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term Runoff Simulation Considering Water for Agricultural Use in Geum River Basin

농업용수 이용량을 고려한 금강유역 장기유출모의

  • Woo, Dong-Hyeon (K-water Institut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Lee, Sang-Jin (K-water Institut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Kim, Joo-Cheol (K-water Institut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An, Jung-Min (K-water Institut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우동현 (한극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 이상진 (한극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 김주철 (한극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 안정민 (한극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Received : 2010.06.01
  • Accepted : 2010.06.30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at the augmentation of reliability of the long-term rainfall runoff model. To do so agricultural water uses are evaluated by analyzing the effects of small scale irrigational hydraulic structures on long term runoff processes and thereby rainfall-runoff model is modified considering them. As a result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sub-basins having more agricultural reservoirs than the others are disagreed with the observations. The 2nd quarter simulation results show similar trend to it. Especially the farming seasonal results of the drought year as the year of 2008 have many negative discharge values due to the lack of agricultural water uses. This result come from the water uses input data corresponding to not real water uses but water demands. In this study the formulas are derived to estimate the discharges and return ratios and the long term rainfall-runoff model is reformulated based on these. It is confirmed that the errors of the simulation results could be reduced by considering the effects of small scale irrigational hydraulic structures and th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results improved greatly.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해 이수적인 측면에서 입력되는 농업용수를 수요측면에서 산정된 계획량에서 실 이용량에 근사하게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장기유출모형을 활용하여 실용성이 높은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농업용 수리시설물들이 하천유량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농업용수 이용량을 고려한 장기유출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하천수 의존도가 낮은 지점에서 관측값과 차이가 큰 불량한 모의가 주로 발생하였다. 2) 연강우량과 유출오차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001년이나 2008년과 같은 가뭄년에 실제 용수이용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유출모의시 오차가 커짐을 확인하였다. 3) 장기유출량 모의분석을 통해 논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5월부터 유출량이 음의 값으로 모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규모 수리시설물을 고려하여 보정한 용수량을 이용한 결과 상관계수가 보정전 0.580에서 보정후 0.788로 보정전 모의보다 관측값과 상관성이 높아짐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4) 주요지점의 불일치율($R_D$)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보정을 통한 모의가 적은 불일치 범위에 다수 포함됨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대청지점의 불일치율 분석결과 -2에서 -2.5사이의 저유량 오차구간에 전체오차의 3% 차지하는 75개의 불일치율 나타났다. 이는 소규모수리시설물을 고려하지 못하고 용수량이 과다 산정되어 나타나는 오차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통해 모두 개선되었다. 5) 잔차분석을 통해 대청지점의 보정 전/후로 모의타당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잔차의 정규성 및 독립성을 분석한 결과 보정을 통해 모의의 타당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1.수자원 장기종합계획 보고서.
  2. 곽재원, 김덕길, 홍일표, 김형수.2009. 강우-유출모형을 위한 매개변수 순차 보정기법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11(2): 107-121
  3. 류경식, 이상진 2008. 수리시설물별 관개면적을 고려한 유출 변화특성분석. 한국수자원학회지 41(6): 643-651.
  4. 한국수자원공사.1996. 낙동강수계 실시간 최적 저수관리 시스템 개발보고서.
  5. 한국수자원공사.2006. 금강유역조사 보고서 .
  6. Cheong, T.S. and I.W. Seo. 2003. Parameter estimation of the transient storage model by routing method for river mixing processes. Water Resources Research 39: 1074-1084. https://doi.org/10.1029/2001WR000676
  7. IPCC. 2008. Climate Change and Water, IPCC Technical paper VI.
  8. Ito, Y., H. Shiraishi and R. Oonishi. 1980. Numerical estimation of return flow in river. JARQ 14: 24-30.
  9. Mohan, S. 2009. Prediction of irrigation return flows through a hierarchical modeling approach.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96: 33-246.
  10. Rockwood, D.M. 1961. Columbia basin streamflow routing by computer, Transactions,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No. 3119.
  11. Rockwood D.M. 1968. Application of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 "SSARR" Program to the lower Mekong river, The use of analog and digital computer in hydrology symposium,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tific Hydrology, UNESCO, p. 329-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