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ormation Leisure Activity of the Aging Generation and the Analysis of Meaning

노년기 소비자의 정보화 여가활동 연구와 의미 분석

  • 김연정 (호서대학교 디지털비즈니스학부)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0.11.25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Many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have emerged due to the increasing size of the aging gener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the information leisure activity of the aging generation (computer use activity, internet service participation, social community participation and blogging, UCC, etc.) and the need for serious games among elderly consumers. It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serious game and information leisure span as determined by experts on elderly care at the aging welfare institute. The research methods involved applying content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lderly are willing to enjoy the internet and economics networks. In particular, economic investment, economic news, health, meetings, and communication are the main internet search categories. The results for serious games are less interesting than those for IT participation. The components of usefulness in terms of serious games, as identified by care experts, are simplicity, a user-friendly interface, efficacy, and certainty in using the game device. Care experts recognize that serious games represent a supplementary device to traditional physical and emotional therapy.

Keywords

References

  1.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2005).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전략 보고서.
  2. 김경식, 안준희, 이윤정(2009) 노인용 기능성 게임개발, 한국정보처리학회지 17(1), 69-78.
  3. 나의진(2008). 실버세대 게임정보화 교육의 효용성에 대한연구. 명지대학교석사학위논문.
  4. 남궁완, 엄정식(2006). 노인여가시설의 정책적 발전방안. 한국스포츠리서치 17(3), 99-108.
  5. 류석상(2006). 고령화사회를 대비한 유비쿼터스 IT 정책. 한국정보사회진흥원 HN focus. 14, 50-59.
  6. 문화체육관광부(2008), 문화기술(CT) R&D 기본계획(2012).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7. 배재환(2006). 기능성 게임이 가져야 할 필수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11(5), 28-36.
  8. 보건복지부(2005). 2004년도 전국노인생활 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9. 부정남(1984). 내용분석의 발전과정. 신문학보 17, 125-131.
  10. 삼성경제연구소(2008). 고령화정책의 우선순위분석. 삼성경제연구소.
  11.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2. 안정신(2010). 중노년기 성인들의 컴퓨터 게임이용과 심리사회적 발달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30(3), 727-741.
  13. 양영순(2007).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의 시간사용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6, 1-26.
  14. 윤소영, 이현지(2008). 노인여가문화 활성화 방안을 위한 실태조사-노인여가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보고서.
  15. 윤종수, 윤종욱(2009). 실버포탈 이용자의 특성과 콘텐츠 선호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44, 227-252.
  16. 이견직(2006). 고령친화산업 활성화전략 II. 보건복지부.
  17. 이금룡, 홍성태, 이윤경(2004).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중년층의 인터넷 사용행태-미래 노인계층의 인터넷 활성화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4(여름호), 215-237.
  18. 이상희, 김덕용(2005). 실버마케팅 전략으로서 색채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디자인학연구 2(2), 41.54.
  19. 이석훈, 송강영, 김재운(2008). 노인여가활동 참여현황 및 활성화방안탐색. 콘텐츠학회논문지 8(3), 234-243.
  20. 이연숙(2007). 그린콘텐츠 개념을 적용한 정신장애 치료게임 연구. 한국게임학회논문지 7(1), 11-19.
  21. 이윤정, 안준희, 임경춘(2009). 노인용 기능성 게임개발을 위한 중노년층의 수요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9(10), 75-101.
  22. 이은석(2009). 고령화시대의 노인복지증진을 위한 여가활동 프로그램 프로토콜 개발: 지역사회 노인복지관 및 문화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48(3), 113-136.
  23. 이현철, 김은석, 허기택(2008). 기능성 실버게임 콘텐츠의 인터페이스 기술개발. 한국노년학연구 17, 83-95.
  24. 전자신문(2008.4.4). 닌텐도 Wii 게임을 이용한 노인 재활 치료.
  25. 조석봉, 변승환(2008).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실버세대의 여가활동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8), 81-89.
  26. 조희금(2006). 노인의 삶과 여가, 그리고 노인여가 정책의 방향. 한국가정관리학회 춘계학술, 201-215.
  27. 존 벡, 미첼 웨이드, 이은석 역(2006). 게임세대 회사를 점렴하다. 비즈니스 파워의 세대교체. 서울 : 세종서적.
  28.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8) 인구구조변화와 미래문화수요에 대한 연구 보고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9.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09). 08년 여가백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0.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2007), 2006문화기술기획단 기본계획. 문화콘텐츠진흥원.
  31.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2007). 문화기술(CT) 개발 5개년 계획: Creative touch 2012.
  32. 한국게임산업협회(2006). 게임정보화 교육 성과 발표 게임교육의사회적기능. 학술대회 발표집.
  33.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6). 실버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한국인터넷진흥원(2008). 2007년 하반기 정보화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35. 홍계희(2007). 노인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사례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8(6), 243-254.
  36. Harwood, T. G. and Garry, T. (2003). An Overview of Content Analysis. The Marketing Review 3, 479-498. https://doi.org/10.1362/146934703771910080
  37. Kolbe, B. M. and Burnett, M. S.(1991). Content Analysis research: An examination of applications with directives for improving research reliability and objectivity, J. of Consumer Research 18, 243-250. https://doi.org/10.1086/209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