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Housing Service Centers by NGOs in Housing Welfare Delivery System - An Implication of Collaboration with Lower Level Local Governments -

주거복지전달체계에서 주거복지센터의 활동 평가 - 기초지자체와의 협력가능성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0.06.16
  • Accepted : 2010.10.14
  • Published : 2010.10.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ousing Service Centers in terms of a new attempt made by NGOs and to then determine the implication of collaboration with lower level local governments in a housing welfare delivery system.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Housing Service Centers focused on three aspects: the performance outcomes for three years, comparative advantages to lower level local governments, and the vulnerability as an NGO.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outcome of Housing Service Centers and comparative advantages of Housing Service Centers to the local government, it is expected that a more effective housing welfare delivery system is able to be constructed when Housing Service Centers and lower level local governments collaborate. However, fiscal vulnerability of Housing Service Centers as NGO's will restrict the sustainability of the collaboration of both organizations. Therefore, as a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governments should make use of Housing Service Centers as a public policy agency and projects should be based on a contract.

Keywords

References

  1. 강창현 (2003). 사회복지서비스 지역전달네트워크의 실험적 설계. 한국행정논집, 15(2), 337-358.
  2. 김정헌.윤현숙 (2003). 지역복지서비스 집행체계에 관한 연구: 통합네트워크 모형을 중심으로. 복지행정논총, 14(1), 1-24.
  3. 김준기 (2000). 정부-NGO 관계의 이론적 고찰: 자원의존 모형의 관점에서. 한국정책학회보, 9(2), 5-28.
  4. 김현미 (2007). 주민생활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의 실제. 복지동향, 108, 17-20.
  5. 김혜승.송하승.윤주현 (2004). 주거복지 지원 및 전달체계 구축방안 연구(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No. 2004-28). 안양: 국토연구원.
  6. 남기철 (2008). 주거복지센터 주거빈곤가구 대상 활동 분석. 2008년 전국주거복지센터 사업보고서(pp. 255-303). 서울: 주거복지센터.
  7. 남원석.최은희.조경은 (2010). 지역밀착형 주거지원서비스 지원체계 구축방안(토지주택연구원 연구보고서 No. 2010-27). 대전: 토지주택연구원.
  8. 남원석 (2001). 지방정부와의 협력을 통한 주민운동조직의 권능강화(empowerment)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9. 박남희.최재순 (2009). 주민자치센터의 주거복지 전달체계 구축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1), 123-132.
  10. 백종만 (2002). 비영리민간부문 활용의 근거: 사회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5, 59-80.
  11. 보건복지부 (2009). 2008년도 보건복지가족백서. 과천: 보건복지부.
  12. 서재호 (2008).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에 대한 평가.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5(1), 139-164.
  13. 이근주 (2000). NGO실패와 정부의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34(1), 291-307.
  14. 이현주 (2007).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구축목표와 행정조직구조 개편. 보건복지포럼, 130, 22-35.
  15. 장영희.박은철 (2005). 가구특성별 주거복지정책 연계체계 구축방안 연구(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No. 2005-R-39).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6. 주거복지센터 (2008). 전국주거복지센터 사업보고서. 서울: 주거복지센터
  17. 주거복지센터 (2009). 전국주거복지센터 사업보고서. 서울: 주거복지센터
  18. 차보현 (2006).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편과 발전과제. 복지행정논총, 16(2), 257-286.
  19. 홍인옥 (2009). 현장에서 본 주거복지프로그램 및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2009년 전국주거복지센터 정책토론회, 서울: 주거복지센터.
  20. Salamon, L. (1987). Of Market Failure, Voluntary Failure, and Third-Party Government.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ly, 16, 29-49. https://doi.org/10.1177/089976408701600104
  21. Steinberg, R. (1998). The Theory of the Nonprofit Sector in Housing. In C. T. Koebel (Ed.), Shelter and Society (pp. 21-38).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2. http://www.chest.or.kr
  23. http://www.chest.or.kr
  24. http://www.chest.or.kr

Cited by

  1. Analysis and Revitalization Plan for Housing Welfare Consulting in the Field vol.26, pp.6, 2015, https://doi.org/10.6107/JKHA.2015.26.6.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