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x Education, Sex-related Knowledge, Sex-related Attitude of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성교육과 성지식, 성태도

  • Received : 2010.11.10
  • Accepted : 2010.12.15
  • Published : 2010.12.01

Abstract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sex-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of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ield based learning and those with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July in 2009.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recruited from the classes of the 6th grade conveniently assigned from the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jeon metro city. Total of 60 students were assigned either to the field based learning group, and the other 60 students to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The field based learning group received sex education at the Daejean Youth Sexuality Culture Center for 3 hours.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received sex education by cooperative learning method at the classroom for 4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for 3 weeks. The sex-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scales developed by Lee (2004)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using the SPSS/WIN V. 12.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x-related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field based learning group. 2. Sex-related attitud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field based learning group. Conclusion: In this study, sex-related knowledge and sex-related attitude of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the field based learning group were different from the lecture method groups in the earlier study.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the field based learning group took relatively less time to improve their knowlede and attitude than the earlier lecture based group did.

Keywords

References

  1. 강희경 (1992). 성교육을 통한 초등학교 아동의 성에 관한 지식 및 태도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 공세권 등 (2000). 학교교육을 통한 체계적 성교육 접근모형 개발- 초,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국성문화연구.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3. 교육과학기술부 (2008). 소중한 성 바로알기 교사용 지도서. 7.
  4. 김봉순 (2002).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 대한 성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주.
  5. 김상근 (1986). 여고생의 성 지식에 관한 연구: 서울, 경기 지역을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6. 김신정 등 (2000). 초등학생의 성 지식과 성 태도. 아동간호학회지, 6(2), 186-198.
  7. 김애경 (1994). 초등학교 5-6학년 남녀아동의 성지식 및 성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8. 김옥란 (1987). 國民學校 6學年의 性敎育 必要度와 性敎育에 의한 性知識과 城役割에 對한 態度의 變化.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경북.
  9. 김진선 (1995). 성교육이 국민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2), 174-190.
  10. 김정휘 등 (2002). 초등학교 성교육의 현황. 교육연구, 19, 61-91.
  11.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2004). 2004 청소년 성건강 증진 세미나, 15-16.
  12. 양낙진 (1990). 협동학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3. 양순옥 등 (2001).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성교육 요구 내용 분석. 아동간호학회지, 7(1), 5-20.
  14. 양순옥 등 (2002). 초등학교 성교육 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 아동간호학회지, 8(3), 334-343.
  15. 우은정 (2005). 협동학습이 중학생의 보건수업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6. 이관순 (2004).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성 관련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남.
  17. 이동원 (1992). 집단경쟁과 집단무경쟁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대구.
  18. 이미영 (2005).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수원.
  19. 이옥철 (1990). 서울시내 일부 초등학교 학생, 학부모의 성교육 요구도 조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1), 73-84.
  20. 이인자 (1997). 협동학습이 학습능력별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21. 질병관리본부 (2008).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행태 현황-2006-2007년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Online]. Avaliable: http://yhs.cdc.go.kr/ [2010, November 10].
  22. 한상숙, 국미경 (2004). ICT를 활용한 성교육이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1(3), 87-100.
  23. 한상숙, 장원실 (2006). E-Learning을 활용한 성교육이 여교생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3(1), 93-107.
  24. 홍길유 (1989). 초등학교 성교육의 현황과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5. Cohen, E. G. (1994). Restructing the classroom: Condition for productive small group. Rev Educ Res, 4(1), 1-35.
  26. Johnson, D. W. & Johnson, R. T. (1995). Creative controversy: Intellectual challenge in the classroom (3rd ed.). Edina, MN: Interaction Book Company.
  27. Slavin, R. E. (1995).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8. Wong, D. L. (1993). Whaley &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4th ed.). Mosby-year Book,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