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imilarity of Sampling Sites by Water Quality

수질 관측지점 유사성 측정방법 연구

  • 권세혁 (한남대학교 비즈니스통계학과) ;
  • 이요상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As the value of environment is increasing, the water quality has been a matter of interest to the nation and people. Research on water quality has been widely studied, but focused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 and river characteristics like inflow, outflow, quantity and speed of water. In this paper, two approaches to measure the similarity of sampling sites by using water quality data are discussed and compared with two-years empirical data of Yongdam-Dam. The existing method has calculated their similarities with principal component scores. The proposed approach in this paper use correlation matrix of water quality related variables and MDS for measuring the similarity, which is shown to be better in the sense of being clustering which is identical to geographical clustering since it can consider the time series pattern of water quality.

환경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하천 수질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수질측정망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입지환경의 지리적 특성이나 유입량, 유출량, 유량, 유속과 같은 하천 특성 중심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미한 관측지점의 수질 유사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질의 시계열 패턴을 고려할 수 있는 상관계수행렬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주성분점수를 이용한 방법과 비교하였다. 용담댐에서 2년간 조사된 수질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두 방법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관측지점의 지리적 특성에 의해 분류된 결과와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에 의해 관측지점 유사성을 측정하여 얻은 군집결과가 더 일치함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4). 수문관측 매뉴얼
  2. 경민수, 김상단, 김형수, 박석근 (2006).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수질 측정망 구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 291-300.
  3. 권상우, 유철상 (2001).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한 수질측정망의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1, 501-509.
  4. 박수영, 왕수균, 최정현, 박석순 (2007).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수질 측정망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23, 697-704.
  5. 왕수균, 나은혜, 박석순 (2005). 한강수계 수질측정망 개선을 위한 목적 지향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7, 453-460.
  6. 한국수자원공사 (2005, 2006). 용담댐 일원 하천유량측정 등 수문조사보고서
  7. Kazi, T. G., Arain, M. B., Jamali, M. K., Jalbani, N., Afridi, R. A., Baig, J. A. and Shah, B. Q. (2009). Assessment of water quality of polluted lake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A case study, Ecotoxicology and Evironmental Safety, 72, 301-309. https://doi.org/10.1016/j.ecoenv.2008.0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