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eds and Implementations of Enhanced Capstone Design Course in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토목공학분야의 개선된 종합설계과목의 필요성 및 적용

  • Kim, Jang-Ho Jay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 ;
  • Park, Joon-Hong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 ;
  • Choi, Sung-Uk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 ;
  • Heo, Jun-Haeng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 ;
  • Han, Kyong-Hee (Center for the Innov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Yonsei Univ.)
  • 김장호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환경공학과) ;
  • 박준홍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환경공학과) ;
  • 최성욱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환경공학과) ;
  • 허준행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환경공학과) ;
  • 한경희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Received : 2010.10.16
  • Accepted : 2010.11.16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Civil engineering based o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infrastructures for social and human development, it has a conservative aspects to adopt the high-technology and pace of change from ancient society. Therefore, the education of civil engineering consists of very similar contents from the past until now. Also, civil engineering, area is established the infrastructure widely included structure, geotechnical, hydraulic, environmental, surveying, construction management. Civil engineering have totally differenc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manufacturing industry field for market interests such as mechanical engineering, chemical engineering, material engineering etc. Therefore, the capstone design concepts of civil engineering for public interests must be changed and applied unlike any other engineering areas capstone design. In this paper, the modified capstone design contents and instruction in civil engineering of Yonsei University is informed and evaluated using undergraduate students' course evaluations and learning assessment to verify the efficiency of modified capstone design in civil engineering.

토목공학은 사회와 인류 발전에 필요한 사회기반시설물의 건설과 관리를 주로 담당해 왔던 학문이기 때문에 고대 사회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지만 그 변화의 속도나 첨단기술 도입의 측면에서는 다소 보수적인 측면이 있다. 또한 사회 인프라 전반을 다루기 때문에 구조, 지반, 수공, 환경, 측량, 건설관리 등과 같은 매우 광범위한 분야를 포함하게 된다. 주로 시장의 이익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제조업 기반의 학문 분야들, 예컨대 기계공학, 화학공학, 재료공학과는 다른 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타 공학전공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종합설계 개념을 공공기반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토목공학 분야에 그대로 적용하는 데 는 다소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종합 설계과목의 교육내용과 변화, 그리고 운영방식을 소개.설명하여 토목공학 분야에 적합한 종합설계과목의 운영방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학부 수강생들의 강의 평가결과 및 학습성과를 분석하여 개선된 종합설계과목의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현(2003). 협동학습의 적용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공학교육연구, 5(2): 36-41
  2. 윤우영(2007), "프로그램학습성과 및 평가"의 이해와 실천 방법, 2007 공학교육방법 워크숍, 한국공학교육 인증원 대외협력위.
  3. 최유현(2005).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의 모형과 절차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8(1): 99- 112.
  4. 이태식 ․ 전영준 ․ 이동욱 ․ 장병철(2009). 공학대학 캡스톤 디자인(창의적 공학설계)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학습 만족도 조사, 한국공학교육학회, 12(2): 36-50.
  5. 박수홍 ․ 정주영 ․ 류영호(2008).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 교수활동지원모형 개발, 수산해양교육연구, 20(2): 184-200.
  6. 김성득(2009). 토목환경 창의공학설계, 울산대학교 출판부: 33-43.
  7. 김민수(2009). 종합설계 교과목 평가요소와 방법, 한국정보보호학회, 19(1): 15-22.
  8. 공학인증기준2005 설명서, ABEEK-2010-ABE-011, 한국공학교육인증원, 2008년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