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Buk Stream of Goseong, Korea

고성 북천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의 특성

  • 이완옥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 고명훈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 백재민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 김대희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 전형주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 김경환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Received : 2010.09.23
  • Accepted : 2010.12.0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We performed field investigations at six stations in Buk Stream of Goseong-gun, Gangwon-do, Korea, from May to September 2009 to understand the stream's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survey, 31 species belonging to 20 families were collected. Dominant species by number was Zacoo koreanus (30.0%),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Pungitius kaibarae (9.4%) and Rhynchocypris steindachneri (9.3%). In biomass, the dominant species was Tribolodon hakonensis (35.5%),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Z. koreanus (22.5%) and Cobitis pacifica (7.5%). Eight Korean endemic fish species and two endangered species (P. kaibarae and Pungitius sinensis) were collected. In addition, four anadromous fish species (T. hakonensis, Oncorhynchus masou masou, O. keta, Gasterosteus aculeatus) and two amphidromus fish species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 and Gymnogobius urotaenia) were observed. Interestingly, we verified the existence of several fish species in Buk Stream where they have not lived before. Those species were previously reported to live only in rivers that run into the western and southern sea of Korea. Five of those species (Zacoo koreanus, Z. platypus, Silurus microdorsalis, Liobagrus andersoni and Coreoperca herzi) were reported in Buk Stream in the 1980s. The other species (Pungtungia herzi, Pseudorasbora parva, Squalidus multimaculatus, Misgurnus mizolepi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Silurus asotus and Odontobutis interrupta) have been introduced since the 1990s.

강원도 고성군 북천의 어류 분포 및 군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9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 확인된 어종은 모두 12과 31종이었으며, 개체수에서 우점종은 Z. koreanus (30.0%), 아우점종은 P. kaibarae (9.4%), R. steindachneri (9.3%)로 나타났으며, 생체량에서 우점종은 T. hakonensis (35.5%), 아우점종은 Z. koreanus (22.5%), C. pacifica (7.5%)였다. 출현종 중 환경부지정 멸종 위기종 II급인 P. kaibarae와 P. sinensis가, 한국 고유종은 8종이 출현하였다. 회유성 어종 중 소하성 어종은 T. hakonensis, O. masou masou, O. keta, G. aculeatus가 서식하고 있었으며, 양측회유성 어류인 P. altivelis altivelis, G. urotaenia가 출현하였다. 고성 북천에 분포하지 않았던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분포하던 종 중에 본 조사에서 서식이 확인된 Z. koreanus, Z. platypus, S. microdorsalis, L. andersoni, C. herzi는 1980년대 이입되었고, P. herzi, P. parva, S. multimaculatus, M. mizolepis, K. rotundicaudata, S. asotus, O. interrupta 등은 1990년대 이후에 이입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경.양 현.이채성.최승호. 2007. 남대천 연어 (Oncorhynchus keta)의 치어의 먹이생물. 한국해양학회지, 12: 86-93.
  2. 강수경.이채성.이철호.허영희.성기백. 2005. 우리나라 연어 치어생산 방류 역사 및 현황. 연어 자원증강을 위한 한.일 전문가 초청 워크숍, 55pp.
  3. 김용억.명정구.한경호.공정락. 1996. 강릉 남대천의 어류상. 한국수산학회지, 29: 262-266.
  4.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629pp.
  5. 김익수.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서울, 465pp.
  6.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원색한 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615pp.
  7. 김치홍.이완옥.홍관의.이철호.김종화. 2006a. 양양 남대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8: 112-118.
  8. 김치홍.홍관의.김종화.김경환. 2006b. 강릉 연곡천의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18: 244-250.
  9. 남명모.강영훈.채병수.양홍준. 2002. 동해로 유입되는 가곡천과 마읍천에 서식하는 담수어의 지리적 분포. 한국어류학회지, 14: 269-277.
  10. 변화근.배옥이. 1998.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고성.인제, 향로봉 일대의 담수어류. 환경부, pp. 1-18.
  11. 변화근.변명수. 2004.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인제.양양, 방태산 일대의 담수어류. 환경부, pp. 173-204.
  12. 변화근.최재석.최준길. 1998. 양양남대천의 어류상과 소하성 어류의 분포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29: 159-166.
  13. 이완옥.윤승운.김종화.김대희. 2008. 동해로 유입하는 하천과 섬진강에 서식하는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의 성장 및 산란 특징의 비교. 한국어류학회지, 20: 179-189.
  14. 전상린. 1980. 한국산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0pp.
  15. 전상린. 1982. 동해로 유입되는 소하천수계의 어류상에 관하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4: 109-118.
  16. 전상린. 1983. 한국산 미꾸리과 어류의 분포와 검색에 관하여. 상명여자대학 논문집, 11: 289-321.
  17. 전상린. 1984. 한국산 동자개과 및 메기과 어류의 검색과 분포에 관하여. 상명여자대학 논문집, 14: 83-115.
  18. 채병수. 2007. 국내 서식어종의 다른 하천 수계로의 도입. 국립수산과학원 중부내수면연구소- (사)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 MOU체결 기념 심포지엄, 청평, 9월 20일 2007, pp. 71-90.
  19. 최기철. 1973. 휴전선이남에서의 담수어 지리적 분포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6: 29-36.
  20. 최기철.전상린. 1968. 영동지방에 서식하는 담수어의 지리적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동물학회지, 11: 13-21.
  21. 최재석.이광열.장영수.고명훈.권오길.김범철. 2003. 소양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15: 95-104.
  22. 최재석.변화근.조규송. 1995. 오십천의 하천특성과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8: 263-270.
  23. 한국수자원공사. 2007. 우리 길라잡이.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588pp.
  24. Cummins, K.W. 1962. An evolu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er. Midl. Nat'l., 67: 477-504. https://doi.org/10.2307/2422722
  25.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Fourth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pp. 397-398.
  26.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27. Sha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p. 177.
  28.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29. 可兒朦古. 1944. 溪流性昆蟲の生態. 古川晴男編(昆蟲), 上, 硏究社, 東京, pp. 171-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