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B구축을 통한 강원지역 사면재해 유발강우특성 분석

Analysis of Slope Hazard-Triggering Rainfall Characteristics in Gangwon Province by Database Construction

  • 투고 : 2001.05.25
  • 심사 : 2010.10.14
  • 발행 : 2010.10.31

초록

산지가 약 83%의 면적을 차지하는 강원지역에서는 매년 하절기에 장마, 태풍, 집중호우에 기인한 산사태 및 토석류와 같은 사면재해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의 사면재해를 유발하는 강우의 특성 분석을 위해 사면재해자료, 강우자료, 산불발생자료를 수집하여 DATABASE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 사면재해는 강우가 거의 없는 시점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사변재해를 유발하는 강우는 재해발생일의 강우보다 선행강우가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불발생지역에서는 산불미발생생지역에 비하여 더 작은 강우에서도 사면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산불발생지역에서는 2년이하의 재현강우에서 재해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every summer season, most of the slope failures and debris flows occurr due to seasonal rain, typhoon, and localized extreme rainfall in Gangwon Province where 83% of the area is of mountain region. To investigate the slope-hazard triggering rainfall characteristics in Gangwon Province, slope hazard data, precipitation records, and forest fire data were collected and the DATABASE was constructed.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DATABASE showed that many slope hazards occurred when there was little rainfall and the preceding rainfall had more effect on the slope hazard than the rainfall intensity at the day of hazard. It also showed that the burned area by forest fire was highly susceptible to slope hazard with low rainfall intensity, and the slope hazard in burned area showed highest frequency, especially, under the rainfall below 2-year return period.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1999), 수자원 관리기법 개발연구조사 제1권 : 한국확률강우량도 작성.
  2. 국립방재연구소 (2002), 사면붕괴의 유형별 원인과 저감대책연구.
  3. 김경석 (2008), "토석류 발생 지형과 유발 강우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8권 제5C호, pp.263-271.
  4. 마호섭, 정원옥 (2008), "산불 피해지 토양침식량의 장기적인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Vol.97, No.4, pp.363-367.
  5. 박덕근 (2001), "연약지반의 침하와 지반동역학적 특성파악:호우 및 산불로 인한 사면붕괴 조사와 지반 내진대책을 중심으로", 방재환경 제3권 제4호, pp.97-107.
  6. 신승숙, 박상덕, 조재웅, 이규송 (2008), "양양 산불지역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에 대한 식생회복의 영향",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8권, 4B호, pp.3939-403.
  7. 최경 (1989), "산사태 예지방법과 예방대책", 임업연구원 연구정보, No.27, pp.1-3.
  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3), 자연재해방재기술개발사업 - 2차 산림피해 방지기술개발.
  9. 홍원표, 김상규, 김마리아, 김윤원, 한정근 (1990), "강우로 기인되는 우리나라 사면 활동의 예측", 대한토질공학회지, 제6권, 제2호, pp.55-63.
  10. Caine, N. (1980), "The rainfall intensity: Duration control of shallow landslides and debris flow", Geografiska Annaler, Series A, Physical Geography, Vol.62, pp.23-27. https://doi.org/10.2307/520449
  11. Crosta, G. B. and Frattini, P. (2000), "Rainfall threshold for triggering soil slips and debris flow", Mediterranean Storms: Proceedings of the EGS 2nd Plinius Conference, Siena, Italy, pp.463-487.
  12. Johansen, M, P., Hakonson, T.E., and Breshears, D.D. (2001), "Post-fire runoff and erosion from rainfall simulation: contrasting forests with shrublands and grasslands". Hydrological Processes, Vol.15, pp.2953-2965. https://doi.org/10.1002/hyp.384
  13. Wilson, R. C. and Wieczoreak, G. F. (1995) "Rainfall threshold for the initiation of debris flow at La Honda", California,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Geoscience, Vol.1, No.1, pp.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