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매실농축액을 첨가한 보리다식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Dasik added with Maesil Extracts

  • 이영숙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바이오식품소재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 ;
  • 류지혜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바이오식품소재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 ;
  •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바이오식품소재개발 및 산업화연구센터)
  • Lee, Young-Sook (Dep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Research Center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Biofood Material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Ryu, Ji-Hye (Dep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Research Center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Biofood Material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Rho, Jeong-Ok (Dep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Research Center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Biofood Material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8.23
  • 심사 : 2010.10.06
  • 발행 : 2010.10.31

초록

This study assessed the quality of barley Dasik manufactured, according to traditional methods, with various levels of Maesil (Prunus mume) extracts at weight percentages of 0% (BD1), 10% (BD2), 20% (BD3), 30% (BD4), 40% (BD5). The Dasik were analysed with proximate analysis, a sugar content analysis, Hunter's color value test, mechanical characteristics test and a sensory evaluation. Increased ratios added Maesil extracts led to the moisture content, crude ash, and crude fat to significantly increase (p<.001). 10% (BD2)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rude protein (p<.01). Sugar contents was highest in 0% (BD1) and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Maesil extracts increased. This increase also led to higher L-values and b-values of chromaticity (p<.001) and the a-value of 0% (BD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ample groups (p<.001). Changes in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and gumminess values were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values of those in the sample group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Maesil extract (p<.001). It should be noted that, among the samples evaluated, barley Dasik that contained 10% Maesil extract (BD2) had the highest commercial valu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영, 정윤화, 은종방. (1999). 매실과육과 매실 착즙박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1(6), 1434-1439.
  2. 김미현, 이진실. (2010). 울릉매실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8(2), 113-120. https://doi.org/10.6115/khea.2010.48.2.113
  3. 김애정, 정경희, 김보람. (2008). 홍삼 겔 첨가량에 따른 콩다식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1(2), 184-189.
  4. 김지응. (2008). 누에분말을 첨가한 다식의 기호도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8(2), 221-225.
  5. 박신인, 홍현경. (2003). 매실 과육 첨가가 제빵 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8(6), 506-514.
  6. 박우포, 조성환, 이승철, 김성용. (2008). 매실분말 및 매실농축액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5), 682-686.
  7. 보리산업육성 고창청보리(주)출범.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09, 12. 16, 자료출처 http://app.yonhapnews.co.kr/YNA/Basic/article/new_search/YIBW_showSearchArticle.aspx?searchpart=article&searchtext=%eb%b3%b4%eb%a6%ac%ec%82%b0%ec%97%85&contents_id=AKR20091216128200055
  8. 배지현, 김기진, 김성미, 이원재, 이선장. (2000). 매실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개발. 한국식품과학회지, 32(3), 713-719.
  9. 서화중, 이명렬, 정두례. (1990). 매실 추출물이 흰쥐의 위액 분비 및 사염화탄소로 유발 시킨 가토의 간장 장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1), 27-34.
  10. 서화중. (1987). 매실추출물이 가토의 alloxan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6(3), 41-47.
  11. 양향숙. (2005). 발아현미다식의 표준레시피 결정 및 저 장에 따른 품질평가.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윤근영, 김명애, 현지수. (2006). 녹차분말첨가가 다식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학회지, 20(5), 532-537.
  13. 윤근영, 김명애. (2006). 홍삼분말을 활용한 다식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학회지, 21(3), 325-329.
  14. 윤숙자, 손정우, 정재홍, 신애숙, 홍진숙, 이정숙, 명춘옥. (1999). 한국의 떡, 한과, 음청류, 서울: 지구문화사.
  15. 이미영, 윤숙자. (2006). 도토리가루를 첨가한 도토리다식의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2(6), 849-854.
  16. 이소라, 김건희. (2001). 국내산 참당귀를 이용한 다식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7(5), 421-425.
  17. 이영숙, 김애정, 노정옥. (2008). 유자청을 첨가한 발아현미 다식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4(4), 494-500.
  18. 이영택. (2001). 국내산 맥류의 식이섬유 조성 및 이들 추출물의 점성비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4(3), 233-238.
  19. 이정희, 우경자, 최원석, 김애정, 김미원. (2005). 오디즙을 첨가한 녹말 오디다식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1(5), 629-636.
  20. 이현애, 남은숙, 박신인. (2003). 매실 착즙액을 첨가한 생국수의 품질 특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8(6), 527-535.
  21. 조미자. (1995). 재료배합에 따른 송화다식의 관능적 특성검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1(3), 233-236.
  22. 최순희, 이윤주, 최영준. (2006). 웰빙 트랜드가 한과류 선택 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2(3), 32-48.
  23. 차환수, 황진봉, 박정선, 박용곤, 조재선. (1999). 매실의 성숙중 유기산. 유리당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6(4), 481-487.
  24. 하애화, 이승훈, 강남미. (2009). 비만에 따른 여대생의 체중관련 식행동과 다이어트 식품 구매 형태. 한국식품영향학회지, 22(4), 650-661.
  25. 한지윤, 유정선, 신유미, 김진. (2006). 청보리 첨가 식빵의 저장 중 품질특성. 충남생활과학회지, 19(1), 56-63.
  26. 한재택, 이상윤, 김경남, 백남이. (2001). 매실의 항산화 활성물질, Rutin. 한국응용생명과학회지, 44(1), 35-37.
  27.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피인용 문헌

  1.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roasted soybean flour, barley, and carrot juice mixture fermented by solid-state fermentation using Bacillus subtilis HA vol.20, pp.6, 2011, https://doi.org/10.1007/s10068-011-0209-0
  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Dasik added with Lycii Fructus Extract vol.23, pp.6, 2014, https://doi.org/10.5934/kjhe.2014.23.6.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