에서 항암효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1(5), 599-606.
  6. 박석규․서권일․최성희․문주석․이영환(2000) 시판 전통식 된장의 품질평가. 한국영양학회지 29(2), 211-217.
  7. 박석규․서권일․손미예․문주석․이영환(2000) 가정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6(2), 121-127.
  8. 박인배․박정옥․김정목․정순택․강성국(2005) 연근 분말을 첨가한 된장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4), 519-523.
  9. 박정숙․이명렬․김정수․이택수(1994) 미생물 급원을 달리한 숙성 된장의 질소성분과 아미노산 조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6(5), 609-615.
  10. 박정숙․이명렬․이택수(1995) 제조 원료를 달리한 된장의 숙성중 당과 지방산 조성의 변화. 한국영양학회지 24(6), 917-924.
  11. 안선정․복혜자(2007) 재래식 된장과 시판된장의 관능적 특성 및 소비실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2(5), 633-644.
  12. 우관식․유선미․임성경․전혜경․권오찬․이준수 (2004) 여러 가지 별미장의 숙성과정 중 향기성분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10), 1689-1697.
  13. 이성우․이현주(1986) 한국고문헌속의 장류색인.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2), 177-182.
  14. 이성우(1988) 한국 전통 발효식품의 역사적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3(4), 331-339.
  15. 이학태․김종호․이상선(2009) 작두콩 첨가 된장과 일반 된장의 생리활성 특성 비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4(1), 94-101.
  16. 임성경․유선미․김태영․전혜경(2004) 발효 조건을 달리한 비지장의 품질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6(3), 448-455
  17. 장미․김인철․장해춘(2010) 천일염이 된장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1), 116-124.
  18. 정복미․노승배(2004) 전통식 녹차된장과 일부 시판 된장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1), 132-139.
  19. 정순택․박양균(1999) 즙장의 전통적 유형과 제조방법의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4(2), 103-113.
  20. 정재홍․김종생․이상덕․최상현․오만진(1998) 시 판된장의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Isoflavone의 함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1), 10-15.
  21. 주현규․김동현․오균택(1992) 된장 koji 및 그 혼합에 따른 된장 숙성 과정중의 화학성분 변화.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35(5), 351-360.
  22. 최웅규․권오준․손동화․차원섭․조영제․이석일․양성호․정영건(2001) 시금장 발효 기간에 따른 품질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33(1), 107-112.
  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2000) 식품영양실험핸드북. 서울:효일문화사. 98-101
  24.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5. Hwang IG, Kim HY, Joung em, woo KS, Jeong JH, Yu KW, Lee J, Jeong HS(2010) Changes in ginsenosid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ith heating temperature and pressure. Food Sci Biotechnol 19(4), 941-949. https://doi.org/10.1007/s10068-010-01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