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omans' Father Complex in Fairy-Tales - Focused on two Korean Fairy-Tales <Shimchung> und <Barli Princess> -

한국 민담에서 살펴본 여성의 부성 콤플렉스 - <심청전>과 <바리공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0.05.03
  • Accepted : 2010.05.28
  • Published : 2010.06.25

Abstract

By considering the final purpose and meaning of two fairy-tales, we can summarize two things. Firstly, a woman with father complex not only positive, but also negative can easily sacrifice her femininity and her own personality as an individual. A woman with father complex has to get out of father imago. By separating from father imago, she can make her own steps to realize her own personality, namely individuation. During normal development, detachment to instinct and archetypal contents can cause problems normally to the ego consciousness. Contrary to this developmental notion, women with father complex experience problems because they are too closely attached to father archetype. Therefore, continuous excessive identification of ego with father imago or a state of ego caught by father imago leads to death of her own personality. Some women intentionally attach to father imago in order to be powerful or to receive magical power of father archetype to make compensation to her inferiority and deficiency. Weak ego wants to be stronger and superior by intentional attachment to father imago. Then, she can succeed in some tasks in life. But These successes are not by her own effort, but by magical or superhuman power of father imago. During early childhood, young girl with weak ego strongly attaches to father imago to make success and achieve goals by magical power. She wants to compensate her weak ego. But the more her ego makes successes in real life with help of father imago, the more she loses her own character or personality. Ego can be strong enough only when it is detached or separated itself from father imago. In other side, there is a woman destined to realize request by the father imago. She is chosen by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ough she try to run away from dominant power. In this case, ego of selected woman is not weak. She is destined to be a heroine. She knows that she has to complete every task given to her to realize what father imago wants, and she will not own any of her products at all. She is a real or true heroine. She wants to avoid her destiny, but she can't and should not do it. Secondly, a woman with father complex is called for again to save father imago or to solve problems of father imago. In this case, father imago of a woman should b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collective conscious. Therefore, it is said that all women with father complex are invited for healing the society or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To complete this request, she has to heal herself by recovering her femininity. The healing power is based on the maternal receptive capacity. In modern society, the women are always demanded to be a social being. These social demands can make women caught by father complex. In this sense, number of women with father complex are increasing.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wo fairy-tales, increased number of women with father complex should be easily considered as events at personal level, but seriously considered as a phenomenon reflecting problems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our age. In the other hand, all women with father complex are invited to solve the problem of modern society. She will be able to realize her own individuation without being possessed by father imago, to save our society and to become a heroine of our age.

현대 사회에서 부성 콤플렉스의 여성이 증가하는 이유를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고려할 수 있다. 우선 사회적 요구가 여성으로 하여금 기존의 여성의 입장에서 벗어나 새로운 역할을 강요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 시대의 사회적 요구는 본성을 억압하도록 하는 부성적 특성의 외압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현대의 여성은 저절로 부성상의 지배 하에 놓이게 되는 부성 콤플렉스의 여성이 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보면 무의식의 보상성에 의하여 부성 콤플렉스의 여성 유형이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부성상은 언제나 집단의식과 관련되는 심상이다. 집단의식에 문제가 생기고,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소위 부성상의 부름을 받은 여성의 경우도 부성 콤플렉스의 여성이 될 것이다. 부성콤플렉스의 여성이 증가하고 있는 현대의 추세는 그만큼 집단 사회의 문제를 폭로하는 것이고, 그에 대한 해결의 욕구가 절실해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부성상의 영향력은 여성에게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병리적 현상을 야기할 정도로 치명적이다. 그러나 모든 원형상이 그러하듯 그러한 영향력의 이면에는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의미가 숨어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치명적으로 작용하는 부성상의 요구를 제대로 이해하고, 성공적으로 실현하는 것은, 부성 콤플렉스의 여성 개인에게서는 부성상의 극복이자 동시에 부성상의 치유이고, 궁극적으로는 집단의식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부성상의 영향 하에 있는 여성 인물상을 다루는 두 민담을 선택하였다. <심청전>은 긍정적인 부성 콤플렉스의 여성을 위하여, 그리고 <바리공주>는 부정적 부성 콤플렉스의 여성을 위하여 선택되었다. 연구의 진행은 부성상과 관련된 여성 주인공의 민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통하여 크게 세 가지 국면으로 살펴보려고 하였다. 그 첫 번째는 민담의 해석을 통하여 부성상의 지배 하에 있는 여성이 겪는 전형적인 문제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부성이 갖는 긍정적 영향력과 부정적 영향력을 여성의 삶과 연결시켜 구체적으로 다룰 것이다. 두 번째는 민담에서 강력한 부성상의 지배로부터 여성 주인공이 어떻게 벗어나는지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이는 부성 콤플렉스의 여성 유형이 여성성을 회복하고 전(全)인격적 실현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는 내용이 된다. 마지막으로 부성상의 지배 하에 있게 된 여성은 궁극적으로 집단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고 치유하도록 부름을 받았다는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여성 주인공이 성공적으로 부성상에서 벗어나 오히려 부성상의 문제를 해결한다면 이는 집단의 삶에 새로운 면모를 가져다줄 하나의 전형이 될 것이다. 이것이 두민담을 통하여 다루려는 부성 콤플렉스의 진정한 목적의미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Jung CG(1952) : GW 5, "Symbole der Wandlung", Walter Verlag, 1979(1971).
  2. Jung CG(1921) : GW 6, "Psychologische Type", Walter Verlag.
  3. Jung CG(1928) : GW 7, "Die Beziehungen zwischen dem Ich und dem Unbewuβten", Zwei Schriften uber Analytische Psychologie, Walter Verlag.
  4. Jung CG(1936) : GW 9/I, "uber den Archetypus : Der Animabegriff", Die Archetypen und das Kollektive Unbewusste, Walter Verlag.
  5. Jung CG(1939) : GW 9/I, "Die psychologischen Aspekte des Mutterarchetypus", Die Archetypen und das Kollektive Unbewusste, Walter Verlag.
  6. Jung CG(1940) : GW 9/I, "Zur Psychologie des Kindarchetypus", Die Archetypen und das Kollektive Unbewusste, Walter Verlag.
  7. Jung CG(1946) : GW 9/I, "Zur Phanomenologie des Geistes im Marchen", Die Archetypen und das Kollektive Unbewusste, Walter Verlag.
  8. Von Franz ML(1986) : "Psychologische Marcheninterpretation", Kosel, S. 127-8.
  9. 최인학.엄용희 편저(2003) : ≪옛날이야기꾸러미 3≫, 집문당.
  10. 김헌선 역주 : 은하엄마 이상순 말미 바리공주 구연본.
  11. 김헌선 역 : 배경재본 바리공주, 현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