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em Analysis of information-related foundation in the Japanese National Center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s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정보관계기초 문항 분석

  • Received : 2010.07.30
  • Accepted : 2010.09.15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Information-related subjects on industry department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and Japan. These were compared with information-related foundation and data-technology foundation, programming on industry department test of vocational education area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and Japan and suggest implications of items development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new direction of items development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First, Information-related foundation on industry department of National Center for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in Japan consisted of basic informations of agricultural, industry, commercial department etc. of vocational education area. Similar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computer-related foundation' consist of common contents of several department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Second, it is necessary to diverse sub-item situations different from main item situations and introduce diverse situations of set type item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Third, test for National Center for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in Japan consisted of several types items like this selecting answers on multi-answer group.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hort answer type, completion type and supply type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정보관계기초를 분석함으로써 수능직업탐구영역의 출제에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센터시험의 구성과 출제 체제를 분석하고 교육과정 내용영역, 행동영역 분류, 예상 정답률, 특이사항 등을 분석하였고 정보관계기초와 유사한 수능의 정보기술기초와 프로그래밍 문항과도 비교 분석 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첫째,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정보관계기초는 직업교육을 주로하는 전문계고의 농업, 공업, 상업 등의 계열에서 정보에 관한 과목의 공통 내용을 출제 범위로 하는 과목으로서 수능에서도 각 계열의 컴퓨터관련 과목의 공통 내용을 하나의 과목으로 출제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보관계기초는 대문항의 문제 상황과 다른 새로운 문제 상황을 하위 문항에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어, 수능에서도 세트형 문항에서 문제 상황을 다양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해답군에서 정답을 복수로 선택할 수 있고 해답군 없이 직접 숫자를 기입하는 서답형 문항, 선택지의 개수도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어, 이를 수능 형식에 적용하여 문항 형식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진(2001). 대학입학전형 요소의 준거관련 타당도 추정방법 비교 분석. 교육평가연구, 14(1), 5-25.
  2. 교육과학기술부(2008).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16)-공업계열 전문 교과.
  3. 교육과학기술부, 부산광역시교육청(2008).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 및 운영사례(2. 일본).
  4. 김은미(1999). 한국과 일본의 대학 입시 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1945-1998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5. 김주훈, 설현수(2001). 일본, 중국, 대만 대학 입시 제도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1-12.
  6. 김진희(2006). 한국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일본센터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내용타당도 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7. 김현경 외(2010). 일봄 대학입시센터시험 문항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52-471.
  8. 박영신(1995). 대학수학능려시험의 타당도 분석: 대학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33(1), 45-76.
  9. 박종운, 김진구(2004).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직업탐구영역에 대한 수산.해운계열 전문교과 문항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6(1), 50-59.
  10. 백순근(2001). 한국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일본의 대학입시센터 시험에 대한 비교 연구. 아시아 교육연구, 2(1), 55-69.
  11. 성태제(2002). 대학입시제도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이도 조정. 한국교육개발원(편), 2001 교육평론, 117-152.
  12. 양길석 외(2007). 대학입학시험 점수체제 국외사례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0(2), 145-172.
  13. 윤인경, 최영선(2009).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모의평가 직업탐구영역 문항 분석-가사실업계의 인간발달 과목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28(1), 1-23.
  14. 이근님, 남명호, 홍수조(1998).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장기 발전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이양락(1999). 일본 대학입시센터의 기능 및 대학 입시 제도. KICE 연구포럼. 54-7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1-12.
  16. 이양락 외(2009).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문항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9-46.
  17. 이연우, 이종성(1993). 대입전형자료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연구. 교육평가연구, 6(2), 171-216.
  18. 이정희(2005). 일본센터시험의 한국어시험 문항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 교육, 16(3), 253-274.
  19. 이종승 외(2004).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개발원 공동연구보고.
  20. 이종승(2009).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천 과정과 개선 방향. 졔2회 KICE 교육과정.평가 정책포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현안문제와 미래 전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9-22, 3-29.
  21. 임찬빈, 양길석, 성병창(1998). 대학수학능력시험 영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98-9.
  22. 좌혜정, 성태제(2001). 대학입학전형의 다양화를 위한 전형자료들의 예측타당도 평가. 교육평가연구, 14(2), 155-172.
  23. 지은림(2001). 대학입학전형의 다양화를 위한 전형자료들의 예측타당도 평가, 교육평가연구, 14(2), 155-172.
  24.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5). 대학수학능력시험 10년사.
  25. 함승연(2007).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 공업계열 출제 문항에 관한 고찰.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2(2), 23-46.
  26. 허숙(2009).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제2회 KICE 교육과정.평가 정책 포럼 -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현안문제와 미래 전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9-22, 81-98.
  27. 일본 대학입시센터(2009). 2009년도센터시험 시험문제평가위원회보고서. (2009.8.20). (http://www.dnc.ac.jp/center_exam/21exam/21hon_mondai.html) (http://www.dnc.ac.jp/center_exam/21exam/21hon_seikai.html).
  28. 일본 독립행정법인대학입시센터. http://www.dnc.ac.jp/index.htm
  29. 일본 문부과학성. http://www.mext.go.jp/
  30. Kolen, M.J., Brennan, R.L.(1995). Test Equating. Methods and Practices. N.Y.: Springer-Verlag.
  31. Heaton, B. (1988). writing english test. London: Longman.