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a Korean Fairy Tale "I live on my Fortune" -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민담 <내 복에 산다>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 Received : 2010.07.15
  • Accepted : 2010.12.10
  • Published : 2010.12.25

Abstract

A Korean fairy tale, "I live on my fortune" is discussed and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Analytical psychology understands fairy tales are stories in which the workings of archetypes of unconsciousness are represented symbolically. Therefore they are intended to achieve psychic wholeness compensating collective consciousness. The fairy tale is found in almost every region of Korea. There are several parallel stories that share similar motifs, such as Samgongbonpoori, a mythological story and a tale on the king Mooh. The father in the story asked his three daughters whose fortune they lived on. The youngest was expelled by her father for she answered, "I live on my own fortune." Then she came into a humble cottage in the mountain marrying a poor charcoal maker and she found gold there. She became rich, made the charcoal maker a decent learned man and seeked for and took care of her parents who had become beggars. This fairy tale is interpreted as a story about individuation process of a woman who integrated 'inferior' aspects and unconscious animus through actively accepting the suffering from being expelled and commitment to the unconscious world, and also about how rigid collective psyche, under patriarchal system, changes toward wholeness through the workings of the unconscious.

한국민담 <내 복에 산다>를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해석하였다. <내 복에 산다>는 한국에서 광범위하게 채집되는 민담으로서 삼공본풀이, 무왕설화 등 여러 이야기에서 공통된 주제들이 발견된다. 누구 복에 사는가 묻는 아버지의 질문에 내 복에 산다고 대답한 셋째 딸은 쫓겨나 숯구이 총각과 결혼하게 되고 산중에서 금을 발견하여 부자가 된 후 아버지를 다시 만나 잘 모시게 된다. 분석심리학에서는 민담을 무의식의 원형적 작용이 상징적으로 표현된 것으로서 이해한다. 따라서 일방적인 집단의식을 보상하여 전체성을 이루려는 목적을 향해 이야기가 진행된다. 본 민담은 부성의 지배에서 벗어나, 세속적인 기준으로 볼 때 열등한 것과 결합하는 고통의 체험과 무의식적 세계에 대한 헌신을 통해 전 인격적 실현을 이뤄가는 한 여성의 자기실현의 이야기인 동시에 경직된 집단의식이 무의식의 작용으로 변화되고 통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해석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정식(1999) : "<내 복에 산다>형 민담에 나타난 여성의식",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 논총≫ 2
  2. 김석배(1982) : "<내 복에 산다>형 민담연구", ≪문학과 언어≫ 3
  3. 김열규 옮김(1999) : ≪그림형제 동화전집 I≫, 현대지성사, 경기
  4. 김열규 옮김(1999) : ≪그림형제 동화전집 II≫, 현대지성사, 경기
  5. 김영희 (2007) : "'아버지의 딸'이기를 거부한 막내딸의 입사기", ≪온지논총≫ 18
  6.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재실 역)(2003), ≪대장장이와 연금술사≫, 문학동네, 서울
  7.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은봉 역)(2000), ≪성과 속≫, 한길사, 서울
  8. 신동흔 엮음 (2003) : ≪ 세계민담전집 01≫, 한국편, 황금가지, 서울
  9. 왕 필(임채우 옮김) (2006) : ≪왕필 노자주≫, 한길사, 서울
  10. 융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번역위원회 역)(2004) : 융 기본저작집 6. ≪연금술에 서 본 구원의 관념≫, 솔 출판사, 서울
  11. 이부영(2000) :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서울
  12. 이부영(2000) : ≪자기와 지기실현≫, 한길사, 경기
  13. 이유경(1996) : "서양연금술의 이해", ≪심성연구≫, 11(1, 2) 통권 15호
  14. 장주근(1998) : ≪ 풀어쓴 한국의 신화≫, 집문당, 서울
  15. 정규식(2002) : "한국 여성주의 설화 연구", ≪동남어문집≫ 제14집
  16.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0-1989) : ≪한국구비문학대계≫
  17.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1996) : ≪한국문화상징사전 1≫, 동아출판, 서울
  18. 현승환(1998) : "내 복에 산다계 설화의 연구 성과와 과제", ≪설화문학연구≫, 단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19. 황인덕(1988) : "<내복에 먹고 산다>형 민담과 <삼공본풀이> 무가의 상관성", ≪어문연구≫ 제18집
  20. Jung CG (1970) : C.W. (4), Freud and Psychoanalysis, "The Father in the Destiny of the Individual," Routledge and Kegan Paul Ltd., London
  21. Jung CG(1984) : Dream Analysis, Princeton Univ. Press
  22. Stith Thompson (1995) : Motif Index of Folk Literature, Vol 1., Indian Univ. Press
  23. Von Franz ML (1996) : The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 Shambala
  24. Von Franz ML, Hillman James(2006) : Lectures on Jung's Typology, Spring Pub. Inc, 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