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청소년들의 이동전화 구매와 모바일 콘텐츠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화적 차원의 역할

Roles of Socio-cultural Dimensions on Metropolitan Teenagers' Mobile Phone Purchases and Mobile Content Uses

  • 전종우 (단국대학교 언론영상학부) ;
  • 정재진 (단국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
  • 정수주 (단국대학교 언론영상학부)
  • 투고 : 2010.02.05
  • 심사 : 2010.05.11
  • 발행 : 2010.09.30

초록

현재 모바일 미디어는 미디어 시장에 있어 하나의 독립적인 미디어로서 기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모바일 미디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수도권 청소년들의 모바일 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통계학적 접근과 함께 사회문화적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알아본 것이다. 연구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사회문화적 변인들이 이동전화 구매와 모바일 콘텐츠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면,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이동전화 구매를 보다 잘 설명하였고 사회문화적 변인들은 청소년들의 모바일 콘텐츠 이용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확인한 유의미한 변인들 중에서는 동조성향과 과시성향이 청소년들의 모바일 미디어 관련 소비자 행동을 설명하는 핵심 변인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발견점은 학자들은 물론 실무자들에게도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Mobile media have become independent media formats in a current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explores mobile media uses of metropolitan Korean teenagers focusing on demographic elements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demographic variables and socio-cultural variables influenced mobile media purchases and mobile content uses. Specifically, demographic variables explain mobile media purchases more, and socio-cultural variables explain mobile content uses of Korean teenagers. Among significant variables, conformity and self demonstration are core elements explaining teenagers' consumer behaviors. These findings could provide implications to both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키워드

참고문헌

  1. Jun, J. W. and Lee, S., "Mobile media use and its impact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Marketing, Vol.2, No.1, pp.50-58, 2007.
  2. 박성연, 이종미, 임숙자, "남․녀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및 물질주의 가치관의 생활 식생활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제39권, 제8호, pp.1-18, 2001.
  3. 김종회, 조현주, "청소년의 소비자 의식과 의복구매행동,"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제15권, 제2호, pp.67-68, 2003.
  4. Blumler, J. G.. and Katz, E.,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s : current perspectives on gratifications research," Beverly Hills, CA: Sage, 1974.
  5. Swanson, D. L., "The uses and misuses of uses and gratification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3, No.3, pp.214-221, 1977. https://doi.org/10.1111/j.1468-2958.1977.tb00519.x
  6. 김유정, "Open Source 기반의 m-Learning 체제 구축: 통계학 교육에의 적용," 한림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5.
  7. Leung, L., and Wei, R. "More than just talk on the move: uses and gratifications of the cellular phone,"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7(2), pp.308-320, 2000. https://doi.org/10.1177/107769900007700206
  8. 나은영, "이동전화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이동전화 커뮤니케이션의 매체적 속성에 관한 연구 : 개인중심성, 즉시성 및 직접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4호, pp.189-228, 2001.
  9. 윤승욱, "모바일 인터넷의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기술 수용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3호, pp.274-301, 2004.
  10. 권미화. "청소년의 소비자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의 합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학위 논문. 2000.
  11. Ling, R. "We will be reached: the use of mobile telephony among Norwegian youth," Telenor R&D Report. 1998.
  12. 김신동. "호모 텔레포니쿠스의 등장: 이동전화 확산에 영향을 준 사회문화적 요인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45, No.42, pp.62-85, 2001.
  13. Ross, J, "Postmodernity and mobile communications," a paper presented at the ESA Helsinki conference, 2002.
  14. Plant, S, "On the mobile: The effects of mobile telephones on social and individual life," Report made for Motorola, 2001.
  15. 드 무이, 마리케, 김유경 역, "소비자행동과 문화," 나남출판사. 2007.
  16. Mason, R. S, "Conspicuous consumption: a study of exceptional consumer behavior," Gower Publishing Co.Ltd, 1981.
  17. 김태은, "도시주부의 과시소비성향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제2권, 제1호, pp.33-46, 1998.
  18. Page, C, "A history of conspicuous consumption. in meaning. measure and morality of materialism," edited By Rudmin. Floyd And Rinchins. Marsha. Provo :The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1992.
  19. 성영신, "논어와 맹자에 나타난 물질관과 소비행동," 소비자학연구, 제5권, 제1호, pp.99-114, 1994.
  20. Festinger, L.,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7.
  21. Kelman, H. C., "Process of option chang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25, No.Spring, pp.57-58, 1961. https://doi.org/10.1086/266996
  22. Hyman, H. H., "The psychology of status," Archives of Psychology, Vol,39. No.269, 1942.
  23. Hofstede, G, "Culture's consequence," London: Sage Publication, 1980.
  24. Trompenaars, F, "Riding the waves of culture," The Economist Book, 1993.
  25. 김지영, "청소년의 과시소지 성향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26. 김해영,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에 있어서 준거집단의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2002.
  27. 황용희, "소비자의 서비스 구매에서 준거집단의 영향과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해서: 이동통신서비스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28. Triandis, H. C., and Gelfand, M. J., "Converging measure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4, pp.118-128, 1998. https://doi.org/10.1037/0022-3514.74.1.118
  29. 심완섭, 이민성,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의 유형분류와 모바일 상품 이용 실태 및 선호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상품학회. 제26권, pp. 211-238. 2002.
  30. 김영석, 사회조사방법론, SPSS WIN 통계분석, 나남출판, 2008.
  31.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and Black, W. C.,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Hall,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