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성 안면마비 입원환자 25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alysis on 250 cases of Inpatients with Facial Paralysis

  • 강나루 (동의대학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탁명림 (동의대학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변석미 (동의대학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고우신 (동의대학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 윤화정 (동의대학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 투고 : 2010.11.04
  • 심사 : 2010.11.27
  • 발행 : 2010.12.25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is the effect of oriental medical care for inpatients with facial paralysis that had visited Dept. of Otolaryngology Oriental medical hospital Dong-eui university. Methods : From January 2008 to September 2010, a clinical study was done on 250 inpatients who were treated as facial nerve paralysis at the Dept. of Otolaryngology Oriental medical hospital Dong-eui university. This study was assessed using the chart analysis. Results : 1. The distribution of sex : female 54.8%, male 45.2%. The distribution of age was pregented that fifty to sixty was the most in 67 cases(26.8%). 2. The distribution of the period of admission : female 12.5 days, male 9.9 days. 3. The distribution of past history : hypertention(18.8%), diabetes-mellitus(10.85%), facial paralysis(9.25%), cerebrovascular disease(4.4%), liver disease(5.6%), hyperlipidemia(1.2%), otitis media(1.2%), herpes zoster(1.2%), cardiac disease(2.45%), thyroid disease(1.2%). 4. The distribution of the region of facial paralysis : Rt(55.36%), Lt(56.52%). 5. Check the mastoid pain : 66.8%(female 73.91%, male 58.04%). 6. Out of prescription(Ko-Bang, 古方), Galgeun-Tang(葛根湯) and Gaejigeogaegayoungchul-Tang was used most in each 34 cases, Daesiho-Tang(大柴胡湯) 30 cases, Galgeungabanha-Tang(葛根加半夏湯) 27 cases, Sihogaeji-Tang(柴胡桂枝湯) 14 cases, Hwanggigaejiomul-Tang 12 cases, Odu-Tang(烏頭湯) 10 cases, Chijadaehwangsi-Tang 10 cases, Gaejigagalgeun-Tang(桂枝加葛根湯) 7 cases, Banhasasim-Tang(半夏瀉心湯) 5 cases, Injinho-Tang(茵蔯蒿湯) 5 cases in order. 7. The distribution of herb group : Mahwang-Jae(麻黃劑) 31.72%, Gaeji-Jae(桂枝劑) 26.00%, Siho-Gae(柴胡劑) 20.70%, Chija-Gae(梔子劑) 7.49%, Buja-Jae(附子劑) 4.41%, Banhahwanggeum-Gae(半夏黃芩劑) 3.08%, Daehwang-Gae(大黃劑) 2.64%, Bockryeong-Gae(茯笭劑) 1.76%, Jisil-Gae(枳實劑) 1.32%, Insam-Gae(人蔘劑) 0.88% in order. 8. The distribution of House-Brackmann grade of admission : Gr Ⅳ 74.85%, Gr.III 13.6%, Gr.V 11.6% in order. 9. The distribution of House-Brackmann grade of discharge : Gr.III 56%, Gr.IV 38.4%, Gr.II 5.6% in order. 10. The average number of OPD follow up is 6.46. Conclusion : This results indicated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 with Ko-bang(古方) can be an effective way to treat facial paralysis. The more patients we treat with Ko-bang(古方), the more clinical report is accumulated. Then it would be helpful to map out a systematic treatment on facial paralysis.

키워드

참고문헌

  1. 백만기. 최신이비인후과학. 서울:일문각. 1997: 121-7.
  2. 의학교육연수원. 가정의학.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2001:519-24.
  3.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편. 이비인후과학. 서울:일조각. 2005:209-11.
  4. Kenneth W. Lindsay, Iban Bone, 이광우 編著. 임상신경학 4판. E PUBLIC. 2006:227-8.
  5. 김달호 편. 황제내경 영추. 서울:의성당. 2002:452.
  6. 장대천. 침구학대사전. 서울:의성당. 1992:80.
  7. 진사택. 삼인방(권2) 대북:대련국풍출판사. 1987:8.
  8. 송범용. 적외선 체열진단법을 이용한 Bell's Palsy의 임상적 예후 진단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1:1-13.
  9. 김민수, 김현중, 박영재, 김이화, 이은용. 蜂毒藥鍼이 구안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4;21(4):251-62.
  10. 이승우, 한상원. 전침을 이용한 구안와사의 임상적 고찰. 1999;16(4):149-63.
  11. 권순정, 송호섭, 김기현. 말초성안면신경마비에 구치료 및 복합치료가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0;17(4):160-71.
  12. 이정현, 김영호, 육태한, 이은용, 김이화. 자하거 약침이 말초성안면신경마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 19(1):11-23.
  13. 최승제, 박승하. 정적재건술을 이용한 안면신경마비의 치료방법. 대한성형외과학회지. 1998;25(8):61-2.
  14. 손인석, 서정철, 조태성, 권혜연, 윤현민, 장경전, 송춘호, 안창범. 환자 대조군 연구를 통한 입원치료가 구안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2;19(2):201-10.
  15. 김지훈, 송재준, 홍승욱. 말초성 안면신경 마비의 양․한방 협진치료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9;22(1): 148-56.
  16. 김민정, 김종한, 박수연, 최정화, 정민영, 송진수, 이유진, 이지은, 양미성. 구안와사(말초성 안면신경마비) 입원환자 10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9; 22(2):128-38.
  17. 張機. 原著. 顧武軍 主編. 傷寒論. 北京:中國醫藥科持出版社. 1998:56,58,71,99,103,129,188.
  18. 張機. 原著. 沈繼澤 主編. 金匱要略. 北京:中國醫藥科持出版社. 1996:42,95,97,129,142,163.
  19. 吉益東洞. 類聚方. 1762.
  20. 노의준, 강한은, 노영범. 古方類聚. 출판지역: 복치의학회 출판국. 2009.
  21. 이숭인. 古方撰次. 출판지역:복치의학회 출판국. 2008:146,163,232,263.
  22. House JW, Brackmann De. Facial nerve grading system. Otolaryngol Head Neck Sug. 1953;93:146-7.
  23. 김미보, 김자혜, 신상호, 윤화정, 고우신. 안면 신경기능의 평가방법에 대한 고찰.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3):155.
  24. 김정호, 고승경, 김영일, 이현. 특발성 구안와사로 입원한 환자에 대한 사상체질별 유형분석. 대한침구학회지. 2007;24(3):19-28.
  25. 박수은, 옥민근, 임웅경, 김창환. 구안와사 환자 254명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5;18(3):75-83.
  26. 신예지, 권나현, 박현애, 우현수, 백용현, 박동석, 고형근. 말초성 안면마비 환자의 재발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9;26(1):29-37.
  27. 복치의학회. 복진과 고법의학. 출판지역:복치의 학회 출판국. 2009:3-53,38,42,63,72.
  28. 吉益東洞. 藥徵. 서울:청흥출판사. 2006:56, 105,112,153,174,209.
  29. 원재선, 주경옥, 조아름, 김창환. 안면마비 (Bell's Palsy) 후유증 환자에 대한 임상 고찰 18례.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9; 22(3):16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