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 밑창용 고무 블렌드물의 점탄성적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coelastic Properties of Rubber Blends for Shoes Outsole

  • 박차철 (동서대학교 에너지생명공학부) ;
  • 표경덕 (동서대학교 에너지생명공학부)
  • 투고 : 2010.11.09
  • 심사 : 2010.12.14
  • 발행 : 2010.12.31

초록

신발 밑창용 CIIR에 KBR, SSBR 및 XNBR을 다양한 조성으로 혼합하여 블렌드의 인장탄성률, 반발탄성, 저장탄성률, tan${\delta}$, 크리프 특성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인장 탄성률 측정실험에서 XNBR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CIIR이 가장 낮은 탄성률을 나타내었다. 반발탄성은 CIIR < XNBR < SSBR < KBR 순서로 반발탄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SBR, XNBR, KBR이 CIIR에 혼합됨에 따라 블렌드의 반발탄성은 산술평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크리프 실험에서 CIIR이 가장 높은 점성변형을 나타내었으며, SSBR과 KBR은 상대적으로 낮은 점성 변형을 나타내었다. CIIR의 경우는 $-30^{\circ}C$ 부근에서 tan${\delta}$ 최대 피크를 나타내었으나, XNBR과 SSBR의 경우 CIIR 보다 높은 온도인 $5^{\circ}C$$0^{\circ}C$ 부근에서 각각 뚜렷한 피크를 나타내었다.

The CIIR blends, which is use for shoes outsole, with SSBR, XNBR and KBR were prepared with various mixing ratio. The viscoelastic properties of these blends, such as tensile modulus, rebound resilience, storage modulus, tan${\delta}$, and creep properties were measured. In the rebound resilience measurement, KBR showed the highest value, which means the lowest energy absorption to stress. As SSBR, XNBR and KBR blends with CIIR, the rebound resilience of the mixtures showed tendency to increase in arithmetic average. In the creep measurement, CIIR showed the highest visconse strain to stress, SSBR and KBR showed lower visconse strain. Maximum tan${\delta}$ peak of CIIR, SSBR and XNBR appeared at $-30^{\circ}C$, $5^{\circ}C$ and $0^{\circ}C$ resp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창수, "운동화 중저의 경도가 주행시 발바닥의 압력분포와 충격흡수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5-42 (1993).
  2. 김태형, "에어로빅스 하이킥시 운동화 중저의 경도에 따른 지면반력의 변화 및 발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17 (1996).
  3. 오준석, "운동화의 기능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16 (1984).
  4. C. Sirisinha, S. Limcharoen, and J. Thunyarittikorn, "Oil resistance controlled by phase morphology in natural rubber/nitrile rubber blends" J. Appl. Poly. Sci., 87, 83 (2003). https://doi.org/10.1002/app.11673
  5. 박찬영, 이원기, 민성기, "BR고무/결정성고무 블렌드의 물성에 미치는 온도 및 오존농도 등의 환경인자의 영향" Elastomer, 45, 44 (2010).
  6. 나창운, 손봉영, "NR/NBR 블레드의 기계적 물성과 강선과의 접착거동", Elastomer, 36, 111 (2001).
  7. 박현호, 이창섭, "재생 FKM rubber/신재 FKM rubber 블렌드물의 특성 및 응용", Elastomer, 40, 104 (2005).
  8. D. H. Kim, G. Mathew, D. J. Jeon, B. Jurkowski, B. Jurkowska, and C. Nah, "The influenece of Palsama surface modification on frictional property of natural rubber vulacanization", Elastomer, 39, 12 (2004).
  9. 최성신, 한동수, 우창수, "SBR의 미세구조와 보강시스템이 SBR가황물의 응력풀림 효과에 미치는 영향", Elastomer, 41, 164 (2006).
  10. 최성신, 우창수, 장동호, "SBR 가황물의 회복거동에 미치는 스테렌 함량의 영향", Elastomer, 40, 273 (2005).
  11. 박차철, "발포체의 경도가 신발 중창의 압축-반발 특성에 미치는 영향", Elastomer, 39, 186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