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 of the Effect of Related Factors on Healthy Life_Styles by the Income level

소득계층에 따른 건강생활실천 관련 요인의 영향 차이

  • Lee, Min-Hae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
  • Na, Baeg-Ju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
  • Lee, Moo-Sik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
  • Chun, Sung-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 이민행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 나백주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 이무식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 천성아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is research have aimed for analyzing the effect of relative factors on healthy life styles by the income level in a medium-sized city. Especially, the research tried to figure out whether the public health center's health-promotion-activity had different effects on healthy life styles by the income level. The random sampled data of 809 citizens aged between 19 and 69 were analyzed through phone survey by the Korea Gallop inc(surveyed from 2006.10.11 to 10.13). In the low socioeconomic status, the relation between people's positive conception about public health center's health-promoting-program and healthy behavior tendency is low. But in the high socioeconomic status, the relation is high.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effect of public health center's health promotion programs on healthy life styles is different by income level.

본 연구는 어느 중소도시의 주민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 추출하여 전화로 건강생활실천 행태를 소득계층별로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도와 건강생활실천 행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갤럽(주)을 통해 2006년 10월 11일에서 13일까지 3일간 일개시 19세에서 69세까지의 809명의 주민을 표본추출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득계층이 낮은 사람들은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는 것과 건강생활실천의 관련성이 낮았으나 소득계층이 높은 사람들은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소득계층에 따라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이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혜련. 만성질환 유병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사회계층별 차이와 건강행태의 영향, 2005
  2. Macintyre, S. The Black report and beyond: What are the issue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97; 44: 723-746 https://doi.org/10.1016/S0277-9536(96)00183-9
  3. 이진석. 금연정책의 사회적 형평성. Cancer Prevention Research 2005; 10(3): 192-198
  4. 윤태호, 문옥륜, 이상이, 정백근, 이신재, 김남순, 장원기. 우리나라의 사회계층별 건강행태의 차이, 예방의학회지 2000;33(4):469-476
  5. 보건복지가족부, 보건복지가족백서 2007; 651-664
  6. 권근상, 김건엽, 김남송, 나백주, 오경재, 이무식. 보건학 연구방법 2004; 100-101
  7. Gentry EM, Kalsbeek WD, Hogelin GC, Jones JT, Gaines KL, Forman MR et al. The behavioral risk factor surveys II Design, methods, and estimates from factor surveysⅡ Design, methods, and estimates from combined state data. Am J Prev Med 1985;1(6):9-14
  8. 조비룡, 허봉렬.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전화설문조사의 한국에서의 방법론적 고찰. 가정의학회지, 1997; 18(10): 1054-1068
  9. 질병관리본부, 2007 국민건강통계 - 국민건강조사 제4기 1차년도. 보건복지가족부, 2008; 26-97
  10. 한수정. 중년기 성인의 운동실천과 삶의 질.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4; 18(1): 14-26
  11. 박순우, 이주열. 보건소 금연사업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2009; 34(1): 87-100
  12. 이태용, 김광환. 대전시 보건소 내원 당뇨환자들의 치료실태 및 치료순응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09; 10(5): 1141-1147
  13. 김은엽, 임근옥, 이현실. 일개지역 노인의 건강인식 및 건강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09; 10(10): 2974-2984
  14. 윤태호. 우리나라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 제안, 예방의학회지 2007;40(6):447-453
  15. Machenbach JP, Stronks K. The development of a strategy for racking health ineaualities in the Netherlands. Int J Equity Health 2004;3(1):1-7 https://doi.org/10.1186/1475-927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