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overnment's Role Model for The Effective Adoption of The UIT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의 효과적 도입을 위한 정부역할 모형

  • Received : 2010.09.06
  • Accepted : 2010.10.30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Since 2004, as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that is new information technology paradigm has emerged, the necessity of government's role has been rais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government's role model for the effective use of the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this article closely analysed the process of the information policy in Korea. To accomplish these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exploratory research were used. The intent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overnment's role in the process of the information policy.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government's role in driving the new information policy must be considered for the effective adopt and diffusion of the new information technology'. Second, three stages(adopt, diffusion, evaluation) ar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Korea information policy. Third, the revised government's role model is needed for the effective use of the new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future. In this study, I suggested the revised government's role model, that is consist of four stages. plan. adopt. diffusion, and performance and evaluation stage.

기존 국내 정보화 추진과정을 고찰하면 패러다임별로 정부정책이 정보화를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이 등장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 요인과 역기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 역할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은 향후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연구의 목적은 기존 정보화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정부 정책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후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재정립하는데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정보화 추진과정의 효율화를 위해 사용된 주요 메커니즘은 시장이 아닌 정부의 역할이 강조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정보화 추진과정에서 정부역할을 분석한 결과, 정보기술의 도입단계 및 초기 확산단계에서는 정책적 대응이 시차적으로 볼 때 다소 문제가 있었다고 분석되었다. 셋째, 기존 정보추진단계별 정부역할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정부역할의 수정모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지연, 2004, "일본 유비쿼터스(u-Japan) 전략의 기본 방향과 의미," 정보통신정책, 제16권, 제15호 통권353호
  2. 류석상, 2006, "유비쿼터스 사회 실현을 위한 u-Korea 구축전략," 지역정보화, 제38권.
  3. 조선일보, 2004년 8월 3일
  4. 홍준형, 2004,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공법연구, 제32집, 제5호.
  5. 김선경, 2003,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전자정부의 기본구도 탐색," 한국도시행정학보, 제16집, 제2호. pp101-124.
  6. Williamson, O. E. 1975, Market and hierarchies, (London: Collier Macmillan).
  7. Wolf. C. Jr. 1988, Market or governments: Choosing between imperfect alternatives, (Cambridge. Mass: The MIT Press).
  8. 유평준, 정무권, 2002, "한국 정보정책의 제도적 특성과 발전방향," 한국행정학회 전자정부연구회 학술대회.
  9. 양재진, 2004, "발전이후 발전주의론: 한국 발전국 가의 성장, 위기, 그리고 미래,"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0. 홍성걸, 2003, "발전국가의 부활, 산업화와 정보화의 비교: 완충국가론의 시론적 적용,"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 Requel Benbunan Fich. 2002, Information Technology In Organization: Paradigms And Metaphors. (Zicklin School of Business. Baruch College).
  12. 한국전산원, 국가정보화백서, 2004-2006년 각년도 참고.
  13. 한국정보사회진흥원, 국가정보화백서. 2007-2010 년 각년도 참고.
  14. 황종성 외, 2004, 유비쿼터스 IT 사회의 발전방향과 정부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전산원.
  15. 류영달, 2004, 유코리아 추진의 필요성과 전략. 서울: 한국전산원.
  16. 하원규, 2003, "유비쿼터스 혁명으로 세계정보화 선도하자,"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창립15주년 기념세미나발표자료.
  17. 김준한, "유비쿼터스정부의 쟁점과 전략," 행정논총, 제42권, 제4호. pp. 53-75.
  18. Ventura, S. J. 1995. "Th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Local Govern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55. No. 5. pp. 461-467. https://doi.org/10.2307/976770
  19. 김정훈, 이미숙, 2007, u-City 구현을 위한 현안과제 조사분석, 한국GIS학회지, 제15권, 제1호.
  20. 신상철, 2007, "u-City 구축 문제점과 쟁점을 이슈 로 본 활성화 정책 대안," 정보와 사회, 제12권.
  21. 조덕호, 엄흥석, 2004, "유비쿼터스 도시전자정부의 필요성과 구축방향," 정부정보와 디지털도시 6월호.
  22. 정보통신부, 2006, u-Korea 기본계획
  23. 윤상오, 2009, "유비쿼터스 정부(u-정부)에서의 정부신뢰 구축: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현대 사회와 행정, 제19권, 제2호, pp. 61-87.
  24. 조춘만, 김정훈, 2009, "u-Ctiy 통합운영센터의 제 도적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 제17 권, 제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