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Estimation Method of Compression Index on Spatial Distribution of Consolidation Settlement

압축지수의 추정방법이 압밀침하량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Dong-Hee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rg., Korea Univ.) ;
  • Ryu, Dong-Woo (KIGAM) ;
  • Kim, Min-Tae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rg., Korea Univ.) ;
  • Lee, Woo-Jin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Engrg., Korea Univ.)
  • 김동휘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 류동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김민태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 이우진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0.06.07
  • Accepted : 2010.10.11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compression index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nsolidation settlement, this study presents the estimation methods of the distribution of consolidation settlement and compares the estimated settlements. When the variation of compression index is considerable, the ordinary cokriging is more reliable in estimating the compression index than ordinary kriging because smoothing effect of ordinary cokriging is smaller than that of ordinary krig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nsolidation settlement estimated by considering both the variation of compression index and void ratio (CASE-1) is different from that estimated by using the mean value of all soil properties (CASE-2). The settlement of CASE-1 shows the larger variation at short distances rather than that of CASE-2. Whereas the spatial settlement distribution of CASE-1 is affected by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compression index as well as the thickness of consolidation layer, that of CASE-2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istribution of consolidation layer thickness.

본 논문에서는 분석영역 내 압축지수 분포특성이 압밀침하량의 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압축지수의 분포특성을 고려한 압밀침하 추정방법을 제시하고 추정방법에 따른 압밀침하량 추정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지반이 불균질한 경우에는 간극비를 이차변수로 이용한 정규공동크리깅이 신뢰할 수 있는 앙축지수 추정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감소된 smoothing effect로 인한 것이다. 압축지수와 간극비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는 경우(Case-l)와 모든 지반물성치의 평균값을 쓰는 경우(Case-2) 두 방법은 압밀침하량의 공간적 분포를 상당히 다르게 평가하며, Case-1이 Case-2에 비해 거리에 따른 압밀침하량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Case-1의 경우 압밀침하의 공간적 분포는 압밀층 두께뿐만 아니라 압축지수의 분포에도 영향을 받는 반면 Case-2의 경우 압밀층의 두께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휘, 안신환, 김재정, 이우진 (2009a), "인천 송도지역 지반의 변동성 분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5권, 6호, pp.73-88.
  2. 김동휘, 이주형, 이우진 (2009b), "무작위성을 보이는 지반정수의 확률분포 및 변동성",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5권, 11호, pp.87-103.
  3. 김동휘, 류동우, 최영민, 이우진 (2010a), "인천 송도지역 지층분포 추정을 위한 크리킹과 역거리가중치법의 적용",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6권 1호, pp.5-19.
  4. 김동휘, 홍성진, 이우진, 고성권 (2010b), "인천 송도지역 지반의 압밀특성",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6권 1호, pp.21-33.
  5. 김홍택, 이혁진, 김영웅, 김진홍, 김홍식 (2002), "GIS 기법을 이용한 대규모 매립지반의 장기침하 예측",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18권, 2호, pp.107-121.
  6. 유광호 (1995), "다분적 암반분류를 위한 정성적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연구 - I. 이론",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11권, 2호, pp.71-77.
  7. 유광호 (1998), "다분적 암반분류를 위한 정성적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연구 - II. 응용",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14권, 1호, pp. 29-35.
  8. 유광호 (2003), "터널 설계를 위한 암반등급 산정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19권, 5호, pp.319-326.
  9. 윤길림, 이강운, 채영수, 유광호 (2005), "지구통계학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연약지반의 불확실성 분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1권, 3호, pp.5-17.
  10. 인천경제자유구역청 (2007), 송도국제신도시 1공구내 주택단지의 기본 및 실시설계 토질조사보고서, pp.35-104.
  11. 천성호, 선창국, 정충기 (2005), "지반 정보화를 위한 지구 통계학적 방법의 적용",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5권, 제2C호, pp.103-115.
  12. 최종근 (2007), 지구통계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13. Baecher, G. B., and Christian, J. T. (2003), Reliability and Statistical in Geotechnical Engineering, John Wiley & Sons Ltd.
  14. Chiasson, P., Lafleur, J., Soulie, M., and Law, K.T. (1994), "Characterizing spatial variability of a clay by geostatistic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32, pp.1-10.
  15. Cressie, N. A. C. (1991), Statistsics for Spatial data,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6. DeGroot, D. J., and Baecher, G. B. (1993), "Estimating Auto-covariance of In-Situ Soil Propertie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ol.119, No.1, pp.147-166.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93)119:1(147)
  17. Goovaerts, P. (1997), Geostatistics for Natural Resources Evalu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8. Goovaerts, P. (1998), "Ordinary Cokriging Revisited", Mathematical Geology, Vol. 30, No. 1, pp. 21-42. https://doi.org/10.1023/A:1021757104135
  19. Isaaks, E. H., and Srivastava, R. M. (1989), Applied geostat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 Jaksa, M. B., Kaggwa, W. S., and Brooker, P. l. (1993), "Geostatistical modeling of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shear strength of a stiff, over consolidated clay", Probabilistic method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Balkema, Rotterdam, pp.185-194.
  21. Journel, A. G., and Huijbergts, C. J. (1978), Mining geostatistics: Academic Press, London.
  22. Lee, H. J., Park, S. W., Yoo, S. D., and Kim, H. T. (2004), "An Estimation of Long-term Settlements in the Large Reclamation Site and Determination of Additional Sampling Positions Using Geostatistics and GIS", Jour. of the KGS, Vol.20, No.2, pp.131-141.
  23. Phoon, K. K. and Kulhawy, F. H. (1999), "Characterization of geotechnical variability",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36(4), pp. 612-624. https://doi.org/10.1139/t99-038
  24. Santra. P., Chopra, U. K., and Chakraborty, D. (2008), "Spatial variability of soil properties and its application in predicting surface map of hydraulic parameters in agricultural farm", Current science, Vol.95, No.7, pp.937-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