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역대 왕의 피부병에 대한 고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A study on Kings' skin diseases of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 변석미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탁명림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강나루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윤화정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고우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투고 : 2010.10.15
  • 심사 : 2010.12.09
  • 발행 : 2010.12.25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ings' skin diseases of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Methods : We conducted a study on the text paragraphs of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containing kings' skin disease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ccessive kings in the Choson Dynasty are total 27, and 19 kings of them are suffered from skin disease. 2. The most frequent skin disease that the kings of the Choson Dynasty suffered from is Abscess. 3.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King Moonjong, King Hyeonjong, King Sukjong mainly suffered from skin disease. 4.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King Moonjong, King Sungjong, King Hyojong, King Chungjo, King Soonjo died of skin disease. Conclusion : We expect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past state of oriental medicine, re-evaluating present state, and singposting future state.

키워드

참고문헌

  1. E.H.Carr, 김택현 역. 역사란 무엇인가. 서울: 까치글방. 1997:50.
  2. 김두종. 동서의학사대강 서론. 서울:탐구당. 1979:3.
  3. 이해웅. 조선시대 명종, 선조, 광해군의 질병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대학원 한의학석사논문. 2002.
  4. 윤한룡, 윤창렬.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조선중기제왕들의 질병과 사인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01;14(1):125-51.
  5. 김정선. 조선시대 왕들의 질병치료를 통해 본 의학의 변천. 서울대학교대학원 의학박사논문. 2005.
  6. 김훈. 조선전기 군왕의 질병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7. 김훈. 조선시대 효종의 질병 및 사인에 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2004;17(2):129-44.
  8. 김훈. 소현세자의 사인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6;19(3):210-27.
  9. 김훈. 조선시대 임금들의 온천욕과 질병. 한국의사학회지. 2001;14(1):61-78.
  10. 김병조. 중종대왕의 병상일지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88;9(2):51-8.
  11. 이해웅, 김훈. 조선시대 현종, 숙종, 경종, 영조의 질병과 치료.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6;19(3):228-54.
  12. 김종우, 현경철, 황의안. 화병의 기원에 관한 고찰- <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9;10(1):205-16.
  13. 홍성봉. 조선조 역대왕의 수명과 그 사인. 한국인구학회지. 1991;14(1):35-46.
  14. 이덕일. 조선왕 독살사건2. 서울:다산북스. 2009.
  15. 유초하. 한국사상사의 인식. 서울:한길사. 1994:18.
  16. 이해웅, 김훈. 조선시대 선조의 질병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2;15(2):101-19.
  17. 허준. 동의보감. 경남:동의보감출판사. 2005: 1533.
  18. 정행규. 피부병의 형상의학적 치료. 형상의학회논문집. 2003;14(1):251.
  19. 박성하, 구교성, 강경화, 이용태. 창양의 방풍통성산 치험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1):226-33.
  20. 허정. 조선조 역대 왕의 질병과 사망. 에세이의료한국사. 서울:한울. 1992:129-37.
  21. 신좌섭, 기창덕, 황상익. 조선시대 치종학에 관하여-그 발전배경 및 치종전문서의 내용분석(1). 의사학. 1997;6(2):205-15.
  22. 홍순원. 조선보건사. 평양: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1:8.
  2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편. 개정판의대생을 위한 피부과학. 서울:고려의학. 2006: 115-6.
  24. 전국 한의과대학 피부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피부외과학. 부산:선우. 2007:13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