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재생사업 파급효과의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economic impact of regional regeneration program

  • 김의준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
  • 정다운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
  • 박주형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 Kim, Eui-June (Regional Information,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eong, Da-Woon (Regional Information,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o-Hyung (Regional Information,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11.15
  • 심사 : 2010.12.13
  • 발행 : 2010.12.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pillover effects of regional regeneration projects. This finds that the effects are positively determined by population sizes of regions and degree of industrial specialization of regeneration related industries. In particular,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facilities can contribute to increases of economic impacts of regeneration projects of high-income regions on the lagged regions. Microeconomic approaches and dynamic modelling need to be integrated for this impact analysis as further research field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원발전연구원, 2008, 동서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영향 및 파급효과 제고 방안.
  2. 고숙희, 1999, 지방자치단체 문화행사의 경제적 효과-단양온달문화축제의 분석, 한국행정학보, 33(2), 199-215
  3. 공성애, 최근희, 2005, 지역문화행사(이천 도자기축제)의 지역경제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보, 18(1), 125-145.
  4. 구교준, 조광래, 2008, 수도권 공공기관 및 기업 지방이전 정책의 파급효과 비교 분석, 한국행정학보, 42(3), 333-350.
  5. 김남룡, 김영, 고석남, 2009, 도시정비사업에 관한 도시재생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국토계획, 44(6), 89-103.
  6. 김선재, 2007, 행정수도의 대전충청권 이전이 지역 및 도시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17(4), 1099-1120.
  7. 김성태, 노근호, 2004, 지역혁신 클러스터 추정과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웅용경제, 6(2), 63-97.
  8. 김성훈, 최명섭, 김의준, 2009, 우리나라 지역수출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2), 142-158.
  9. 김성현, 2005, 지역축제의 지역경제활성화 영향 분석, 한국행정학보, 39(4), 221-246.
  10. 김일태, 김봉진, 나주몽, 2007, 공공 R&D 지출과 지역경제의 효과:광역시 간 비교, 국토연구, 55, 99-113.
  11. 김의준, 김홍석, 박추환, 신동진, 2006, 도로 및 철도사업의 중장기 권역별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지역연구, 22(3), 3-28.
  12. 김의준, 최명섭, 배유진, 이혜승, 2009, 업체복합개발의 공간파급효과 분석, 지역연구, 25(4), 149-166.
  13. 김지은, 2010, 대학-지역사회 파트너십을 통한 지역 재생 사례연구-일리노이 주립대학교 시카고 캠퍼스 지역협력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1(3), 69-86.
  14. 김한주, 이충기, 2007,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부산국제영화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레저연구, 19(4), 7-26.
  15. 심재희, 2003 , 한국의 광역자치단체에서 인적자본의 지역성장효과 분석, 국토계획, 38(7), 201-209.
  16. 안혁근, 2010, 산업단지가 지방자치단체의 자체수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4(1), 133-150.
  17. 염명배, 2006,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재생 프로젝트와 참여정부 지역특화사업에 대한 지역경영전략평가-지역특화발전특구와 신활력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짐, 11(2), 229-275.
  18. 우경, 2005, 택지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46, 133-149.
  19. 이삼수, 2007, 일본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의 관리 운영 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8(2), 19-34.
  20. 이춘근, 2004, 대구전시컨벤션센터 전시행사의 지역 경제 파급효과 분석, 대구경북연구원.
  21. 이충기, 이진형, 송학준, 2007,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철새관광축제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관광레저연구, 19(2), 19-34.
  22. 정철모, 노형규, 2009, 도시재생을 통한 창조도시만들기-지방도시재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2), 35-63.
  23. 충북개발연구원, 2008, 일본 지방재생전략이 우리나라 중소도시재생에 주는 시사점.
  24. 최근희, 조윤영, 2009, 파주출판문화산업단지 건설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보, 22(3), 171-196.
  25. 홍성훈, 2009, 지역 연구개발투자가 지식 창출 및 확산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14,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