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Feedback Patterns by Instructor to the Discussion Participation Levels and Satisfaction Levels in the Online Discussion Environments

온라인 토론 환경에서 교수자의 피드백 형태가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0.08.26
  • Accepted : 2010.10.25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effect of feedback patterns by instructor's social message in the online discussion environm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feedback patterns by instructor's social message should be utilized in order to improve the discussio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online discussion environ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토론 환경에서 교수자의 사회적 메시지를 통한 피드백 형태가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온라인 토론 환경에서 교수자의 상호작용적 형태의 사회적 메시지를 통한 피드백이 정의적 형태보다 학습자의 토론 참여도 및 만족도를 더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온라인 토론 환경에서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의 향상을 위해 교수자의 사회적 메시지를 통한 피드백 형태의 적절한 활용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오한, 류수영(2002), 웹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외향성과 내향성. 한국정보과학회 봄 학술발표논문집, 697- 699.
  2. 김수현, 김민정(2006). 웹기반 비동기적 토론에서 토론촉진전략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 만족도, 학업 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3): 299-321.
  3. 김태웅(2009) 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도덕성과 익명성이 참여자의 참여 형태에 미치는 영향 탐구, 공학교육연구, 12(3): 107-117.
  4. 김태웅(2010)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학구적 자기효능감이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에 주는 영향 분석, 공학교육연구, 13(3): 78-86.
  5. 김태웅, 박인우(2008). 실시간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참여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탐색. 교육방법연구, 20(2): 1-20.
  6. 박명숙(2003). 웹 기반 토론학습에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소집단구성 방식이 학습자의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정미(2006). 웹 기반 토론학습에서 교수자의 토론촉진 전략과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도, 사회적 참여도 및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8. 박인우, 박은실(2000). 영어회화수업에서 의사소통방식과 학습자 특성간의 상호작용 효과. 교육공학연구, 16(1): 114-136.
  9. 백현수(2005).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성격유형(MBTI) 에 따른 토론 참여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성태제(2007).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11. 윤순경, 임철일, 연은경(2008). 온라인 토론의 유형에 따른 토론 참여 양상 및 메시지 상호작용 유형 변화에 관한 연구. 2008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98-212.
  12. 임철일, 윤순경, 연은경(2007). 온라인 토론 활성화를 위한 집단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23(3): 89-118.
  13. 정란(2003).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 성격유형과 토론의 익명성 여부가 참여도와 토론 메시지 내용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미정(2005). 국어과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교사의 학습촉진 조언의 유형이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1(2): 101 -124.
  15. 정재삼, 임규연(2000).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분석. 교육공학연구, 16(2): 107-135.
  16. 채유정(2004).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인지양식과 교사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최지영(2004). 웹 기반 수업에서 사회적 메시지 제시여부가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 인지된 학습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한정선, 박정미(2007), 웹 기반 토론학습에서 교수자의 토론촉진전략에 따른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도, 사회적 참여도,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1): 5-30.
  19. Kreijins, K, Kischner, P.A & Jochems W.(2003). Identifying the pitfalls for social interaction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ed learning environments: a review or the research.
  20. Richardson, J. & Swan, K. (2003). Examining social presence in online course in relation to students' perceived learning and satisfaction.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7: 68-88.
  21. Rourke, L., Anderson, T., Garrison, D. R., & Archer, W. (1999). Assessing social presence in asynchronous text-based computer conferencing.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4(2): 50-71.
  22. Stein, J. J.(1997). Asynchronous computer conferencings a supplement to classroom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The impact of selected learner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amount of inter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yne State University.
  23. Swan, K. (2002). Building learning communities in online courses: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Education, Communication & Information, 2(1): 23-49.
  24. Swan, K., Shea, P., Fredericksen, E., Pickett, A., Pelz, W., & Maher, G. (2000). Building knowledge building communities: consistency, contact and communication in the virtual classroom,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23: 389-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