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ertification of Linear Programming Method for Estimating Missing Precipitation Values Ungauged

미계측 결측 강수자료 보완을 위한 선형계획법의 검정

  • Yoo, Ju-Hwa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Youngdong Univ.)
  • 유주환 (영동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e amount and continuity of precipitation data used in a hydrological analysis may exert a big influence on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It is a fundamental process to estimate the missing data caused by such as a breakdown of the rainfall recording machine or to expand a short period of rainfall data. In this study a linear programming method treated as a data-driven approach for estimating the missing rainfall data is compared with seven other methods widely used and its superiority is certified. The data used in this research are annual precipitation ones during 17 years at the Cheolwon station including an ungauged period of 15 years and its five surrounding stations. By use of this certified method the ungauged precipitation values at the Cheolweon station are estimated and the areal averages of annual precipitation data for 32 years at the Han River basin are calculated.

강수량을 이용해 수문분석 할 경우 강수 자료의 양과 연속성은 분석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강수 자료가 짧거나 기계 고장 등으로 인하여 결측된 경우에 강수 자료기간을 늘리거나 결측 자료를 보완하는 것은 매우 기본적인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측 강수량을 보완하기 위해서 적용되는 자료구동(Data-driven) 방법인 선형계획법을 많이 사용되는 7개 기법을 비교 분석하고 우수성을 검정한다. 이를 위해서 적용한 자료는 한강 유역 내에 있는 기상청 관할 관측소 중에 미계측 기간 15년을 포함하는 철원 관측소와 5개 주변 관측소의 17년간 강수량 자료이다. 그리고 검정된 방법을 적용하여 철원 관측소의 미계측 강수량을 보완하고 한강 유역의 32년간 유역 평균 강수량을 산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한강2권역 유역종합치수 계획 보고서(자문용 초안).
  2. 김응석, 김중훈, 김태훈(1995). “산악지역을 고려한 점강우량 결측시 보정방법”.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69-172
  3. 김응석, 김형수, 김중훈(1999). “점 강우량 결측시 보정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74-381.
  4. 김충수, 김형섭(2006). “도시하천 소배수 구역의 결측 강우량 산정 방법 비교”.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701-705.
  5. 안상진, 이종형, 윤석환, 곽현구(2003). “미계측 지점의 강우량 산정 방법 비교”.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807-810.
  6. 이명우, 이봉희, 김형수, 심명필(2006).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강우량 결측치 보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701-705.
  7. ASCE (1996). Hydrology Handbook, 2nd ed.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New York.
  8. Simanton, J.R., and Osborn, H.B. (1980). "Reciprocaldistanceestimate of point rainfall." Journal ofHydraulic Division, Vol. 106, No. 7, pp. 1242-1246.
  9. Singh, V. P. (1989). Hydrologic Systems, Watershed Modeling. Vol. Ⅱ, Prentice-Hall, New Jersey.
  10. Teegavarapu Ramesh, S.V., and Chandramouli, V.(2005). "Improved weighting methods, deterministicand stochastic data-driven models for estimation ofmissing precipitation records." Journal of Hydrology,Vol. 312, pp. 191-206. https://doi.org/10.1016/j.jhydrol.2005.02.015
  11. Tung, Y.K. (1983). "Point-rainfall estimation for amountainous region."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Vol. 109, No. 10, pp. 1386-1393.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83)109:10(1386)
  12. Wei, T.C., and McGuinness, J.L. (1973). "Reciprocal distance squared method, a computer technique for estimating area precipitation." Technical Report ARS-Nc-8. U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North Central Region, Ohio.

Cited by

  1. A Study on Quality Control Method for Minutely Rainfall Data vol.35, pp.2, 2015, https://doi.org/10.12652/Ksce.2015.35.2.0319
  2. Analysis of Modified Distance-and-Elevation Ratio Method with Different Exponents of Distance and Elevation vol.48, pp.5, 201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5.357
  3. Linear Programming Method Considering Topographical Factors Used for Estimating Missing Precipitation vol.18, pp.5, 2013, https://doi.org/10.1061/(ASCE)HE.1943-5584.00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